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885Y1 -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885Y1
KR200220885Y1 KR2020000028992U KR20000028992U KR200220885Y1 KR 200220885 Y1 KR200220885 Y1 KR 200220885Y1 KR 2020000028992 U KR2020000028992 U KR 2020000028992U KR 20000028992 U KR20000028992 U KR 20000028992U KR 200220885 Y1 KR200220885 Y1 KR 200220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ceiling
hole
pivo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석
Original Assignee
노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석 filed Critical 노주석
Priority to KR2020000028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8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885Y1/ko

Links

Landscapes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형 프로젝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투사각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는 천장에 고정 설치되도록 케이스 상면 네모서리에 설치홀이 형성된 천장형 프로젝터에 있어서, 천장에 다수개의 핀부재로 고정되며 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끝단부가 확장된 포스트를 구비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저면에 부착되며 각 포스트에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홀이 형성된 판재형의 연결판와, 상기 연결판의 저면에 상측부가 결합되며 하측부에 회전구가 형성된 피벗축과, 상기 피벗축의 회전구가 피벗 지지되어 방사상 방향으로 선회되는 관형상의 피벗 하우징과, 상기 피벗 하우징에 횡방향으로 나사결합되며 그 끝단부가 피벗축의 회전구에 접촉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피벗 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며 네 모서리측에 가이드홀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일단은 가이드홀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나사부재로 상호 체결되고 타단은 일정길이 굽힘 연장되어 프로젝터의 설치홀에 나사 체결되는 다수개의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는 프로젝터의 설치 작업을 간소하게 하므로 설치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피벗축과 피벗 하우징에 의해 프로젝터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Fixing device of ceiling type projector}
본 고안은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터를 천장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투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대시키는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에 영상을 투영하는 광학기기중의 하나인 프로젝터는 현재 CRT, LCD, DLP 등 영상을 재생하는 주요 부품의 명칭을 사용하여 분류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CRT(Cathod Ray Tube)는 통상의 음극선관이며, 진공상태의 Cathod에서 방출된 음극선을 주위의 자기장을 변화시켜 편향을 조절하여 형광면에 쏘아 광학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장치로 이를 이용한 프로젝터는 통상 CRT프로젝터 혹은 빔 프로젝터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LCD는 2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을 주입해 상하 유리판 전극의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숫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일종의 광스위치 현상을 이용한 소자로서 이를 사용한 프로젝터는 흔히 액정 프로젝터라고 하며, 상기 DLP(Digital Light Processing)는 초소형 거울 집합체(Micro Mirror Device)를 컨트롤하여 화면을 재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프로젝터는 설치하는 방식에 따라 바닥 거치식과 천장 부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통상 바닥 거치식의 경우에는 테이블 또는 별도의 거치대 위헤 올려 놓고 사용하며, 천장 부착식은 천장에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천장 부착식 프로젝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100)의 상부면을 브래킷(200)으로 고정시키고, 이 브래킷(200)의 상단부를 천장(c)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천장 부착식 프로젝터는 프로젝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설치홀(150)이 형성되며, 이 설치홀(150)에는 브래킷(200)의 일단이 볼트와 같은 나사부재(250)로 고정되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200)의 타단은 천장(c)에 못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프로젝터(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천장형 프로젝터는 그 설치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투사각을 조절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천장형 프로젝터를 브래킷(200)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브래킷(200)을 천장(c)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프로젝터(100)를 브래킷(200)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때 프로젝터(100)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프로젝터(100)와 브래킷(200)을 상호 나사부재(250)로 체결시켜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프로젝터(100)가 정확하게 수평상태에서 설치되지 못한 경우에는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이 정확한 위치에서 영사되지 못하고 기울어지게 되므로, 이를 보정해주어야 하는데 종래의 프로젝터(100)에서는 투사각을 보정하기 위한 별다른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부득이 프로젝터(100)를 재설치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프로젝터(100)는 제조회사별 또는 제조모델별로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설치홀(150)의 위치가 각기 다르므로 각 프로젝터에 맞는 전용 브래킷을 별도로 제작함에 따라 대량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제조생산가가 상승되는 등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장형 프로젝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투사각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로젝터에 형성된 설치홀의 위치가 각기 다르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호환성을 높임으로서 대량생산에 의한 제품생산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프로젝터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조립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로젝터 2 : 설치홀
10 : 브래킷 12 : 포스트
15 : 핀부재 20 : 연결판
21 : 체결홀 30 : 피벗수단
31 : 피벗축 32 : 축
33 : 회전구 34 : 피벗 하우징
35 : 고정나사 40 : 플레이트
41 : 가이드홀 50 : 지지체
51, 52 : 관통홀 55 : 나사부재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는 천장에 고정 설치되도록 케이스 상면 네모서리에 설치홀이 형성된 천장형 프로젝터에 있어서, 천장에 다수개의 핀부재로 고정되며 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끝단부가 확장된 포스트를 구비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저면에 부착되며 각 포스트에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홀이 형성된 판재형의 연결판와, 상기 연결판의 저면에 상측부가 결합되며 하측부에 회전구가 형성된 피벗축과, 상기 피벗축의 회전구가 피벗 지지되어 방사상 방향으로 선회되는 관형상의 피벗 하우징과, 상기 피벗 하우징에 횡방향으로 나사결합되며 그 끝단부가 피벗축의 회전구에 접촉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피벗 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며 네 모서리측에 가이드홀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일단은 가이드홀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나사부재로 상호 체결되고 타단은 일정길이 굽힘 연장되어 프로젝터의 설치홀에 나사 체결되는 다수개의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연결판의 체결홀은 일정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일측은 포스트의 확장부에 비례하는 크기를 가지며 타측은 포스트의 몸체 지름에 비레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이드홀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직선홀이 플레이트의 모서리에서 직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는 브래킷(10)과 연결판(20) 그리고 피벗수단(30) 및 플레이트(40), 지지체(50)로 구성된다.
브래킷(10)은 프로젝터(1)를 천장(c)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통상 판재형으로 제작되며, 못이나 나사 등과 같은 핀부재(15)에 의해 천장(c)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구멍(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브래킷(10)은 저면에 연결판(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포스트(12)가 다수 구비되며, 이 포스트(12)는 그 끝단부가 확장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12)는 단순히 끝단부가 확장된 원기둥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나사나 볼트 등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연결판(20)는 상기 브래킷(10)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각 포스트(12)에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홀(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21)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서, 일측은 포스트(12)의 머리부가 삽입 관통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포스트(12)의 몸체 지름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의 연결판(20)는 브래킷(10)의 각 포스트(12)가 체결홀(21)의 큰 구멍으로 삽입 관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일정각도 만큼 회동시키면 체결홀(21)의 작은구멍측으로 포스트(12)의 몸체가 끼워지게 되므로 연결판(20)를 브래킷(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결판(20)는 저면 중앙에 프로젝터(1)를 방사상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 및 고정시킬 수 있는 피벗수단(30)이 구비되며, 이러한 피벗수단(30)은 크게 피벗축(31)과 피벗 하우징(34) 그리고 고정나사(35)로 구성된다.
상기 피벗축(31)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의 축(32)과, 이 축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구형의 회전구(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32)의 상단부는 연결판(20)의 저면 중앙부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회전구(33)는 피벗 하우징(34)에 피벗지지된다.
상기 피벗 하우징(34)은 피벗축(31)과의 결합으로 프로젝터(1)가 방사상 방향으로 자유로운 유동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측의 입구는 지름이 좁아지도록 성형하여 내부 공간부에 삽입된 회전구(33)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피벗 하우징(34)은 저부면측에 판재형의 플레이트(40)가 결합됨으로써 개방된 하측 입구가 차폐된다.
한편, 상기 피벗 하우징(34)에는 회전구(33)의 회전유동을 선택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나사(3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나사(35)는 피벗 하우징(34)에 횡방향으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36')에 체결되는 것으로, 이 고정나사(35)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끝단부가 회전구(33)의 외면에 접촉되어 소정의 가압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피벗수단(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벗 하우징(34)의 저부면측에 플레이트(40)가 결합된다.
플레이트(40)는 판재형으로 네 모서리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홀(41)이 각각 형성되며, 이 가이드홀(41)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직선홀이 플레이트(40)의 모서리에서 직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플레이트(40)는 하부측으로 가이드홀(41)에 나사 체결되는 지지체(50)가 구성된다.
지지체(50)는 상기 플레이트(40)와 프로젝터(1)를 연결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굽힘성형된다.
이러한 지지체(50)는 양단부에 소정크기의 관통홀(51),(52)이 형성되며, 이 한쌍의 관통홀(51),(52)은 각각 플레이트(40)의 가이드홀(41)과 프로젝터(1)의 케이스에 형성된 설치홀(2)에 일치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나사부재(55)로 체결된다.
특히, 상기 지지체(50)는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한쌍의 관통홀(51),(52) 중에서 플레이트(40) 측에 체결되는 관통홀(52)의 형상을 장공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젝터(1)의 상부면에 형성된 설치홀(2)에 지지체(50)의 일단부를 위치시키고 나사부재(55)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50)의 타단부를 플레이트(40)의 저면에 위치시키고, 플레이트(40)에 형성된 가이드홀(41)과 지지체(50)에 형성된 관통홀(52)을 나사부재(55)로 체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40)는 상부면에 피벗수단(30)과 연결판(20)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40)의 가이드홀(41)은 직각으로 꺽여 있으므로 지지체(50)를 프로젝터(1)의 설치홀(2)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가 임의로 위치조절을 이룰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프로젝터(1)를 설치하고자 하는 천장(c)면에 못이나 나사 등과 같은 핀부재(15)를 이용하여 브래킷(1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0)의 저부측으로 프로젝터(1)가 연결된 연결판(20)를 위치시키고, 상기 브래킷(10)의 포스트(12)가 연결판(20)에 형성된 체결홀(21)에 삽입 관통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판(2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브래킷(10)의 포스트(12) 몸체가 체결홀(21)의 작은 구멍측으로 이동되므로 포스트(12)의 확장부가 연결판(20)의 작은구멍에 걸림된다.
따라서 프로젝터(1)가 연결된 연결판(20)는 브래킷(10)에 매달린 상태가 되므로 프로젝터(1)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는 프로젝터(1)의 설치 완료후 프로젝터(1)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c)에 설치된 프로젝터(1)의 수평상태가 맞지 않았을 경우에는 작업자가 프로젝터(1)를 방사상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 프로젝터(1)는 피벗축(31)의 회전구(33)를 중심으로 회동을 이루게 된다.
이어서 프로젝터(1)의 수평조절이 끝난 뒤에는 피벗 하우징(34)에 마련된 고정나사(35)를 조여주게 되면, 이 고정나사(35)의 선단부가 회전구(33)의 외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피벗축(31)의 회전구(33)가 피벗 하우징(3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프로젝터(1)의 수평조절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는 프로젝터의 설치 작업을 간소하게 하므로 설치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피벗축과 피벗 하우징에 의해 프로젝터를 방사상 방향으로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즉, 프로젝터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천장에 고정 설치되도록 케이스 상면 네모서리에 설치홀이 형성된 천장형 프로젝터에 있어서,
    천장에 다수개의 핀부재로 고정되며 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끝단부가 확장된 포스트를 구비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저면에 부착되며 각 포스트에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홀이 형성된 판재형의 연결판와;
    상기 연결판의 저면에 상측부가 결합되며 하측부에 회전구가 형성된 피벗축과;
    상기 피벗축의 회전구가 피벗 지지되어 방사상 방향으로 선회되는 관형상의 피벗 하우징과;
    상기 피벗 하우징에 횡방향으로 나사결합되며 그 끝단부가 피벗축의 회전구에 접촉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피벗 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며 네 모서리측에 가이드홀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일단은 가이드홀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나사부재로 상호 체결되고 타단은 일정길이 굽힘 연장되어 프로젝터의 설치홀에 나사 체결되는 다수개의 지지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체결홀은 일정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일측은 포스트의 확장부에 비례하는 크기를 가지며 타측은 포스트의 몸체 지름에 비레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이드홀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직선홀이 플레이트의 모서리에서 직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
KR2020000028992U 2000-10-18 2000-10-18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 KR200220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992U KR200220885Y1 (ko) 2000-10-18 2000-10-18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992U KR200220885Y1 (ko) 2000-10-18 2000-10-18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885Y1 true KR200220885Y1 (ko) 2001-04-16

Family

ID=7305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992U KR200220885Y1 (ko) 2000-10-18 2000-10-18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88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47B1 (ko) * 2006-05-20 2006-10-18 강신만 영사기 안전케이스
KR100780665B1 (ko) 2007-07-18 2007-11-30 강신만 영사기 천장고정용 브라켓
KR101651217B1 (ko) 2015-03-11 2016-08-30 한정호 영상스크린 위치감지 빔프로젝션장치
KR20160106243A (ko) 2015-03-02 2016-09-12 한정호 영상스크린 위치감지 빔프로젝션장치
KR102626198B1 (ko) * 2023-06-12 2024-01-18 주식회사 엑스젠테크놀러지 프로젝터 고정용 멀티 스탠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47B1 (ko) * 2006-05-20 2006-10-18 강신만 영사기 안전케이스
KR100780665B1 (ko) 2007-07-18 2007-11-30 강신만 영사기 천장고정용 브라켓
KR20160106243A (ko) 2015-03-02 2016-09-12 한정호 영상스크린 위치감지 빔프로젝션장치
KR101651217B1 (ko) 2015-03-11 2016-08-30 한정호 영상스크린 위치감지 빔프로젝션장치
KR102626198B1 (ko) * 2023-06-12 2024-01-18 주식회사 엑스젠테크놀러지 프로젝터 고정용 멀티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1267A1 (en) Projection lens and projector
KR100461178B1 (ko) 모니터장치
JP2011002610A (ja) プロジェクター天吊り装置
US6709114B1 (en) Spherical mounting system for three axis adjustment of light projector assembly in a projection television
JPH10319501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モニタ
JPH04212589A (ja) テレビ画像投影装置
US6469839B2 (en) Projector apparatus
KR200220885Y1 (ko) 천장형 프로젝터의 고정장치
US20210080813A1 (en) Adjusting support and projector
JPS63126016A (ja) 傾動旋回接続構造
US7758194B2 (en) Light source adjusting device
JP4530500B2 (ja) 投写レンズシフト機構
WO2020114263A1 (zh) 投影设备
US7290884B2 (en) Display device having resolution improving apparatus for project-type display device
JPS62250406A (ja) ビデオプロジエクタ−用レンズ
WO2021121299A1 (zh) 一种色轮调节组件及光学装置
CN109655986A (zh) 角度调整支架及角度调整装置
KR200395901Y1 (ko) 프로젝터 설치용 브라켓
JP2004212583A (ja) 電子機器の角度調整装置
KR100495998B1 (ko) 프로젝터 고정유닛
JP2000003138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US7864436B2 (en) Rear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KR20030094458A (ko) 영상표시기기의 벽걸이 장치
CN216979411U (zh) 镜架结构、激光镜组及激光加工设备
KR20040063643A (ko) Dlp광학엔진의 틸트 조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