KR200221325Y1 -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 - Google Patents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325Y1
KR200221325Y1 KR2020000033314U KR20000033314U KR200221325Y1 KR 200221325 Y1 KR200221325 Y1 KR 200221325Y1 KR 2020000033314 U KR2020000033314 U KR 2020000033314U KR 20000033314 U KR20000033314 U KR 20000033314U KR 200221325 Y1 KR200221325 Y1 KR 200221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wire
twisted pair
straightener
str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식
Original Assignee
고려강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강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강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3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325Y1/ko

Links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선기를 통해 제작되는 연선의 연선피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교정기에 장착되는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은, 연선기의 보이스를 통과하며 연선이 완료된 와이어 로프나 스틸코드등의 연선 이동경로상에 다수개의 베어링이 상호 엇갈리게 장착되어 비틀림등의 연선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60) 외륜(64)의 원주면상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평행한 와이어 이송홈(6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은 일측의 와이어 이송홈 마모시 타측의 와이어 이송홈을 통해 와이어 로프나 스틸코드가 이동하며 직진성이 부여되어 교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베어링의 수명이 두배로 늘어나게 됨과 아울러 베어링 수명 증대로 인한 공정상의 원가 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Bearing for reforming device of twister}
본 고안은 연선기를 통해 제작되는 연선의 연선피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교정기에 장착되는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연선이 완료된 와이어 로프 또는 스틸코드가 인출캡스턴을 통해 권취기에 권취되기 전에 연선의 비틀림등을 교정하여 직진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일정한 연선피치가 부여되도록 하는 교정기를 통과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교정기의 전면에 연선의 연속적인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열된 베어링 외주면에 2개의 이송홈을 가공함으로써 베어링의 수명 증대로 인한 공정의 원가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소선 내지는 도금된 강 소선 다수를 연합하여 꼬임 구조를 형성시켜 제조되는 와이어나, 이 와이어를 스트랜드로 하여 다수의 스트랜드를 재 연합함으로써 제조되는 와이어 로프가 생산되는 연선 라인에서는 연선 완료된 와이어를 최종 권취하기 전에 연선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웨이브나 비틀림 등을 교정해 주기 위한 교정기가 권취기 직전에 설치된다.
상기 교정기는 롤러의 형태로 회전하는 다수의 베어링이 와이어의 진행 선상에 상하로 배열된 것으로서 상하 베어링의 상하 위치가 서로 중첩되어 그 사이를 진행하는 와이어에 반복 굴곡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와이어를 교정하게 된다.
도1은 일반적인 연선 과정중의 일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공정도이고, 도2는 도1의 종래 교정기에 장착되는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연선기는 다수개의 공급보빈(도면 미도시)으로부터 인출되는 소선 와이어 또는 소선 스트랜드가 한 곳으로 모여지면서 보이스(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선 와이어 상호간의 꼬임이 이루어져 연선 구조로 되며, 상기 보이스(10)를 통과한 연선(11)은 가이드 롤러(12)에 안내되어 연선(11)의 통과 경로를 중심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열된 다수의 베어링(21)으로 이루어진 교정기(2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교정기(20)에 장착되어 연선(11)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베어링(21)은 도2에서와 같이 외주면 중앙부상에 연선(11)의 이동 통로가 되는 와이어 이송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이송홈(21a)이 형성된 외륜(22)과 내륜(23) 사이에 볼(24)이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음, 교정기(20)를 빠져나온 연선(11)은 메인모터(도면 미도시)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서 연선(11)의 연속적인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인출 캡스턴(30)을 경유하여 가이드 롤러(12)를 통해 최종적으로 권취기의 권취스풀(40)에 권취되어 짐으로 강연선의 제작이 완료된다.
도1의 미설명 부호 W는 랩핑(Wrapping)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연선 공정에서 종래의 교정기 베어링(21)은 베어링(21) 외주면 중심부상에 와이어 이송홈(21a)이 하나만 형성되어 와이어 이송에 따른 홈(21a)의 마모 정도가 클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교체 주기가 짧아져서 베어링 교체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선이 완료된 와이어 로프 또는 스틸코드가 인출캡스턴을 통해 권취기에 권취되기 전에 연선의 비틀림등을 교정하여 직진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일정한 연선피치가 부여되도록 하는 교정기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상기 교정기의 전면에 연선의 연속적인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열된 베어링 외주면에 2개의 이송홈을 가공함으로써 베어링의 수명 증대로 인한 공정의 원가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을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연선 과정중의 일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공정도.
도2는 도1의 종래 교정기에 장착되는 베어링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베어링이 사용되는 교정기의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에 대한 도면으로서,
(가)는 베어링의 사시도이고,
(나)는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베어링 61. 와이어 이송홈
62. 축삽입공 63. 볼
64. 외륜 65. 내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교정기의 전면에 상호 엇갈리도록 다수개가 장착된 원형의 베어링 외주면상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평행하게 2개의 와이어 이송홈이 형성된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은 연선이 완료된 와이어 로프나 스틸코드가 상호 엇갈리도록 배열된 다수의 베어링을 지날 때에 상기 베어링 외주면의 와이어 이송홈을 평행하게 2개로 형성하여 하나의 와이어 이송홈 마모시 와이어를 다른 한쪽의 이송홈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베어링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3은 본 고안의 베어링이 사용되는 교정기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베어링이 장착되는 교정기(50)는 다수의 베어링(60)이 장착되는 상하 베어링 플레이트(51)(52)와,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51)(52)가 볼트등에 의해서 고정되는 상하 베이스 플레이트(53)(54)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3)(54)의 상하 간격(D)을 조정하여 상하 베어링(60) 사이에 간격을 조절하고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53)의 상면으로부터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54) 방향으로 나사 결합하면서 관통되어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54)에 나사 결합하며 상하 베이스 플레이트(53)(54)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스프링(55a)이 외삽되는 한쌍의 간격 조정 볼트(55)와,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53) 상면에 형성된 플렌지와 나사 결합하면서 이를 관통하여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51) 상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수평 조절 볼트(5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정기(50)는, 상하 교정 베어링(60) 사이를 진행하는 와이어(W)에 반복적인 굴곡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와이어를 교정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상하 베어링(6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해야 하며, 그 조정은 상하 베이스 플레이트(53)(54)와 각기 다른 오른 나사 결합과 왼 나사 결합을 하는 상기 간격 조정 볼트(55)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한 방향으로 상기 조정 볼트(55)를 회전시키면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 결합을 하기 때문에 상하 베이스 플레이트(53)(54)의 간격이 좁아지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상하 베어링(60)의 간격이 조절된다.
다음, 도4는 본 고안의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에 대한 도면으로서, (가)는 베어링의 사시도이고, (나)는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60)은 납작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중앙부에 교정기(50)의 축삽입을 위한 축삽입공(62)이 형성되며 외주면상의 양측으로 평행하게 와이어 이송홈(6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와이어 이송홈(61)은 베어링(60) 중심선(C)을 기준으로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 동일한 홈의 깊이와 너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 교정기용 베어링(60)은 도2의 (나)에서와 같이 외주면상에 평행한 두 개의 와이어 이송홈(61)이 형성된 외륜(63)이 중심축 삽입공(62) 상부에 결합되는 내륜(64)과 볼(63)을 사이에 두고 맞닿아 와이어의 연속적인 이송홈(61)상의 이동에 의해서 외륜(64)이 자체적으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은 연선이 완료된 와이어 로프 또는 스틸코드가 인출캡스턴을 통해 권취기에 권취되기 전에 연선의 비틀림등을 교정하여 직진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일정한 연선피치가 부여되도록 통과하게 되는 교정기에 부착된 다수의 베어링을 외주면상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평행하게 두개의 와이어 이송홈이 형성되도록 가공함으로써 일측의 와이어 이송홈 마모시 타측의 와이어 이송홈을 통해 와이어 로프나 스틸코드가 이동하며 직진성이 부여되어 교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베어링의 수명이 두배로 늘어나게 됨과 아울러 베어링 수명 증대로 인한 공정상의 원가 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연선기의 보이스를 통과하며 연선이 완료된 와이어 로프나 스틸코드등의 연선 이동경로상에 다수개의 베어링이 상호 엇갈리게 장착되어 비틀림등의 연선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60) 외륜(64)의 원주면상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평행한 와이어 이송홈(6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이송홈(61)은 외륜(64) 원주면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
KR2020000033314U 2000-11-28 2000-11-28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 KR200221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14U KR200221325Y1 (ko) 2000-11-28 2000-11-28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14U KR200221325Y1 (ko) 2000-11-28 2000-11-28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325Y1 true KR200221325Y1 (ko) 2001-04-16

Family

ID=7306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314U KR200221325Y1 (ko) 2000-11-28 2000-11-28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3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861A (ko) * 2018-09-13 2020-03-23 (주)연합시스템 크레인 및 고소 장비 차량용 베어링 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20200030860A (ko) * 2018-09-13 2020-03-23 (주)연합시스템 크레인 및 고소 장비 차량용 베어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861A (ko) * 2018-09-13 2020-03-23 (주)연합시스템 크레인 및 고소 장비 차량용 베어링 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20200030860A (ko) * 2018-09-13 2020-03-23 (주)연합시스템 크레인 및 고소 장비 차량용 베어링 장치
KR102095297B1 (ko) * 2018-09-13 2020-03-31 (주)연합시스템 크레인 및 고소 장비 차량용 베어링 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2095296B1 (ko) * 2018-09-13 2020-03-31 (주)연합시스템 크레인 및 고소 장비 차량용 베어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37988A1 (en) Stranding machine
CN110965380A (zh) 一种捻绳机加捻调节装置
US4887421A (en) Apparatus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a metal cord
US3823536A (en) Method of twisting elements to form an electrical cable having a twist whose direction alternates from section to section
KR200221325Y1 (ko) 연선 교정기용 베어링
KR100661222B1 (ko) 평각 선재용 압연 롤러를 구비한 선재 제조 장치
EP1676000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wire cord
CN107758428A (zh) 一种用于铜线收线的辅助工装
CN114446546B (zh) 具有动平衡自动补偿功能的环保节能高速单弓绞线机
US4498281A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metallic cord
CN211237825U (zh) 一种高速绞线机
CN111863355B (zh) 一种用于电缆制造的绞线机
GB1564351A (en) Bunching and twisting apparatus
KR200279492Y1 (ko) 이중홈 롤러가 구비된 교정기
KR100270170B1 (ko) 스틸코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07768030A (zh) 用于铜线卷筒收线的导引装置
KR101264949B1 (ko) 스틸코드 연선기
KR200221525Y1 (ko) 연선 클로징 공정의 백트위스트 장치
US45093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metallic cord
CN205575251U (zh) 用于铜线卷筒收线的导引装置
CN210458741U (zh) 一种热塑合绳机
JPS628904Y2 (ko)
KR100490596B1 (ko) 연선기의 교정기용 롤러
KR200227365Y1 (ko) 스틸코드 연선기의 외부공급선 조정장치
US20030141400A1 (e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reducing the tension of wires during a strand produc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