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043Y1 - 마이크로 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043Y1
KR200221043Y1 KR2020000030070U KR20000030070U KR200221043Y1 KR 200221043 Y1 KR200221043 Y1 KR 200221043Y1 KR 2020000030070 U KR2020000030070 U KR 2020000030070U KR 20000030070 U KR20000030070 U KR 20000030070U KR 200221043 Y1 KR200221043 Y1 KR 200221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jig
riveting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인환
Original Assignee
문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환 filed Critical 문인환
Priority to KR2020000030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0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043Y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접점이 리벳팅된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의 품질이 우수하고, 리벳팅을 하기 위한 프레스의 실린더가 작으면서도 높은 압력을 갖도록 하여 콤팩트한 장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마이크로스위치 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는, 프레임의 베이스소정위치에 다수개의 지그를 갖춘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덱스턴테이블과, 이 인덱스턴테이블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터미널정렬공급수단에서 정렬공급한 터미널을 회전실린더 방식을 이용한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를 이용하여 집어서 지그에 안착하도록 설치되는 터미널삽입수단과, 상기 지그에 터미널이 공급된 후 인덱스턴테이블이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접점정렬공급수단에서 회전실린더 방식을 이용한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를 이용하여 접점을 집어서 지그에 안착된 터미널에 공급하도록 설치된 접점삽입수단과, 이 접점삽입수단에서 삽입된 접점이 인덱스턴테이블과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상기 접점이 올바르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설치된 접점삽입확인수단과, 상기 접점확인수단의 확인에 의한 신호를 받아 일정각도 이동한 위치에서 접점이 올바르게 안착된 상태에서는 접점을 리벳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작동하지 않도록 토글방식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된 리벳팅에어프레스와, 이 리벳팅에어프레스가 설치된 곳에서 인덱스턴테이블이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접점이 터미널에 올바르게 리벳팅됨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설치된 완성품 취출 및 양불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A rivetting machine of point contact for microswitch terminal}
본 고안은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접점이 리벳팅된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의 품질이 우수하고, 리벳팅을 하기 위한 프레스의 실린더가 작으면서도 높은 압력을 갖도록 하여 콤팩트한 장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을 리벳팅 할 경우에는 리벳팅지그에 사람이 터미널을 삽입하고 접점을 끼워서 프레스에 이해 단발작업을 하였다.
따라서 터미널의 개당 리벳팅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의 곤란성에 의해 작업자가 기피하는 현상이 있어, 제조비용이 높아지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덱스턴테이블을 이용하여 각각의 스테이션에서 작업을 분산시켜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된 리벳팅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이러한 리벳팅장치의 터미널을 안착하기 위한 지그는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턴테이블(11)의 상부면에 고정된 하부블록(12)과, 이 하부블록(12)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하펀치(13)와, 상기 하부블록(12)에 세워진 가이드바(14)와 스프링(15)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부면에 터미널(W)을 안착시킨 상태로 하부로 이동되면 상기 하펀치(13)의 상부가 터미널(W)에 끼워진 접점(T)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가동판(16)이 구비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7은 가이드바(14)를 하부블록(12)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그의 설치구조는 상기 인덱스턴테이블(11)에 무리가 가고, 상기 인덱스턴테이블(11)과 하부블록(12) 및 하펀치(13)의 각각에서 발생하는 가공오차와 조립시의 조립공차에 의해 접점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또한 제품 즉, 터미널(W)을 인덱스턴테이블에 공급하거나 인덱스턴테이블에서 제거하기 위해 터미널(W)을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에어실린더 방식(AIR CYLINDER TYPE)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PICK & PLACE UNIT)는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20)에 고정된 지지부(21)의 상부에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에어실린더(22)가 설치되고, 이 에어실린더(22)의 로드(22a)에 상하로 로드(23a)가 작동되는 실린더(23)가 설치되며, 이 실린더(23)의 로드(23a)에 콘트롤박스(도시않됨)의 신호를 받아 터미널을 파지하여 옮겨놓도록 된 견인부(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는 상기 에어실린더(22)의 로드(22a)가 전후로 만 이동하는 것으로 전후진시 충격이 심각함은 물론, 이로인해 충격을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이송행정을 천천히 해야하므로 개당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지그에 안착된 터미널에 접점을 끼운 다음 리벳팅하기 위한 에어프레스는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블록(31)과, 이 지지블록(31)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판(32)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하로 직선 이동하도록 된 에어실린더(33)와, 상기 에어실린더(33)의 로드(33a)에 의해 상하로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블록(31)의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부(34)에 의해 안내되는 상펀치고정부(35)와, 이 상펀치고정부(35)에 설치되어 제품을 가압하도록 된 펀치(36)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 37은 상기 에어실린더(33)의 후방로드(33b)에 설치되어 로드 (33a)의 상하이동량을 조절하도록 한 스톱퍼이다.
그러나 이러한 에어프레스는, 상기 스톱퍼(37)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스톱퍼(37)가 닿는 면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치수가 불균일하게 됨과 더불어 미세조정이 어렵고, 힘을 크게하려면 대형의 에어실린더를 사용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터미널을 안착하는 지그가 가동되도록 설치하여 프레스시에 조립오차에 상관없이 리벳팅되도록 구성하여, 접점이 리벳팅된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의 품질이 우수하도록 한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를 회전실린더를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에어프레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토글방식의 프레스를 설치하여 적은 실린더로도 큰 압력을 낼 수 있어 기계가 콤펙트하게 되고, 링크방식이므로 리벳팅을 위한 높낮이의 조절이 미세한 정도까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지그가 인덱스턴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4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지그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A - A선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B - B선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C - C선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가 적용된 터미널삽입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터미널삽입수단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17은 도 14의 D - D선 단면도,
도 18은 본 고안의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가 적용된 접점정렬공급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접점정렬공급수단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20은 도 18의 E - E선 단면도,
도 21은 본 고안의 접점삽입확인수단이 인덱스턴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
도 23은 본 고안의 리벳팅에어프레스가 인덱스턴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는 도 23의 F - F선 단면도,
도 25는 도 23의 우측면도,
도 26은 도 23의 좌측면도,
도 27은 본 고안의 완성품취출 및 양/불량품의 분리수단을 인덱스턴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8은 도 27의 평면도,
도 29는 도 27의 완성품취출 및 양/불량품의 분리수단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30은 본 고안의 분리수단을 구성하는 안내가이드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1은 도 27의 G - G선 단면도,
도 32는 본 고안의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만을 설명하는 정면도,
도 33은 도 32의 평면도,
도 34는 도 32의 좌측면도,
도 3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그가 인덱스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6은 도 35의 평면도,
도 3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8은 도 37의 우측면도,
도 3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프레스의 정면도,
도 40은 도 39의 좌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터미널(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 T: 접점
1: 프레임 2: 베이스
5: 조작박스 6: 표시등
100: 지그 110: 바디
120,121: 가이드수단 130: 복귀수단
140: 업다운블록 150: 터미널셋팅지그
160: 커버 170: 터미널위치결정블록
200: 인덱스턴테이블 210: 인덱스
220: 턴테이블 300: 터미널정렬공급수단
400: 터미널삽입수단 410: 브라켓
420: 에어실린더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 430: 터미널흡착부
440: 터미널공급부 450: 위치결정부
500: 접점정렬공급수단 510: 파스피터가이드
600: 접점삽입수단 610: 브라켓
620: 에어실린더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 630: 접점흡착부
640: 접점공급부 650: 낙하물집합가이드
700: 접점삽입확인수단 730: 포토센서
800: 리벳팅에어프레스 810: 하부지지프레임
820: 상부지지프레임 825: 안전커버
830: 가압에어실린더 840: 커플링
850: 가압링크 860: 중간링크
870: 업다운블록 875: 상부펀치
880: 가이드베어링 890: 하부펀치
900: 완성품 취출 및 양불 분리수단 910: 브라켓
920: 에어실린더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 930: 파지부
940: 양불량품선별부 941: 원통부
950: 안내가이드 960: 불량품적재부
970: 양품적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마이크로스위치 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는, 프레임의 베이스소정위치에 다수개의 지그를 갖춘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덱스턴테이블과, 이 인덱스턴테이블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터미널정렬공급수단에서 정렬공급한 터미널을 회전실린더 방식을 이용한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를 이용하여 집어서 지그에 안착하도록 설치되는 터미널삽입수단과, 상기 지그에 터미널이 공급된 후 인덱스턴테이블이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접점정렬공급수단에서 회전실린더 방식을 이용한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를 이용하여 접점을 집어서 지그에 안착된 터미널에 공급하도록 설치된 접점삽입수단과, 이 접점삽입수단에서 삽입된 접점이 인덱스턴테이블과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상기 접점이 올바르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설치된 접점삽입확인수단과, 상기 접점확인수단의 확인에 의한 신호를 받아 일정각도 이동한 위치에서 접점이 올바르게 안착된 상태에서는 접점을 리벳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작동하지 않도록 토글방식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된 리벳팅에어프레스와, 이 리벳팅에어프레스가 설치된 곳에서 인덱스턴테이블이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접점이 터미널에 올바르게 리벳팅됨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설치된 완성품 취출 및 양불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 35 내지 도 40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는, 프레임(1)의 베이스(2)소정위치에 다수개의 지그(100)를 갖춘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덱스턴테이블(200)과, 이 인덱스턴테이블(200)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터미널정렬공급수단(300)에서 정렬공급한 터미널(W)을 집어서 지그(100)에 안착하도록 설치되는 터미널삽입수단(400)과, 상기 지그(100)에 터미널(W)이 공급된 후 인덱스턴테이블 (200)이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접점정렬공급수단(500)에서 접점(T)을 집어서 지그(100)에 안착된 터미널(W)에 공급하도록 설치된 접점삽입수단(600)과, 이 접점삽입수단(600)에서 삽입된 접점(T)이 인덱스턴테이블(200)과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상기 접점(T)이 올바르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설치된 접점삽입확인수단(700)과, 상기 접점확인수단(700)의 확인에 의한 신호를 받아 일정각도 이동한 위치에서 접점(T)이 올바르게 안착된 상태에서는 접점(T)을 리벳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작동하지 않도록 설치된 리벳팅에어프레스(800)와, 이 리벳팅에어프레스(800)가 설치된 곳에서 인덱스턴테이블(200)이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접점(T)이 터미널(W)에 올바르게 리벳팅됨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설치된 완성품 취출 및 양불 분리수단(9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2)의 소정위치에는 각각의 수단과 인덱스턴테이블(200) 및 리벳팅에어프레스(8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박스(5)가 설치됨과 더불어, 이 조작박스(5)의 상부에는 기계의 동작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등(6)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는 각각의 수단과 인덱스턴테이블 및 리벳팅에어프레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조작박스(5)와 연결된 전기 및 공기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100)는 도 2와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2)에 설치된 인덱스턴테이블(200)의 인덱스(210)에 의해 일정각도씩 회전하도록 설치된 턴테이블(220)의 상부에 일정각도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그(100)는, 상기 턴테이블(220)의 외주면과 상부에 밀착되어 고정된 바디(110)와, 이 바디(110)의 전면에 형성된 홈(111)에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조정가능하도록 됨과 더불어 크로스롤러베어링(120a,121a)이 구비된 한쌍의 가이드수단(120,121)과,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로 복귀하도록 설치된 복귀수단(130)과, 이 복귀수단(130)의 리턴스프링가이드(131)에 형성된 면취(131a)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수단(120,121)에 의해 일정높이 상하로 구름접촉하는 크로스롤러베어링(120a,121a)에 의해 미끄럼 이동되는 업다운블록(140)과, 이 업다운블록 (140)의 타단에 고정된 터미널셋팅지그(150)와, 이 터미널셋팅지그(150)의 상부면에 고정된 커버(160)와, 상기 터미널셋팅지그(150)의 상부에 마주보도록 고정되어 터미널(W)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한 한쌍의 터미널위치결정블록(1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수단(120,121)은, 상기 크로스롤러베어링(120a,121a)의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소정위치에 베어링롤러스톱퍼(122,1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귀수단(130)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일단에 상기 업다운블록(140)과 결합되도록 면취(131a)가 형성된 리턴스프링가이드(131)와, 이 리턴스프링가이드(131)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부(131b)로 끼워진 하부스프링시트(132)와, 이 하부스프링시트(132)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프링(133)과, 이 스프링(133)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리턴스프링가이드(131)의 나사부(131b)로 끼워지는 상부스프링시트(134)와, 이 상부스프링시트(134)의 상부로 돌출된 나사부(131b)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스프링시트(134)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리턴스프링가이드(131)를 상부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 너트(135,136)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 115는 바디(110)를 턴테이블(220)에 형성된 나사부(221)와 체결하기 위한 보울트와 같은 체결부재이고, 125는 가이드수단(120,121)을 바디(110)의 홈(111)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이며, 155는 터미널셋팅지그(150)를 업다운블록 (14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이고, 165와 175는 커버(160)와 터미널위치결정블록(170)을 터미널셋팅지그(150)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삽입수단(400)은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2)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410)과, 이 브라켓(410)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회전실린더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하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420)와, 이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4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정렬공급수단(300)의 파스피더가이드(310)로 공급되는 터미널(W)을 파지하여 상기 지그(100)의 터미널셋팅지그(150)에 올려놓도록 한 터미널흡착부(430)와, 이 터미널흡착부(430)의 하부이면서 상기 파스피더가이드(310)와 동일선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터미널(W)을 한개씩 분리하여 상기 터미널흡착부(430)가 터미널(W)을 흡착하기 용이하도록 분리하는 터미널공급부(440)와, 이 터미널공급부(440)의 하부이면서 삽입수단프레임(410)에 고정되어 상기 터미널흡착부(430)에 의해 이송된 터미널(W)의 위치를 결정해주도록 설치된 위치결정부(45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접점삽입수단(600)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2)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610)과, 이 브라켓(610)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회전실린더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하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620)와, 이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6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정렬공급수단(500)의 파스피더가이드(510)로 공급되는 접점(T)을 파지하여 상기 지그(100)의 터미널셋팅지그 (150)에 올려놓은 터미널(W)의 리벳팅포인트에 올려놓도록 한 접점흡착부(630)와, 이 접점흡착부(630)의 하부이면서 상기 파스피더가이드(510)와 동일선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접점(T)을 한개씩 분리하여 상기 접점흡착부(630)가 접점(T)을 흡착하기 용이하도록 분리하는 접점공급부(640)와, 이 접점공급부(440)의 하부이면서 브라켓(610)에 고정되어 상기 접점흡착부(630)에 의해 이송된 접점(T)이 터미널(W)에 정확히 안착되지 않은 경우 낙하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설치된 낙하물집합가이드 (65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접점삽입확인수단(700)은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2)에 수직으로 세워진 확인수단프레임(710)과, 이 확인수단프레임(710)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된 한쌍의 고정블록(720)과, 이 고정블록 (7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인덱스턴테이블(200)의 턴테이블(220)에 설치된 지그(100)의 터미널(W)에 놓여진 접점(T)를 감지하도록 된 포토센서 (730)와, 상기 확인수단프레임(710)과 고정블록(7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포토센서 (730)로 연결되는 와이어하네스(a)를 보호하도록 설치된 커버(74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리벳팅에어프레스(800)는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2)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하부지지프레임(810)과, 이 하부지지프레임 (81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지지프레임(820)과, 이 상부지지프레임(820)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가압에어실린더(830)과, 이 가압에어실린더(830)의 로드(831)에 연결된 커플링(840)과, 이 커플링(84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가압링크(850)와, 이 가압링크(85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중간링크(860)와, 이 중간링크(860)의 타단에 힌지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된 업다운블록(870)과, 이 업다운블록(870)을 안내하도록 상기 상부지지프레임(820)에 고정된 가이드베어링(880)과, 상기 업다운블록(87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접점(T)을 가압하는 상펀치(875)와 맞닿아 인덱스턴테이블(200)을 구성하는 턴테이블(220)에 설치된 지그(100)의 터미널 (W)에 접점(T)을 리벳팅하도록 한 하부펀치(89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프레임(820)의 상측부에는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작업자의 손등이 우연히 들어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커버(82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프레임(820)의 상부에는 상기 커플링(840)의 상부이동을 제한하는 스트록조정부(8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완성품 취출 및 양불 분리수단(900)은 도 27 내지 도 3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2)의 상부에 세워진 브라켓(910)과, 이 브라켓(910)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회전실린더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하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920)와, 이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9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덱스턴테이블(200)의 턴테이블(220)에 설치된 지그(100)의 터미널(W)을 파지하여 이동한 뒤 놓아서 하부로 떨어지도록 한 파지부(930)와, 상기 브라켓(91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조작박스의 신호를 받아 상하로 작동되면서 회전하는 원통부(941)를 갖춘 양불량품선별부(940)와, 상기 원통부(941)에 설치되어 양품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950)와, 이 안내가이드(950)가 회전되어 터미널(W)이 불량품으로 떨어질 때 이를 받도록 상기 파지부(930)의 하부이면서 브라켓(9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불량품적재부(960)와, 상기 안내가이드(950)가 회전되어 터미널(W)이 양품으로 떨어질 때 이를 안내가이드(950)가 안내하여 받도록 상기 프레임(1)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양품적재부(970)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실린더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하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420,620,920)를 도 32 내지 도 34에 의거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2)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 (410,610,910)의 일측면에 설치된 회전에어실린더(421,621,921)와, 이 회전에어실린더(421,621,921)의 축에 끼워져 동기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링크(422,622,922)와, 이 회전링크(422,622,922)의 선단에 끼워져 직선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캠(423, 623,923)과, 이 캠(423,623,923)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바(424,624,924)와, 이 가이드바(424,624,924)를 안내하도록 상기 브라켓(410,610,910)에 설치된 가이드블록(425,625,925)과, 상기 가이드바(424,624,924)의 타단에 고정된 전후진블록 (426,626,926)과, 이 전후진블록(426,626,926)의 상부에 설치된 업다운에어실린더 (427,627,927)와, 이 업다운에어실린더(427,627,927)의 로드와 연결된 커플링(428, 628,928)과, 이 커플링(428,628,928)을 매개로 연장되어 하부에 각각의 흡착 또는 집게등의 에어그리퍼가 설치되는 업다운바(429,629,929)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 P는 상기 커플링(428,628,928)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후진블록(426,626,926)에 돌출된 회전방지바이다.
따라서 상기 조작박스(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스위치를 넣으면 상기 터미널정렬공급수단(300)이 진동하면서 터미널(W)을 정렬하여 파스피터가이드(310)를 통해 터미널삽입수단(400)의 브라켓(410)측면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공급부(440)에서 터미널(W)을 한개 이동시키고, 이렇게 이동된 터미널(W)을 상기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420)의 하부에 설치된 터미널흡착부(430)가 흡착하여 상기 지그(100)에 올려 놓는다.
이때 상기 지그(100)에 올려지는 터미널(W)은 상기 브라켓(410)의 측면에 설치된 위치결정부(450)에 의해 감지되면서 안착된다.
상기 지그(100)에 올려지는 터미널(W)은 상기 터미널셋팅지그(150)와 터미널위치결정블록(170)에 의해 안내되어 안착된다.
이후 상기 터미널삽입수단(400)은 복귀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인덱스턴테이블(200)의 인덱스(210)는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지그(100)가 다수개 안착된 턴테이블(220)을 일정각도 회전시킨다.
이렇게 회전된 위치에는 상기 접점정렬공급수단(500)이 진동하면서 파스피더가이드(510)에 의해 접점(T)이 정렬되어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접점공급부(640)에 의해 한개의 접점(T)이 분리된 다음, 상기 접점삽입확인수단(600)의 접점흡착부 (630)와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620)의 작동에 의해 접점(T)이 파지되어 상기 지그(100)에 놓인 터미널(W)의 접점안착부에 안착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접점정렬공급수단(500)은 복귀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인덱스턴테이블(200)의 인덱스(210)는 일정각도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접점(T)이 제대로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시 낙하물집합가이드(650)에 의해 수집되고 나머지는 접점안착부에 제자리를 찾아 안착된다.
이렇게 회전된 위치에는 접점삽입확인수단(700)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블록 (720)에 접점(T)이 제대로 안착되었는가를 포토센서(730)가 감지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후 상기 턴테이블(220)은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접점삽입확인수단 (700)에서 접점이 안착된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리벳팅에어프레스(800)로 신호를 보내어 가압에어실린더(830)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가압에어실린더(830)에 연결된 커플링(840)과 가압링크(850) 및 중간링크(860)와 업다운블록 (870)이 연동하여 상부펀치(875)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펀치(875)가 상기 지그(100)의 터미널셋팅지그(150)를 가압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업다운블록(140)이 상기 복귀수단(130)의 탄발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펀치(890)에 가압하게 되면서 상기 접점(T)은 리벳팅된다.
이때 상기 리벳팅되는 량은 상기 하부펀치(890)과 상부펀치(825)가 일정할 때 다른 부품의 제조오차나 조립오차에 관계 없이 리벳팅되므로 일정한 리벳팅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가압에어실린더(830)는 커플링(840)과 가압링크(850) 및 중간링크 (860)를 이용하는 토글식의 구조로 되어 적은 용량의 가압에어실린더(830)로 큰 힘의 가압력을 갖게 된다.
이와 동시에 기계가 콤펙트하게 되고, 링크방식이므로 리벳팅을 위한 높낮이의 조절이 미세한 정도까지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리벳팅에어프레스(800)의 가압에어실린더(83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지그(100)의 업다운블록(140)과 터미널셋팅지그(150)도 복귀수단(130)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턴테이블(220)이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완성품 취출 및 양불 분리수단(900)의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920)에 의해 파지부(930)이 이동하여 터미널(W)을 파지하고 돌아와서 터미널(W)을 놓게 된다.
이때 상기 접점삽입확인수단(70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양불량품선별부(940)가 작동하여 양품인 경우에는 안내가이드(9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터미널(W)이 양품적재부(970)로 낙하되게 되고, 불량품인 경우에는 안내가이드 (9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터미널(W)이 불량품적재부(960)로 낙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920)의 작동은, 상기 회전에어실린더(421,621,921)가 작동하게 되면 회전링크(422,622,922)가 회전하면서 캠(423,,623,923)을 좌우로 왕복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가이드블록(425,625,925)의 안내를 받아 가이드바(424,624,924)와 전후진블록(426,626,926)이 좌우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업다운에어실린더(427,627,927)에 의해 업다운바(429, 629,929)도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바, 상기 가이드바(424,624,924)가 지그(100)쪽으로 이동될 때 업다운바(429, 629,929)도 지그(100)의 터미널셋팅지그(150)로 이동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연동된다.
즉, 상기 회전에어실린더(421,621,921)가 작동하게 될 때 연속적으로 캠(423,,623,923)과 가이드바(424,624,924)가 왕복이동되어도 충격없이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을 안착하는 지그가 가동되어 프레스시에 조립오차에 상관없이 리벳팅되므로, 접점이 리벳팅된 마이크로스위치 터미널의 품질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를 회전실린더를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여 기계에 무리한 충격이 없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프레스를 토글방식으로 설치하여 적은 가압에어실린더로 큰 압력을 낼 수 있어 기계가 콤펙트하게 되고, 링크방식이므로 리벳팅을 위한 높낮이의 조절이 미세한 정도까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프레임의 베이스소정위치에 다수개의 지그를 갖춘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덱스턴테이블과, 이 인덱스턴테이블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터미널정렬공급수단에서 정렬공급한 터미널을 회전실린더 방식을 이용한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를 이용하여 집어서 지그에 안착하도록 설치되는 터미널삽입수단과, 상기 지그에 터미널이 공급된 후 인덱스턴테이블이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접점정렬공급수단에서 회전실린더 방식을 이용한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를 이용하여 접점을 집어서 지그에 안착된 터미널에 공급하도록 설치된 접점삽입수단과, 이 접점삽입수단에서 삽입된 접점이 인덱스턴테이블과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상기 접점이 올바르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설치된 접점삽입확인수단과, 상기 접점확인수단의 확인에 의한 신호를 받아 일정각도 이동한 위치에서 접점이 올바르게 안착된 상태에서는 접점을 리벳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작동하지 않도록 토글방식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된 리벳팅에어프레스와, 이 리벳팅에어프레스가 설치된 곳에서 인덱스턴테이블이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접점이 터미널에 올바르게 리벳팅됨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설치된 완성품 취출 및 양불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스위치 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인덱스턴테이블을 구성하는 턴테이블에 밀착되어 고정된 바디와, 이 바디에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조정가능하도록 됨과 더불어 베어링이 구비된 한쌍의 가이드수단과,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복귀하도록 설치된 복귀수단과, 이 복귀수단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수단에 의해 일정높이 상하로 미끄럼 이동되는 업다운블록과, 이 업다운블록의 타단에 고정된 터미널셋팅지그와, 이 터미널셋팅지그의 상부면에 고정된 커버와, 상기 터미널셋팅지그의 상부에 터미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설치한 터미널위치결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팅에어프레스는, 상기 베이스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하부지지프레임과, 이 하부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지지프레임과, 이 상부지지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가압에어실린더와, 이 가압에어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된 커플링과, 이 커플링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가압링크와, 이 가압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중간링크와, 이 중간링크의 타단에 힌지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된 업다운블록과, 이 업다운블록을 안내하도록 상기 상부지지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베어링과, 상기 업다운블록의 하부에 설치되어 접점을 가압하는 상펀치와 맞닿아 인덱스턴테이블을 구성하는 턴테이블에 설치된 지그의 터미널에 접점을 리벳팅하도록 한 하부펀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프레임의 상측부에는 안전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커플링의 상부이동을 제한하는 스트록조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5. 제 1항 내지 재 4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실린더 방식의 픽 엔 플레이스 유니트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된 회전에어실린더와, 이 회전에어실린더의 축에 끼워져 동기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링크와, 이 회전링크의 선단에 끼워져 직선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캠과, 이 캠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바와, 이 가이드바를 안내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바의 타단에 고정된 전후진블록 과, 이 전후진블록의 상부에 설치된 업다운에어실린더와, 이 업다운에어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된 커플링과, 이 커플링을 매개로 연장되어 하부에 각각의 흡착 또는 집게등의 에어그리퍼가 설치되는 업다운바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위치 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KR2020000030070U 2000-10-27 2000-10-27 마이크로 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KR200221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070U KR200221043Y1 (ko) 2000-10-27 2000-10-27 마이크로 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070U KR200221043Y1 (ko) 2000-10-27 2000-10-27 마이크로 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043Y1 true KR200221043Y1 (ko) 2001-04-16

Family

ID=7309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070U KR200221043Y1 (ko) 2000-10-27 2000-10-27 마이크로 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04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0762A (zh) * 2018-05-28 2018-08-10 厦门攸信信息技术有限公司 铆压装置及生产线
CN108428598A (zh) * 2018-05-21 2018-08-21 杭州杰涵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塑壳断路器动触头自动铆接装置及其操作方法
CN108889857A (zh) * 2018-08-27 2018-11-27 浙江龙泰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开关触点铆接设备
CN110125308A (zh) * 2019-06-18 2019-08-16 广西丹斯电气自动化工程有限公司 轴承铆合自动化设备及其控制方法
CN114260411A (zh) * 2021-12-25 2022-04-01 东莞市澜顺鑫实业有限公司 一种门锁电机的自动组装系统
CN108380762B (zh) * 2018-05-28 2024-06-04 厦门攸信信息技术有限公司 铆压装置及生产线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8598A (zh) * 2018-05-21 2018-08-21 杭州杰涵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塑壳断路器动触头自动铆接装置及其操作方法
CN108428598B (zh) * 2018-05-21 2023-09-12 杭州杰涵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塑壳断路器动触头自动铆接装置及其操作方法
CN108380762A (zh) * 2018-05-28 2018-08-10 厦门攸信信息技术有限公司 铆压装置及生产线
CN108380762B (zh) * 2018-05-28 2024-06-04 厦门攸信信息技术有限公司 铆压装置及生产线
CN108889857A (zh) * 2018-08-27 2018-11-27 浙江龙泰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开关触点铆接设备
CN110125308A (zh) * 2019-06-18 2019-08-16 广西丹斯电气自动化工程有限公司 轴承铆合自动化设备及其控制方法
CN114260411A (zh) * 2021-12-25 2022-04-01 东莞市澜顺鑫实业有限公司 一种门锁电机的自动组装系统
CN114260411B (zh) * 2021-12-25 2024-06-04 东莞市澜顺鑫实业有限公司 一种门锁电机的自动组装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90684B (zh) 矩形重载电连接器的内置接触簧片数控全自动装配机
CN108381168B (zh) 电梯板式制动器自动化装配线
CN109591251B (zh) 针对端子注塑的生产方法
US5220715A (en) Printed circuit board processing apparatus
CN113695901A (zh) 一种电磁阀线圈自动组装设备和组装方法
CN113811099A (zh) 一种高精度高效pcb板全自动打pin机构
KR200221043Y1 (ko) 마이크로 스위치터미널용 접점의 리벳팅장치
CN109066266B (zh) 一种全自动组装插头设备
CN209614769U (zh) 一种限位器前道装配设备
US6565349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outsert molded parts in production line
KR100594338B1 (ko) 시트를 가공 기계의 진입부 안으로 위치 정렬 시키기 위한장치
CN114453496A (zh) 一种电动剃须刀刀片的冲压成型设备
US6564446B2 (en) Component placement machine
EP012162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aightening and aligning leads and testing electrical functioning of components
US20220314299A1 (en) Workpiece ejecting system for use in stamping machine
CN112038077A (zh) 一种电磁铁线圈生产方法和设备
KR20000009146A (ko) 타블렛 자동공급장치
CN218854907U (zh) 一种弹片组装检测设备
CN212255654U (zh) 一种变压器自动检测的上下料装置
CN215933503U (zh) 一种断路器自动拼装装置
CN114700730B (zh) 一种杯盖自动生产线
US20010045164A1 (en) Device for printing printed sheets according to the screen printing method
CN216414715U (zh) 一种高精度高效pcb板全自动打pin机构
CN218015549U (zh) 一种双工位自动压铆设备
CN103379819A (zh) 零件安装方法及零件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