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914Y1 - 입체영상관측기 - Google Patents

입체영상관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914Y1
KR200220914Y1 KR2020000030812U KR20000030812U KR200220914Y1 KR 200220914 Y1 KR200220914 Y1 KR 200220914Y1 KR 2020000030812 U KR2020000030812 U KR 2020000030812U KR 20000030812 U KR20000030812 U KR 20000030812U KR 200220914 Y1 KR200220914 Y1 KR 200220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m
pair
film
observer
righ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정훈
이용범
송무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후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후후 filed Critical 주식회사후후
Priority to KR2020000030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914Y1/ko

Links

Landscapes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영상관측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사용자의 눈을 통하여 그림이나 필름 등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접안렌즈가 결합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상측에 그 후면부에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이 마련된 상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하측에 그 후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면부와 대향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이 마련된 하면부와; 상기 상면부 및 하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후면부와 대향되며, 상기 한 쌍의 접안렌즈에 대응하여 입체영상의 형성을 위한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을 지지하는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와 전면부의 양단을 연결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이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면부에 결합된 접안렌즈를 통해 전면부에 지지된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을 입체적으로 관측하며, 상면부와 하면부와 측면부에 마련된 굴곡선을 따라 상면부와 하면부와 측면부를 각각 접음으로써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쉽게 조립이 가능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종 로그나 선전문구를 기입한 채로 규격봉투에 넣어 우편으로 발송할 수도 있으므로 광고용 판촉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관측자의 시력에 맞도록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체영상관측기{Device for observe of solid picture}
본 고안은 입체영상 관측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을 수 있는 구조여서 그 보관이 편리하고, 우편봉투에 넣어 송달함으로써 판촉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관측자의 시력에 맞추어 접안렌즈와 좌우 영상필름들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입체영상 관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 관측기에는 좌우측 접안렌즈와 대향하는 부위에 좌우 한 쌍으로 촬영된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이 각각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관측자가 좌측접안렌즈를 통하여 좌측영상필름을, 그리고 우측접안렌즈를 통하여 우측영상필름을 관측하면 관측자의 눈에는 상기 좌우측 영상필름이 합쳐져서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입체영상 관측기는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그 입체영상 관측기의 외면을 이루는 하우징을 플라스틱 등의 딱딱한 재질로 만들어 제작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그 외형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부피가 크고 휴대가 불편하였으며, 관측자의 시력에 맞추어 접안렌즈와 상기 좌우 영상필름들 사이의 거리를 마음대로 조정하지 못하므로 관측자에 따라서는 선명한 입체관측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외형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좌우 영상필름을 교체하기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쉽게 조립이 가능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각종 로그나 선전문구를 기입한 채로 규격봉투에 넣어 우편으로 발송할 수도 있으므로 광고용 판촉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접안렌즈와 좌우 영상필름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이 쉽게 관측자의 시력에 맞추어 접안렌즈와 좌우 영상필름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좌우 영상필름들을 여러 가지 다른 영상을 촬영한 필름으로 교체해가며 볼 수 있는 입체영상관측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관측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전개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체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 영상필름 10. 후면부
11. 접안렌즈 13. 절취부
20. 상면부 21,31,51. 굴곡선
30. 하면부 40. 전면부
41. 제1전면부 42. 제2전면부
44. 공간부 50. 측면부
70. 지지체 71. 제1지지판
72. 제2지지판 73. 조절막대
711. 수용홈 711,721. 관통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입체영상관측기는 사용자의 눈을 통하여 그림이나 필름 등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접안렌즈가 결합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상측에 그 후면부에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이 마련된 상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하측에 그 후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면부와 대향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이 마련된 하면부와; 상기 상면부 및 하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후면부와 대향되며, 상기 한 쌍의 접안렌즈에 대응하여 입체영상의 형성을 위한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을 지지하는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와 전면부의 양단을 연결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이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면부에 결합된 접안렌즈를 통해 전면부에 지지된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을 입체적으로 관측하며, 상면부와 하면부와 측면부에 마련된 굴곡선을 따라 상면부와 하면부와 측면부를 각각 접음으로써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관측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관측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관측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전개도를, 도 4는 도 1의 Ⅳ-Ⅳ선 단면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체의 분리사시도를,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관측기는 후면부(10)와, 상면부(20)와, 하면부(30)와, 전면부(40)와, 측면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후면부(10)에는 사용자의 눈을 통하여 그림이나 필름 등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접안렌즈(11)가 결합된다.
상기 상면부(20)는 상기 후면부(10)의 상측에 그 후면부(10)에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면부(30)는 상기 후면부(10)의 하측에 그 후면부(10)에 연결되어 상기 상면부(20)와 대향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3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면부(40)는 상기 상면부(20) 및 하면부(30)에 연결되어 상기 후면부(10)와 대향되며, 상기 한 쌍의 접안렌즈(11)에 대응하여 입체영상의 형성을 위한 좌측영상필름(7)과 우측영상필름(7)을 지지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전면부(41)와 제2전면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전면부(41)에는 상기 좌측영상필름(7)과 우측영상필름(7)이 대면하는 부위에 외부의 빛을 수용하여 그 좌우측 영상필름(7)들을 관측할 수 있도록 좌우의 관통공(41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면부(41)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지지체(7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원형상의 홈(4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전면부(42)에도 상기 좌측영상필름(7)과 우측영상필름(7)이 대면하는 부위에 외부의 빛을 수용하여 그 좌우측 영상필름(7)들을 관측할 수 있도록 좌우의 관통공(42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전면부(41)와 제2전면부(42)는 서로 대면되게 배치되어 그 들 사이에 상기 좌측영상필름(7)과 우측영상필름(7) 들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4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전면부(41)와 제2전면부(4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44)에 상기 좌우 영상필름(7)을 수용하는 지지체(70)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는(70)는 제1지지판(71)과, 제2지지판(72)과, 한 쌍의 조절막대(7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지지판(7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713)을 가지며, 상기 제2지지판(72)과 결합되도록 복수의 체결돌기(71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판(71)에는 좌우 한 쌍으로 촬영된 좌측영상필름(7)과 우측영상필름(7)을 관측할 수 있도록 외부의 빛을 투과시키기 위해, 상기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71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71)에는 상기 제2지지판(72)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일면에 반원형상의 개폐홈(71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판(72)은 상기 제1지지판(71)과 대면되어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장공(724)을 가지며, 상기 제1지지판(71)의 체결돌기(715)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홈(725)이 형성되어 있다. 각 체결홈(725)의 직경은 대응되는 체결돌기(715)가 약간 빡빡하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판(72)에는 상기 제1지지판(71)과 같이 좌우 한 쌍으로 촬영된 좌측영상필름(7)과 우측영상필름(7)을 관측할 수 있도록 외부의 빛을 투과시키기 위해, 상기 좌측영상필름(7)과 우측영상필름(7)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7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각 조절막대(73)는 상기 제1지지판(71)과 제2지지판(72) 사이에 위치되며, 조절돌기(734)와 결합돌기(73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조절돌기(734)는 상기 조절막대(73)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지지판(72)의 대응되는 장공(724)에 좌우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서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결합돌기(738)는 상기 조절돌기(734)가 형성된 반대면에 돌출되며, 상기 좌우 영상필름(7)들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8)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홈(713)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돌기(738)가 상기 좌우 영상필름(7)의 구멍(8)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필름(7)들이 상기 한 쌍의 조절막대(73)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막대(73)는 상기 제1지지판(71)의 가이드홈(713)을 따라 그 가이드홈(71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부(50)는 상기 후면부(10)와 전면부(40)의 양단을 연결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5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부(20), 하면부(30), 전면부(40), 후면부(10), 측면부(50)는 두꺼운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한 굴곡선(21,31,51)들은 두꺼운 종이에 조금 칼집을 내거나, 프레스 등으로 눌러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관측기(10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먼저 그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관측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개도로부터 조립된다.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선을 모두 접고 제1전면부(41)의 양측으로 연장된 측면부(50)의 양끝단 부분(54)을 후면부(10)의 양측으로 연장된 측면부(50)의 양끝단에 풀이나 본드 등의 접착제로 붙인다. 이 때 상기 후면부(10)의 한 쌍의 관통공(15)에는 각각 접안렌즈(11)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2전면부(42)의 양측으로 연장된 공간부(44)를 이루는 부위를 4개의 점선을 따라 4번 90도로 도면을 보아서 지면으로 나오는 방향으로 접는다. 그러면 상기 제2전면부(42)의 양측에 4각기둥이 형성되는데 그 바깥면을 상기 제1전면부(41)와 대면하는 제1전면부(41)의 양단 부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전면부(41)와 제2전면부(42) 사이에는 상기 지지체(70)가 수용되는 공간부(44)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관측기(100)가 조립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접착제로 두 군데를 접착만 하면 되므로 그 조립이 간단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관측기(1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과정에서 조립된 입체영상관측기(100)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하고자 하는 좌우 한 쌍으로 촬영된 좌측영상필름(7)과 우측영상필름(7)이 수용된 상기 지지체(70)를 상기 제1전면부(41)와 제2전면부(42) 사이의 공간부(44)에 삽입한다. 이 때 한 장의 전개도에서 상기 입체영상관측기(100)가 조립되었으므로 상기 공간부(44)의 일면만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그 반대면은 막혀있게 되므로 상기 지지체(70)는 상기 공간부(44)에 지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후면부(10)의 접안렌즈(11)를 통해서 상기 좌우 영상필름(7)을 입체적으로 관측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면부(10)와 하면부(30)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한 쌍의 접안렌즈(11)들 사이의 부위, 즉 상기 모서리부분의 중앙부위를 절취한 절취부(1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관측자의 코 부위를 상기 절취부(13)에 수용시키고 상기 접안렌즈(11)들을 통하여 상기 지지체(70)에 위치된 좌우 영상필름(7)을 관측하면 상기 접안렌즈(13)에 의해 좌우 영상필름(7)이 확대되고 확대된 각 영상은 관측자의 눈에 의해 합쳐져서 입체적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관측자의 시력과 상기 접안렌즈(11)와 좌우 영상필름(7) 사이의 거리가 대응되지 않으면 상기 좌우 영상필름(7)들을 선명하게 관측할 수가 없다. 즉 관측자의 시력에 따라서 상기 접안렌즈(11)와 좌우 영상필름(7)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는 상기 후면부(10)를 전면부(40)가 위치된 방향으로 조금 민다. 이에 따라 상기 상면부(20)와 하면부(30)와 측면부(50)에는 각각 절곡선(21,31,5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곡선(21,31,51)을 따라서 상기 상면부(20)와 하면부(30)와 측면부(50)가 접힐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후면부(10)와 전면부(4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접안렌즈(11)와 좌우 영상필름(7)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입체영상관측기(100)를 보관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부(10)를 전면부(40)가 위치된 방향(도 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민다. 그러면 상기 상면부(20)와 하면부(30)와 측면부(50)에 접을 수 있도록 절곡선(21,31,51)들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곡선(21,31,51)을 따라 상기 상면부(20)와 하면부(30)와 측면부(50)가 각각 접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면부(10)는 전면부(40)와 밀착되게 되므로 상기 입체영상관측기(100)는 그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지금까지 관측하던 좌우 영상필름(7)들과 다른 필름을 관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체(70)를 제1전면부(41)와 제2전면부(42) 사이의 공간부(44)에서 빼어내고, 핀이나 바늘 등 끝이 가는 것으로 상기 지지체(70)의 제1지지판(71)에 형성된 체결홈(717)을 관통하여 상기 제2지지판(72)을 민다. 그러면 쉽게 상기 제1지지판(71)과 제2지지판(72)이 서로 분리된다. 이어서 관측하고자 하는 좌우 한 쌍의 필름(7)의 구멍(8)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막대(73)의 결합돌기(738)를 끼우고 상기 결합돌기(738)를 제1지지판(71)의 가이드홈(713)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각 조절막대(73)의 조절돌기(734)를 상기 제2지지판(72)에 형성된 한 쌍의 장공(724)에 각각 삽입시켜 상기 조절돌기(734)들이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판(71)에 형성된 체결돌기(715)들을 상기 제2지지판(72)에 형성된 체결홈(725)들에 각각 끼우면 상기 지지체(70)의 결합이 완성된다. 이렇게 결합된 상기 지지체(70)를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그 좌우 영상필름(7)을 입체적으로 관측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관측자의 양 눈동자의 거리와 상기 좌우 영상필름(7)들 사이의 간격이 대응하지 않으면 상기 좌우 영상필름(7)들이 흐릿하게 보여 선명한 입체관측이 되지 않는다. 이 때는 상기 지지체(70)의 제2지지판(72)의 장공(724)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오는 조절돌기(734)를 그 장공(724)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조절막대(73)에 결합된 상기 좌우 영상필름(7)들이 함께 이동이 되므로 관측자의 양 눈동자 간의 거리에 맞추어 상기 좌우 영상필름(7)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 영상필름(7)들의 좌우 이동은 상기 조절막대(73)의 결합돌기(738)가 상기 제1지지판(71)의 가이드홈(713)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713)은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좌우 영상필름(7)들이 수평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홈(71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면부(20)와 하면부(30) 등에는 광고용 문구나 상표나 로크 등을 인쇄할 수가 있으므로 선전용으로 입체영상관측기(100)를 사용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부(10)가 상면부(20)에 접촉되도록 접은 상태에서 판촉활동이나 광고를 위해 우편으로 우송할 수도 있고,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개한 상태에서 우송할 수도 있으므로 판촉물로도 입체영상관측기(100)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우 영상필름(7)이 지지체(70)에 수용되어 관측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간부(44)의 간격을 좁게 만들거나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좌우 영상필름(7)을 그대로 상기 제1전면부(41)와 제2전면부(42) 사이로 끼워 넣으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부(40)가 제1전면부(41)와 제2전면부(42)로 이루어져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전면부로 구성하고 상기 전면부의 안쪽에 상기 좌우 영상필름을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부(40), 후면부(10), 상면부(20), 하면부(30), 측면부(50)가 두꺼운 종이 등의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힐 수 있는 연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하여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체영상관측기에 의하면, 쉽게 조립이 가능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각종 로그나 선전문구를 기입한 채로 규격봉투에 넣어 우편으로 발송할 수도 있으므로 광고용 판촉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접안렌즈와 좌우 영상필름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이 쉽게 관측자의 시력에 맞추어 접안렌즈와 좌우 영상필름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좌우 영상필름들을 여러 가지 다른 영상을 촬영한 필름으로 교체해가며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사용자의 눈을 통하여 그림이나 필름 등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접안렌즈가 결합되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상측에 그 후면부에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이 마련된 상면부;
    상기 후면부의 하측에 그 후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면부와 대향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이 마련된 하면부;
    상기 상면부 및 하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후면부와 대향되며, 상기 한 쌍의 접안렌즈에 대응하여 입체영상의 형성을 위한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을 지지하는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와 전면부의 양단을 연결하며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굴곡선이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면부에 결합된 접안렌즈를 통해 전면부에 지지된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을 입체적으로 관측하며, 상면부와 하면부와 측면부에 마련된 굴곡선을 따라 상면부와 하면부와 측면부를 각각 접음으로써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관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면부는
    서로 대면되게 배치되어 그 들 사이에 상기 좌우 한 쌍으로 촬영된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관측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부와 제2전면부 사이의 공간부에 끼워지며, 상기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관측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를 가지는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과 대면되어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장공을 가지는 제2지지판;
    각각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홈에 그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이 고정되며, 각각 상기 제2지지판의 한 쌍의 장공에 좌우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서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돌기를 가지는 한 쌍의 조절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에는 상기 좌우 영상필름과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좌우 영상필름을 관측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영상필름과 대면하는 부위 및 우측영상필름과 대면하는 부위에 외부의 빛을 투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돌기를 통해 한 쌍의 조절막대에 고정된 상기 좌측영상필름과 우측영상필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관측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절막대에는 상기 좌우 영상필름들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그 각 결합돌기가 상기 좌우 영상필름의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필름들이 조절막대들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관측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와 하면부가 접촉되는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입체영상필름의 관측시에 관측자의 코 부위를 수용하여 관측자의 눈이 상기 한 쌍의 접안렌즈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접안렌즈들 사이의 부위를 절취하여 형성된 절취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관측기.
KR2020000030812U 2000-11-03 2000-11-03 입체영상관측기 KR200220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812U KR200220914Y1 (ko) 2000-11-03 2000-11-03 입체영상관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812U KR200220914Y1 (ko) 2000-11-03 2000-11-03 입체영상관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914Y1 true KR200220914Y1 (ko) 2001-04-16

Family

ID=7309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812U KR200220914Y1 (ko) 2000-11-03 2000-11-03 입체영상관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9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924B1 (ko) 2010-09-30 2012-08-02 조성환 관측 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924B1 (ko) 2010-09-30 2012-08-02 조성환 관측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9074A1 (en) Multi-purpose image display systems
EP1932572A1 (en) Stereoscopic spectacles
TW319865B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ith a single image display device
US6069735A (en) Viewer with enhanced wide field view
CN111090179A (zh) 用于教育影像监视器的虚拟现实影像装置
KR200220914Y1 (ko) 입체영상관측기
CN109143767A (zh) 一种基于棱镜折射分光的单镜头3d拍摄结构
AU684266B2 (en) Stereoscopic viewing device
JPS59171924A (ja) ステレオヴユ−ア−
US3424511A (en) Wide-angle stereoviewer
JP2520157Y2 (ja) 立体視装置
JP2010243994A (ja) 立体視用ビュア
JPH0373913A (ja) 光学収束の新原理に基づく万能立体ビュアー
US20050243418A1 (en) Adjustable display stereoscope
JPS6027371Y2 (ja) 折畳ステレオビユア−
US5940210A (en) Collapsible stereoscopic viewer
KR200226991Y1 (ko) 입체영상 관측기
KR200187780Y1 (ko) 절첩식 입체 영상광고경
KR20080028875A (ko) 입체 관측 장치
US5894365A (en) Collapsible viewer having an integral reflection print
WO1998048313A1 (en) Device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JPH04119424U (ja) ステレオビユアー
JPH0743695Y2 (ja) 立体スコープ用フレーム
JP2018124500A (ja) 簡易3次元ビューワ
JP3018606U (ja) 立体映像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