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718Y1 -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718Y1
KR200219718Y1 KR2020000030004U KR20000030004U KR200219718Y1 KR 200219718 Y1 KR200219718 Y1 KR 200219718Y1 KR 2020000030004 U KR2020000030004 U KR 2020000030004U KR 20000030004 U KR20000030004 U KR 20000030004U KR 200219718 Y1 KR200219718 Y1 KR 200219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air
valve
suppl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찬
Original Assignee
김홍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찬 filed Critical 김홍찬
Priority to KR2020000030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7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718Y1/ko

Links

Landscapes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료용 수액공급기에 적용되는 공기유입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링게르액병 또는 색(sack)에 주입된 수액 또는 약액을 체내에 점적 주사(點滴注射)할 때 잔여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 시 부주의로 인한 혈관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점적부재의 내부에 부력과 자중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를 설치하여 점적부재의 약액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때 항상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점적부재에 약액이 잔류되지 않을 경우 자중에 의해 관로를 폐쇄시키므로써 잔여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 시 부주의로 인한 외부 공기가 혈관내로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 장치{fluid transfusion injection equipment of medical air valve}
본 고안은 의료용 수액공급기에 적용되는 공기유입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링게르액병 또는 색(sack)에 주입된 수액 또는 약액을 체내에 점적 주사(點滴注射)할 때 잔여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 시 부주의로 인한 혈관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점적부재의 내부에 부력과 자중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를 설치하여 점적부재의 약액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때 항상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점적부재에 약액이 잔류되지 않을 경우 자중에 의해 관로를 폐쇄시키므로써 잔여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 시 부주의로 인한 외부 공기가 혈관내로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적주사(點滴注射)는 다량의 약액 주입을 목적으로 한 주사법으로서, 대개 용량 500∼1,000 cc의 일루리가톨(灌注器)에 고무관 또는 비닐관을 접속하고, 주사침에 연결하여 정맥에 찌르는 방법을 택하는 것으로 관의 도중에는 약액이 적하(滴下)하는 속도를 가감하는 크램프와 유리관이 달려 있으며, 관과 주사침 사이에는 만일 액 속에 공기가 혼입한 경우에 이것을 배제하기 위한 유리관이 끼워져 있으며, 이 유리관에 배기로(排氣路)가 장치되어 있다.
보통 주정맥(靜脈)이 쓰이지만, 족관절 상부의 내과부(內部)의 정맥에 주사하기도 한다. 주사침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침의 근부(根部) 또는 유리관의 부위에서 반창고로 피부에 고정한다.
점적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1시간에 200∼300 ㎖ 의 주입을 한도로 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이나 유유아(乳幼兒)의 경우에는 속도에 대하여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점적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써, 이 투약과정에서 약액의 공급량 및 공급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잔여량을 관측하기 위해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와 배려가 요구된다.
한 편 도 1은 일반적인 수액공급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종래 수액공급기의 점적부를 발췌한 것으로, 공급기 세트(1)는 약액이 점적되는 점적부(2)와 자유로운 굴곡이 가능한 호스(3)의 중앙부에 설치된 조절부(4)와 상기 점적부(2)의 타단에 연결된 주사바늘(5)로 구성되어 있다.
즉, 링게르액병 또는 색(6)에 공기흡입구와 약액출구가 일체로 구비된 점적부(2)의 삽입구(2a)를 삽입하여 약액이 공급되면, 점적부(2)에 공급된 약액이 호스(3)를 통해 주사바늘(5)로 공급되어 혈관에 공급되며, 이때 약액이 통과하는 호스(3)의 외주면에 설치된 조절부(4)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급기 세트(1)는 약액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하여 약액의 공급 완료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인체내에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공급 부위가 크게 부어 올라 많은 고통을 주거나 심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대단히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급기 세트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잔여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 시 부주의로 인한 외부 공기가 혈관내로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점적부재의 내부에 부력과 자중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를 설치하여 점적부재의 약액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때 항상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점적부재에 약액이 잔류되지 않을 경우 자중에 의해 관로를 폐쇄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토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액공급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수액공급기의 점적부를 발췌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상적인 수액공급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수액공급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점적부재 11 : 삽입구
12 : 관로 20 : 호스
30 : 링게르액병 또는 색 40 : 밸브
도 3은 본 고안의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링게르액병 또는 색(30)에 관착되는 삽입구(11)를 구비한 점적부재(10)의 하단에 자유로운 굴곡이 가능한 호스(20)가 연결되고, 이 호스에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인체내에 자입하는 주사바늘(도시하지 않음)이 통상적인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점적부재(10)는 위 부분이 넓고 호스(20)가 연결되는 아래 부위가 좁은 테이퍼진 형태의 관로(12)를 형성하여 점적량을 식별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호스(20)의 관로를 흐르는 약액에 적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점적부재(10)의 내부에는 부력과 자중에 의해 관로(12)를 개폐시키는 제어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어수단은 승강작동에 의해 관로(12)를 밀폐시키는 구형(求刑)의 밸브(4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밸브(40)는 도 3(a)과 같이 약액이 차여 있는 상태에서는 부력에 의해 약액 상에 떠올라 약액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점적부재(10)에 약액이 잔류되지 않을 경우에는 밸브(40)가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관로(12)를 막아주게 됨으로써, 호스(2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밸브(40)의 직경은 약액이 점적부재(10)의 내부에 잔류되어 밸브(40)가 부력을 받는 위치에서의 점적부재(10)의 내경보다는 작도록 하여 약액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부력을 받지 못하는 위치에서의 내경보다는 크도록 하여 약액이 잔류되지 않을 경우에는 관로(12)를 막아줄 수 있도록 적정한 규격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링게르액병 또는 색(30)에 보관된 수액 또는 약액을 인체에 공급하기 위해 통상적인 바와 같이 공급가 세트를 설치한 상태에서 조절부재의 열림 정도를 조작하면, 점적부재(10)와 호스(20) 및 주사바늘을 통해 적정량의 약액이 공급된다.
약액의 공급이 정상적인 경우, 약액이 점적부재(10)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채워져 밸브(40)가 부력을 받는 위치에서는 밸브(4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해당위치에서의 관로(12)의 내경보다 작게되어 상기 밸브(40)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원활한 약액 공급이 가능하다.
약액 공급이 완료되면서 점적부재(10)의 관로(12)를 통과하던 약액이 고갈된 경우 부력에 의해 부양하던 밸브(40)는 부양력을 잃게 됨과 동시에 자중이 가해지게 되면서 밸브(40)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관로의 하부로 낙하되어 관로(12)를 밀폐시킨다.(도 3(b) 참조).
따라서 상기 관로(12)의 밀폐작용에 의해 호스(20)의 유입구가 차단되어 공기의 유입이 방지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약액의 공급이 완료될 경우 자동적으로 관로를 폐쇄시켜 공기의 인체유입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간편하게 약액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링게르액병 또는 색(30)에 관착되는 삽입구(11)를 구비한 점적부재(10)의 하단에 자유로운 굴곡이 가능한 호스(20)가 연결되고, 이 호스에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인체내에 자입하는 주사바늘(도시하지 않음)이 통상적인 구조로 결합되는 공지의 수액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점적부재(10)의 내부에 단면이 원형이며, 약액의 부양력과 자중에 의해 동작되어 경우에 따라 관로(12)를 완전히 밀폐시키기 위한 밸브(4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장치.
KR2020000030004U 2000-10-23 2000-10-23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 장치 KR200219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004U KR200219718Y1 (ko) 2000-10-23 2000-10-23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004U KR200219718Y1 (ko) 2000-10-23 2000-10-23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718Y1 true KR200219718Y1 (ko) 2001-04-02

Family

ID=7305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004U KR200219718Y1 (ko) 2000-10-23 2000-10-23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7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150A (ko) * 2001-04-28 2001-07-13 김경진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 및 공기차단장치
KR100458480B1 (ko) * 2001-06-28 2004-12-03 박연수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150A (ko) * 2001-04-28 2001-07-13 김경진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 및 공기차단장치
KR100458480B1 (ko) * 2001-06-28 2004-12-03 박연수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0205A (en) One-way valve
US2693801A (en) Safety cutoff valve for liquid administering apparatus
EP0497576B1 (en) Combination valve
US8062262B2 (en) Extravascular system in-line venting
US4722732A (en) Intravenous fluid supply system
US2784733A (en) Check valve for parenteral solutions
JP2009522048A (ja) 自己封止式雄型ルアー弁の保護用プライミング・キャップ
NO863115L (no) Medikament-utleveringsutstyr som forhindrer lokal og systemisk giftighet.
JPS6054070B2 (ja) 細くなつた内径部分を持つている静脈輸液セツト
ATE303827T1 (de) Vorrichtung zur dosierten verabreichung einer medikamentflüssigkeit
KR101027081B1 (ko) 수액세트의 혈액 역류 방지장치
CN114247006A (zh) 一种自动止液及防回血的输液器
KR20120016108A (ko) 드립 챔버에 자동 정지 장치를 구비한 정맥주사 세트
KR200219718Y1 (ko)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 장치
US2860636A (en) Tidal drainage and irrigation valve
KR200492869Y1 (ko)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KR101972277B1 (ko)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CN106860949B (zh) 自动止液输液器
CN101708349A (zh) 一种自动排气输液器
KR20190124990A (ko) 약액주입용 튜브의 엔드캡
KR0172665B1 (ko)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 및 공기차단 장치
US5281201A (en) Hydrodissection system
KR101006871B1 (ko) 배액용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수액 용기 일체구조
KR0134933Y1 (ko) 링겔의 수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역류방지 장치
KR102534600B1 (ko) 수액공급 자동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