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311Y1 -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311Y1
KR200220311Y1 KR2020000033417U KR20000033417U KR200220311Y1 KR 200220311 Y1 KR200220311 Y1 KR 200220311Y1 KR 2020000033417 U KR2020000033417 U KR 2020000033417U KR 20000033417 U KR20000033417 U KR 20000033417U KR 200220311 Y1 KR200220311 Y1 KR 200220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tating shaft
rotary
support fram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희
Original Assignee
박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희 filed Critical 박춘희
Priority to KR2020000033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311Y1/ko

Links

Landscapes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어 상호간의 연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명이 길고 교환이 필요없는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는, 기본 틀을 이루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양측 지지프레임 사이에 수평을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의 회전로울러가 일렬로 구비된 구조로서, 일측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이 회전축의 표면에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다수개의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회전로울러의 일측 단부에는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의 기어부와 교차하며 맞물려 연동하도록 기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는 회전축과 회전로울러에 각각 구비된 기어 상호간의 연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의 벨트연동식 컨베이어장치와 같은 구동벨트의 교환이 필요없어 작업효율이 높아지고, 분진발생의 염려가 없어 깨끗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을 확실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THE GEAR LINKAGE TYPE CONVEYOR SYSTEM}
본 고안은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어 상호간의 연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명이 길고 교환이 필요없는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초기에는 제품을 조립하는데 있어 한 제품을 완성하기 위해 그 제품에 여러명의 기술자들이 달려들어 동시에 작업을 진행하여야만 다음 제품의 작업으로 넘어갈 수 있었고, 조립된 제품을 운반함에 있어서도 사람이 제품 하나씩을 가지고 적재장소로 날라야만 했었다. 이러한 작업형태는 제품을 생산, 조립, 운반에 이르기까지 많은 노동력과 시간도 많이 소요되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컨베이어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장치는 공장이나 유통단지 등에서 각종 상품들을 운반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산업구조가 분업화되고 자동화됨에 따라 컨베이어장치는 더욱 많은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들어 자동차 조립라인의 경우, 각 작업자는 고정 위치에서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자기앞으로 운반되는 미완성 자동차조립품에 대해 각각의 해당 부품만을 장착하면 컨베이어장치의 끝부분에서는 자동차가 완성되어 나오게 되는데, 이 컨베이어장치를 적재장소까지 연장시킴으로써 생산부터 적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복잡한 작업이 필요없어져 각자의 작업이 간편해지며 시간도 훨씬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 컨베이어장치의 평벨트 구동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틀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110,1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프레임(110,111)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며 소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의 회전로울러(120)가 구비되고, 이 회전로울러(120)의 양측 끝단은 볼 베어링(12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지지프레임(110,111)에 연결되어 있다. 일측 지지프레임(110)의 내측으로는 각 회전로울러(120)의 하단에 밀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평벨트(130)가 구비되어 있고, 이 평벨트(130)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일단부에 구비된 지지봉(110a)에 걸림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로울러(120)의 하방으로 양측 지지프레임(110,111) 사이에 구비된 구동모터(140)의 구동부(141)에 걸림된 구조로, 구동모터(140)의 구동에 의해 평벨트(130)가 궤도회전하게 되고 이 평벨트(130)는 다시 회전로울러(120)를 회전시킴으로써 물건을 운반하게 된다. 이러한 평벨트 구동 구조의 컨베이어장치는 회전로울러(120)와 평벨트(130) 간의 마찰에 의해 분진이 발생하여 작업환경을 오염시켰으며, 회전로울러(120)와의 반복되는 마찰로 인해 평벨트(130)가 마모되어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상기 회전로울러(120)와 평벨트(130) 간에 슬립현상이 발생하여 물건의 운반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도 2는 종래 컨베이어장치의 링벨트 구동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틀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210)이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프레임(210)에 대응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축(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10)과 회전축(220)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며 소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의 회전로울러(230)가 구비되어 있다. 각 회전로울러(230)의 양측 끝단은 볼 베어링(23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회전축(220) 및 지지프레임(230)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각 회전로울러(230)의 일측 끝단부와 회전축(220)의 각 단부는 꼬인 형태의 다수개의 링벨트(24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220)의 일측 끝단에는 구동모터(250)가 구비되어 있어, 구동모터(250)의 구동시 회전축(220)이 동반 회전하면서 그 회전방향으로 각 링벨트(240)를 끌어당기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회전로울러(230)가 회전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링벨트 구동 구조의 컨베이어장치(200)는 구동모터(250)의 구동에 의한 회전축(220)의 회전동력이 링벨트(240)에 전달되고, 링벨트(240)의 회전력은 다시 회전로울러(230)에 전달되면서 회전로울러(230)를 회전시켜 물건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링벨트 구동 구조(200)에서는 회전로울러(230)의 일측 끝단과 링벨트(240) 간의 마찰에 의해 분진이 발생하여 작업환경을 오염시켰으며, 링벨트(240)의 마모 또는 부식에 의해 벨트(240)를 자주 교환해주어야 했으므로 불편하였고, 벨트(240) 교체시 각각의 벨트를 일일이 꼬아서 각 회전로울러(230)의 일측과 회전축(220)을 연결해야 했으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전로울러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가 필요없어 먼지발생의 염려가 없고, 교환 및 정비의 필요성이 없어 사용이 간편하고 수명이 길며, 분해 조립이 간단한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컨베이어장치의 평벨트 구동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컨베이어장치의 링벨트 구동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
310,311 : 지지프레임
320 : 회전축
321 : 워엄기어
330 : 구동모터
331 : 구동부
332 : 연결벨트
340 : 회전로울러
341 : 볼 베어링
342 : 워엄 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본 틀을 이루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양측 지지프레임 사이에 수평을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의 회전로울러가 일렬로 구비된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일측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이 회전축의 표면에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다수개의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회전로울러의 일측 단부에는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의 기어부와 교차하며 맞물려 연동하도록 기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기어부가 워엄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로울러의 기어부가 워엄 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기어부와 상기 회전로울러의 기어부가 각각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300)는 기본 틀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310,311)이 소정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구비되어 있고, 일측 지지프레임(310)의 내측으로는 회전축(3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320)의 표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워엄기어(3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20)의 하방으로 양측 지지프레임(310,311)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32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30)가 구비되어 있고, 이 구동모터(330)의 구동부(331)에는 연결벨트(332)가 구비되어 회전축(32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측 지지프레임(310,311) 사이에는 다수개의 회전로울러(340)가 횡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며 일렬로 구비되어 양측 끝단이 볼 베어링(34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각측 지지프레임(310,311)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연결되어 있으며, 각 회전로울러(34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320)의 워엄기어(321)와 교차하며 맞물려 연동하도록 워엄 휠(34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베이어장치(300)의 전원을 켜면, 컨베이어장치(30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330)가 구동하게 된다. 구동모터(330)가 구동하면서 모터(330) 일측에 구비된 연결벨트(332)가 연동하게 되고, 이 연결벨트(332)는 회전축(320)을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축(320)의 회전력은 각각의 워엄기어(321)를 통해 각 회전로울러(340)의 워엄 휠(342)에 전달되어, 결국 회전로울러(34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장치(300)의 기어연동부(A)는 워엄기어(321)와 워엄 휠(342)의 맞물림에 의한 구동구조에만 한정하지 않고, 상기 회전축(320)과 회전로울러(340)가 헬리컬기어나 다른 형태의 기어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이들의 맞물림으로 인한 컨베이어장치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300)는 기어연동부(A)가 워엄기어(321)와 워엄 휠(342)의 맞물림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평벨트 구동구조(100) 및 링벨트 구동구조(200)와 같은 벨트가 없이도 회전로울러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벨트 마찰에 의한 분진발생의 염려가 없고, 벨트교환의 필요성이 없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300)는 종래의 평벨트 구동구조의 컨베이어장치에서와 같은 슬립현상이 없어, 구동모터(330)의 회전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는 회전축과 회전로울러에 각각 구비된 기어 상호간의 연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의 벨트연동식 컨베이어장치와 같은 구동벨트의 교환이 필요없어 작업효율이 높아지며, 분진발생의 염려가 없어 깨끗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었고, 동력전달을 확실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기본 틀을 이루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프레임(310)(311)이 구비되고, 양측 지지프레임(310)(311) 사이에 수평을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의 회전로울러(340)가 일렬로 구비된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일측 지지프레임(310)의 내측으로는 회전축(320)이 구비되고, 이 회전축(320)의 표면에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다수개의 기어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각 회전로울러(340)의 일측 단부에는 회전축(320)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320)의 기어부(321)와 교차하며 맞물려 연동하도록 기어부(3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20)의 기어부(321)가 워엄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로울러(340)의 기어부(342)가 워엄 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20)의 기어부(321)와 상기 회전로울러(340)의 기어부(342)가 각각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
KR2020000033417U 2000-11-29 2000-11-29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 KR200220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417U KR200220311Y1 (ko) 2000-11-29 2000-11-29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417U KR200220311Y1 (ko) 2000-11-29 2000-11-29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311Y1 true KR200220311Y1 (ko) 2001-04-16

Family

ID=7308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417U KR200220311Y1 (ko) 2000-11-29 2000-11-29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3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171B2 (en) Grinding machine
EP1219550A1 (en) Sprocket with combined hinge/center drive
KR200484077Y1 (ko) 반송 장치 및 이것의 유니버셜 볼 유닛
JP6199087B2 (ja) 仕分け装置
KR200220311Y1 (ko) 기어연동식 컨베이어장치
GB2147859A (en) Vehicle wheel cleaning apparatus
KR200390581Y1 (ko) 컨베이어
JP5351792B2 (ja) コンベアチェーンの清掃装置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200374775Y1 (ko) 특성화된 지지 프레임을 갖는 자석 연동식 마그네트컨베이어 장치
US3268066A (en) Belt conveyor with motorized pulley
JP3238131B2 (ja) ローラコンベア
JP2007197149A (ja) 拡張ベルトコンベヤ
US4494647A (en) Cleaning assembly for a dryer feed chute
KR100597691B1 (ko) 기어 박스를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
CN219905651U (zh) 清洗机用送料装置
JP3466005B2 (ja) 回転駆動力伝達機構及びローラコンベア装置
CN218753023U (zh) 一种提高设备作业率的钢材输送用链板机
SU1204508A1 (ru) Роликовый секционный реверсивный конвейер
JP7240934B2 (ja) 無端条体組立体およびクローラ装置
CN221369015U (zh) 带纠偏功能的链式输送机
CN214166376U (zh) 改向滚筒和带式输送设备
CN111453290B (zh) 一种分拣模块
CN211944954U (zh) 一种煤炭开采输送装置
CN219525357U (zh) 一种转向器
JP3753439B2 (ja) 曲線部用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