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484Y1 -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 - Google Patents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484Y1
KR200220484Y1 KR2020000030971U KR20000030971U KR200220484Y1 KR 200220484 Y1 KR200220484 Y1 KR 200220484Y1 KR 2020000030971 U KR2020000030971 U KR 2020000030971U KR 20000030971 U KR20000030971 U KR 20000030971U KR 200220484 Y1 KR200220484 Y1 KR 200220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ver
folded
cover memb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순태
Original Assignee
송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태 filed Critical 송순태
Priority to KR2020000030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4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484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을 사용한 후 실내로 들어갈 시에 젖은 우산의 빗물을 차단하는 빗물받이 커버로 사용되고, 우산을 펼쳐 사용시에는 절첩식 손잡이로 전환되도록 하여 젖은 우산의 휴대 및 관리가 용이하며, 랜턴을 부설하여 손전등으로도 사용되도록 하는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접은 우산 위에 씌워지고, 다단으로 절첩ㆍ인출되며 후술하는 손잡이 고정부(200)와 결합되는 결합부(111)를 구비하는 다단의 커버부재(110)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커버(100)와; 상기 절첩식 커버의 일단에 결합되는 결합부(230)를 구비하고, 우산대 하단의 나사부(21)에 결합되는 손잡이 고정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다단으로 절첩ㆍ인출되는 커버부재(110)는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걸림턱(113)을 형성하고, 최내부에 형성되는 커버부재(110)의 단부에는 물받이부(115)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111)는 최외곽에 형성되는 커버부재의 단부에 나사(111a)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200)는 우산대와 나합하기 위한 암나사(210)를 상측 내부에 형성하고, 하향측에는 랜턴(220)이 부설되며,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절첩식 커버(100)와 나합되기 위한 나사(23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임.

Description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A Caseing of Umbrella for Put in Rain}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우산을 사용한 후 실내로 들어갈 시에 젖은 우산의 빗물을 차단하는 빗물받이 커버로 사용되고, 우산을 펼쳐 사용시에는 절첩식 손잡이로 전환되도록 하여 젖은 우산의 휴대 및 관리가 용이하며, 랜턴을 부설하여 손전등으로도 사용되도록 하는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우산을 사용하다가 실내로 들어설 시에 우산 표면에 잔류하고 있던 빗물이 떨어져 실내환경이 오염되고, 특히 버스, 지하철 등 사람이 밀집한 실내에 젖은 우산을 그대로 가지고 들어갈 경우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등, 젖은 우산의 처리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우산의 빗물 차단 수단은 1회용 비닐커버로서, 이로 인해 환경오염의 주범인 폐비닐이 양산되고, 비용 및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우산 사용 후 실내로 들어 설 때에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이 외부와 차단되고 동시에 우산을 펼쳐 사용시에는 손잡이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며, 절첩식으로 이루어져 손잡이로 전환사용시에도 손잡이 크기에 대한 부담이 없는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 고정부에 랜턴을 부설하여 손전등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절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도로서,
a도는 커버를 씌우는 과정도,
b도는 체결상태도.
도 3은 도 2의 b도 일부 생략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에서 커버가 손잡이로 전환결합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 2: 우산
20: 우산대 21: 우산대 나사부
100: 절첩식 커버 110: 커버부재
111: 결합부 111a: 나사
113: 걸림턱 115: 물받이부
117: 탄성돌테 200: 손잡이 고정부
210: 암나사 220: 랜턴
221: 랜턴 스위치 223: 전구
225: 볼록렌즈 227: 광 가이드
230: 결합부 231: 나사
233: 패킹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은,
접은 우산 위에 씌워지고, 다단으로 절첩ㆍ인출되며 후술하는 손잡이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다단의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커버와;
상기 절첩식 커버의 일단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우산대 하단에 결합되는 손잡이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단으로 절첩ㆍ인출되는 커버부재는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걸림턱을 형성하고, 최내부에 형성되는 커버부재의 단부에는 물받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는 최외곽에 형성되는 커버부재의 단부에 나사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우산대와 나합하기 위한 암나사를 상측 내부에 형성하고, 하향측에는 랜턴이 부설되며,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커버와 나합되기 위한 나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절개 분리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도로서, a도는 커버를 씌우는 과정도, b도는 체결상태도이며, 체결상태인 도 2의 b도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1)은 접은 우산(2) 위에 씌워지고, 다단으로 절첩ㆍ인출되며 후술하는 손잡이 고정부(200)와 결합되는 결합부(111)를 구비하는 다단의 커버부재(110)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커버(100)와;
상기 절첩식 커버(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결합부(230)를 구비하고, 우산대 하단의 나사부(21)에 결합되는 손잡이 고정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단으로 절첩ㆍ인출되는 커버부재(110)는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걸림턱(113)을 형성하고, 최내부에 형성되는 커버부재(110)의 단부에는 물받이부(115)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111)는 최외곽에 형성되는 커버부재의 단부에 나사(111a)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11)는 후술하는 랜턴(220)을 고려하여 투명체로 형성하고, 손잡이로 전환ㆍ절첩시의 고정을 위하여 내부의 커버부재의 일단 외주연에 탄성돌테(117)를 형성하고, 걸림턱(13)에는 수밀방지를 위한 패킹(113a)을 부여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손잡이 고정부(200)는 우산대와 나합하기 위한 암나사(210)를 상측 내부에 형성하고, 하향측에는 랜턴(220)이 부설되며,
결합부(230)로서,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절첩식 커버(100)와 나합되기 위한 나사(231)를 형성하되, 수밀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233)을 부여하였다.
상기 랜턴(220)은 통상의 랜턴의 구성으로 형성되며, 랜턴 스위치(221)는 손잡이 고정부(200) 본체의 외주연에 끼워져 소정 각도를 돌려주어 온ㆍ오프 되도록 구성하였다.
미설명 부호 (223)은 전구, (225)는 볼록렌즈 케이스, (227)은 광 가이드, (229)는 건전지이다.
상기 절첩식 커버(100)는 3단의 커버부재(111)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3단우산에 적용할 경우, 상기 손잡이 고정부(200)와 그에 결합되는 상기 절첩식 커버(100)가 우산(2)을 펼쳐 사용시 우산대(2)의 하부 1단의 길이에 대한 역할을 하므로 우산대는 2단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 본다.
도 4는 우산을 펼쳐 사용시에 상기 절첩식 커버(100)를 손잡이 고정부(200)에 절첩고정한 상태를 일부 생략하여 단면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우산을 감싸며, 잔류 빗물을 저장ㆍ보관하는 물받이부(115)를 구비한 절첩식 커버(100)를 부여하여 물받이용 커버로 사용시에는 젖은 우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하며,
상기 절첩식 커버(100)를 다단의 절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로 전환 사용시에도 그 길이로 인한 부담이 없는 점이 특징이다.
상기 절첩식 커버(100)는 걸림턱(113)을 상호 대응하게 형성하여 인출시 이탈되지 않으며, 내부에 위치되는 커버부재(111)의 단부 외주연에 부여된 탄성돌테(117)는 손잡이로 전환시 절첩상태가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손잡이 고정부(200)에 랜턴(220)을 부여함으로써,
야간에는 손전등으로 사용되며, 비가 와서 우산을 사용할 때에도 손잡이 즉 절첩식 커버(100)를 통과하여 빛을 조사하므로, 야간 보행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우산 사용 후 빗물이 잔류하는 우산(2)을 접어 절첩식 커버(100)를 씌워 손잡이 고정부(200)에 체결하고, 반대로 우산을 펼쳐 사용시에는 상기 절첩식 커버(100)를 풀어 손잡이 고정부(100)의 랜턴이 부설된 하방에 체결ㆍ절첩하여 손잡이로 전환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야간 조명수단이 되기도 하며, 치한 퇴치용 곤봉으로도 대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은,
접혀진 우산 위에 씌워지는 빗물받이 절첩식 커버와, 랜턴이 부설된 손잡이 고정부로 형성됨으로써,
우산을 사용한 후 실내로 들어갈 때,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의 번짐을 차단하여, 젖은 우산의 휴대 및 관리를 획기적으로 용이하게 하며,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커버가 절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손잡이로 전환 사용시에도 손잡이 길이로 인한 부담이 없으며, 특히 손전등이 부설되어 있어 우중의 어두움에서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여러면으로 잇점을 갖는 대단히 유용한 기술이다.

Claims (3)

  1. 접은 우산 위에 씌워지고, 다단으로 절첩ㆍ인출되며 후술하는 손잡이 고정부(200)와 결합되는 결합부(111)를 구비하는 다단의 커버부재(110)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커버(100)와;
    상기 절첩식 컵(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결합부(230)를 구비하고, 우산대 하단의 나사부(21)에 결합되는 손잡이 고정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으로 절첩ㆍ인출되는 커버부재(110)는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걸림턱(113)을 형성하고, 최내부에 형성되는 커버부재(110)의 단부에는 물받이부(115)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111)는 최외곽에 형성되는 커버부재의 단부에 나사(111a)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고정부(200)는 우산대와 나합하기 위한 암나사(210)를 상측 내부에 형성하고, 하향측에는 랜턴(220)이 부설되며,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절첩식 커버(100)와 나합되기 위한 나사(23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
KR2020000030971U 2000-11-06 2000-11-06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 KR200220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71U KR200220484Y1 (ko) 2000-11-06 2000-11-06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71U KR200220484Y1 (ko) 2000-11-06 2000-11-06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484Y1 true KR200220484Y1 (ko) 2001-04-16

Family

ID=7306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971U KR200220484Y1 (ko) 2000-11-06 2000-11-06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4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386B1 (ko) 2010-01-22 2011-12-14 한윤범 우산
KR101827769B1 (ko) * 2016-08-29 2018-02-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부착 가능한 우산집을 포함하는 조립식 다기능 우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386B1 (ko) 2010-01-22 2011-12-14 한윤범 우산
KR101827769B1 (ko) * 2016-08-29 2018-02-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부착 가능한 우산집을 포함하는 조립식 다기능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793B2 (en) Control mechanism of full-automatic multi-folded umbrella
US20170167719A1 (en) Sunshade lamp fixing device and sunshade
JP3174224U (ja) 着脱が容易な内蔵傘具を有する杖
KR200220484Y1 (ko) 우산의 빗물받이 케이싱
KR101053923B1 (ko) 핸즈프리 우산
KR200449655Y1 (ko) 보조손잡이캡이 부설된 밀폐형 접이식 우산
JP3215939U (ja) 自動収納可能な折り畳み傘
KR100745702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KR200313434Y1 (ko) 우산손잡이에 우산커버 보관함이 구비된 우산
JP3072597U (ja) 水抜き装置を有する傘カバー
KR200319726Y1 (ko) 우산커버
KR101021737B1 (ko) 방수 커버 수납용 하부 덮개를 구비한 우산
KR101675399B1 (ko) 손잡이 케이스가 구비된 우산
KR101215856B1 (ko) 빗물 빠짐구를 구비한 우산 커버 시스템
KR20100004232U (ko)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KR100961502B1 (ko) 밀봉집게가 구비되는 우산 손잡이
KR200180361Y1 (ko) 우산빗물 낙수방지및 야간 조명등 겸용 우산대 케이스.
KR200241938Y1 (ko) 우산에 부착된 보관 케이스
KR200163445Y1 (ko) 낙수방지용우산및그카바
JPH1182803A (ja) 弁の開閉器
KR200239197Y1 (ko) 우산커버가 일체화 된 우산
JP2006320698A (ja) 傘および傘用カバー
KR200338904Y1 (ko) 빗물 차단 커버를 구비한 우산
KR200318578Y1 (ko) 밀폐 휴대용 접이식 우산
KR102275934B1 (ko) 우산커버와 우산받침대가 결합된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