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480B1 -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480B1
KR100458480B1 KR10-2001-0039363A KR20010039363A KR100458480B1 KR 100458480 B1 KR100458480 B1 KR 100458480B1 KR 20010039363 A KR20010039363 A KR 20010039363A KR 100458480 B1 KR100458480 B1 KR 100458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hole
coupled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281A (ko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2001-003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4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돗물이나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압(水壓)에 의하여 물이 필요한 곳에 살포되는 급수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소중한 수자원의 손실 없이 필요한 곳에 쉽게 물을 살포할 목적으로 발명한『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주요 구성은『오링(22)을 끼운 후렌지(21)와 내관(20)을 몸통(19)내부에 삽입하여 몸통(19)을 관통한 내관(20)의 상단나사에 결합한 회전관(23)의 양 측면 암나사(48)(49)에 오링(28)(32)을 끼운 급수관(29)(34)을 결합하고, 이 급수관(29)(34)의 구멍(41)(42)과 통하는 급수공(31)(35)에 삽입한 조정볼트(30)(33)를 급수관(29)(34)의 암나사(46)(47)에 결합하고, 회전관(23) 내부의 구멍(40)에 마개(27)가 형성된 회전축(26)의 하단을 축설하고, 이 회전축(26)의 상단이 축받이(24)의 구멍(51)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이 축받이(24)를 회전관(23)상단의 공간(50)에 장착하며, 회전축(26) 상단에 레버(25)를 결합하고, 몸통(19) 측면의 암나사(43)에 결합한 기둥(39)상단의 하향축(36)에 제한봉(37)(38)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로서 물의 살포량, 살포범위를 자유로 조절하며, 그 구성의 단순화로 생산원가를 절감하면서 그 내구성을 높이는 등의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omitted}
본 발명은 수돗물이나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압(水壓)을 응용하여 물이 필요한 곳에 살포되는 급수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소중한 수자원의 손실 없이 필요한 곳에 물을 살포할 목적으로 발명한『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돗물이나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응용하여 물이 필요한 곳에 살포되는 급수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소중한 수자원의 손실 없이 필요한 곳에 물을 살포할 목적으로 발명한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급수장치는 수돗물이나 수도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필요한 곳에 살포할 때에 물의 살포거리와 살포량 및 살포의 범위를 조절하기 어려웠으며 급수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높아지고, 고장의 빈발로 인한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많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물의 수압을 응용하여 채소, 잔디, 수목 등 물이 필요한 곳에 다양한 방법으로 물을 살포할 수 있는 급수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는 본 발명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의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 급수장치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b] 는 본 발명 [도 1a] 의 AA' 횡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c] 는 본 발명 급수장치의 요부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d] 는 본 발명 급수장치가 좌우로 회전하는 작용원리도
[도 2e] 는 본 발명 급수장치 측면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1a] 및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2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소나 잔디, 수목 등에 물을 살포하는 급수장치의 몸통(19) 내부에 내관(20)을 삽입하되 후렌지(21) 위에 오링(22)을 끼워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며, 몸통(19)의 내부를 관통한 내관(20)의 수나사에 회전관(23)의 하단 암나사를 결합하여 이들 내관(20)과 회전관(23)이 고정되어 있는 몸통(19)에서 잘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도 2a] [도 2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관(23)의 양 측면 암나사(48)(49)에 각각 오링(28)을 끼운 급수관(29)과 오링(32)을 끼운 급수관(34)을 결합한다.
급수관(29)에는 구멍(41)과 통하는 급수공(31)을 개폐하면서 급수량을 조절하는 조정볼트(30)를 급수관(29) 측면의 암나사(46)에 결합하고, 급수관(34)에는 구멍(42)과 통하는 급수공(35)을 개폐하면서 급수량을 조절하는 조정볼트(33)를 급수관(34)의 측면 암나사(47)에 결합한다.
[도 2b] [도 2c] [도 2d]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관(29)과 급수관(34)을 마음대로 돌리면서 급수공(31)과 급수공(35)의 방향을 임의로 조정한다.
이와 같이 급수공(31)과 급수공(35)의 방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상태에서 내관(20)에 공급되는 물이 내관(20)의 공간(45)을 통과한 다음 급수관(29)의 구멍(41)이나 급수관(34)의 구멍(42)을 통해 급수공(31)이나 급수공(35)으로 분출되도록 구성한다.
이처럼 내관(20)에 공급되는 물이 내관(20)의 공간(45)을 통과한 다음 급수관(29)의 구멍(41)이나 급수관(34)의 구멍(42)을 통해 급수공(31)이나 급수공(35)으로 분출되도록 조정하는 부품인 마개(27)가 형성된 회전축(26)과 이 회전축(26)에 결합된 레버(25)의 그 구성은 [도 1a] [도 2e] 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도 1a] [도 2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관(23) 내부의 구멍(40)에 마개(27)가 형성된 회전축(26)의 하단을 축설하고, 이 마개(27)와 회전축(26)이 이탈하지 않고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26)상단의 축받이(24)를 회전관(23) 상단의 공간(50)에 결착하되 회전축(26)의 상단이 축받이(24)의 구멍(51)에 관통케 하며, 축받이(24)의 구멍(51)을 관통한 회전축(26)의 상단에 레버(25)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축(26)의 레버(25)를 좌우로 돌리면서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하여 우측이나 좌측으로 회전하는 마개(27)가 급수관(34)의 구멍(42)이나 급수관(29)의 구멍(41)을 개폐하면서 급수공(35)과 급수공(31)으로 분출되는 물의 공급과 차단을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몸통(19)의 측면 암나사(43)에 결합한 7자형 기둥(39)상단의 하향축(36)에 ㄱ자형의 두 제한봉(37)(38)을 결합하되 이 제한봉(37)(38)을 좌우로 돌리면서 부채꼴형으로 벌어지는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몸통(19)의 하단 암나사에는 공지의 급수관(44)을 결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도 1a]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2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관(44)을 통해 급수장치의 몸통(19)에 물을 공급하면 이 물이 공간(45)과 구멍(41)(42)을 경유하여 급수공(31)(35)으로 분출된다.
[도 2a] [도 2d] 와 같이 마개(27)가 구멍(42)을 막고 있을 때는 물이 구멍(41)을 지나 급수공(31)으로 분출된다.
레버(25)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며 마개(27)가 구멍(41)을 막았을 때는 물이 구멍(42)을 지나 급수공(35)으로 분출된다.
마개(27)가 두 구멍(41)(42)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마개(27)가 두 구멍(41)(42)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였을 때는 물이 구멍(41)(42)을 지나 두 급수공(31)(35)으로 분출된다.
급수공(31)(35)으로 분출되는 물의 양은 조정볼트(30)(33)를 돌리면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도 2a] 와 같이 두 급수공(31)(35)이 위를 향하고 있을 때는 물이 수직으로 올라갔다가 떨어지므로 그 살포범위가 좁다.
[도 2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관(29)(34)을 돌려서 급수공(31)(35)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하였을 때는 급수공(31)(35)으로 분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급수관(29)(3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물을 살포한다.
급수관(29)(34)을 돌리며 급수공(31)(35)의 방향을 각각 180도로 돌려놓았을 때는 급수관(29)(34)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물을 살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급수관(29)(34)의 회전방향은 급수공(31)(35)을 돌려놓는 방향에 따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급수관(29)(34)의 회전속도는 급수공(31)(35)에서 분출되는 물의 양과 압력에 비례하며, [도 2c] 와 같이 급수공(31)의 방향이 상향이나 하향일 때는 회전 속도가 느리고, 급수공(31)의 방향이 수평일 때 가장 빨리 회전한다.
물을 가장 멀리 살포할 때는 [도 2c] 와 같이 급수공(31)(35)의 방향이 상향으로 45도가 되었을 때이며, 그 방향의 각도가 이보다 커지거나 작아질 수록 살포거리가 단축된다.
[도 2d] 와 같이 급수공(31)(35)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두 급수공(31)(35)의 분출 양을 같게 하면 급수관(29)(34)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한 곳에만 물이 살포되지만 두 급수공(31)(35)중 어느 한쪽의 분출 양을 적게 하면 분출 양이 적은 쪽을 향하여 회전하며 살포하게 된다.
[도 2d] 의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25)를 조작하면서 마개(27)가 구멍(42)을 막도록 하면 물이 급수공(31)으로 분출되므로 급수관(29)(3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버(25)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레버(25)가 제한봉(38)에 접하면 마개(27)가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멍(41)을 막기 때문에 물이 급수공(35)으로 분출되며 급수관(29)(34)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을 살포한다.
급수관(29)(34)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25)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레버(25)가 제한봉(37)에 접할 때 마개(27)는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하여 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멍(42)을 막기 때문에 물이 급수공(31)으로 분출되므로 급수관(29)(3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으로 물의 살포 범위는 두 제한봉(37)(38)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부채꼴형으로 살포되는데 두 제한봉(37)(38)이 벌어지는 각도에 의하여 그 살포 범위를 조정하며 물을 마음대로 살포할 수 있다.
[도 2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둥(39)을 그 회전방향으로 돌려서 그 상단의 하향축(36)에 결합한 제한봉(37)(38)에 레버(25)가 접하지 않도록 하면 급수관(29)(34)은 계속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을 살포하는데 그 회전방향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급수장치로 물의 살포거리, 살포량, 살포범위를 조절하며 물이 필요한 곳에 살포할 수 있고, 그 구성이 간단하므로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내구성이 높아지는 등의 유용한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오링(22)을 끼운 후렌지(21)와 내관(20)을 몸통(19) 내부에 삽입하여 몸통(19)을 관통한 내관(20)의 상단나사에 결합한 회전관(23)의 양 측면 암나사(48)(49)에 오링(28)(32)을 끼운 급수관(29)(34)을 결합하고, 이 급수관(29)(34)의 구멍(41)(42)과 통하는 급수공(31)(35)에 삽입한 조정볼트(30)(33)를 급수관(29)(34)의 암나사(46)(47)에 결합하고, 회전관(23) 내부의 구멍(40)에 마개(27)가 형성된 회전축(26)의 하단을 축설하고, 이 회전축(26)의 상단이 축받이(24)의 구멍(51)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이 축받이(24)를 회전관(23)상단의 공간(50)에 장착하며, 회전축(26) 상단에 레버(25)를 결합하고, 몸통(19) 측면의 암나사(43)에 결합한 기둥(39)상단의 하향축(36)에 제한봉(37)(38)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1-0039363A 2001-06-28 2001-06-28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 KR100458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363A KR100458480B1 (ko) 2001-06-28 2001-06-28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363A KR100458480B1 (ko) 2001-06-28 2001-06-28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521A Division KR20030095372A (ko) 2003-09-29 2003-09-29 부력과 중력을 응용한 안전 위생 수액세트
KR10-2003-0068520A Division KR100454431B1 (ko) 2003-09-29 2003-09-29 유압(流壓)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281A KR20030002281A (ko) 2003-01-08
KR100458480B1 true KR100458480B1 (ko) 2004-12-03

Family

ID=2771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363A KR100458480B1 (ko) 2001-06-28 2001-06-28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480B1 (ko)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0697U (ko) * 1978-05-23 1979-12-03
KR850003096Y1 (en) * 1984-03-15 1985-12-23 Kang Chi Won A basketball goal-adjusting device
JPS63182756U (ko) * 1987-05-14 1988-11-25
JPH04103151U (ja) * 1991-01-27 1992-09-04 敏夫 鈴木 浮き栓着き点滴装置
JPH04292172A (ja) * 1991-03-20 1992-10-16 Shiroma Kagaku Kenkyusho:Kk 空気侵入防止用遊動弁体付き点滴筒を有する輸液セット
KR950003080U (ko) * 1993-07-23 1995-02-16 이병인 수액 자동 차단 및 혈액 역류 방지용 수액 점적통
JPH07100208A (ja) * 1993-10-09 1995-04-18 Shigeo Chikui 点滴浮き弁装置
KR950028605A (ko) * 1994-04-08 1995-11-22 엄용주 살수장치
JPH08198296A (ja) * 1995-01-30 1996-08-06 Toppan Printing Co Ltd 泡状液体絞り出し容器
KR970020877U (ko) * 1995-11-04 1997-06-18 박연수 기압차를 응용한 계량용 투약기
KR970069046A (ko) * 1996-04-13 1997-11-07 이용우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 및 공기차단 장치
KR970056959U (ko) * 1996-04-17 1997-11-10 주식회사하운정밀 수액공급정지장치
KR19990008655U (ko) * 1997-08-04 1999-03-05 오광택 링게르병의 수액주입기
KR200184626Y1 (ko) * 2000-01-17 2000-06-01 박동국 수액셋트용 차단장치
KR20000054676A (ko) * 2000-06-16 2000-09-05 김성림 링겔 주사 세트의 조절장치
KR200197698Y1 (ko) * 2000-04-14 2000-09-15 장양수 안전 수액세트
KR200219718Y1 (ko) * 2000-10-23 2001-04-02 김홍찬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 장치
KR200235790Y1 (ko) * 2001-01-29 2001-09-25 성태수 용기의 상단이나 측면을 누르면 내용물이 분출되는 용기.

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0697U (ko) * 1978-05-23 1979-12-03
KR850003096Y1 (en) * 1984-03-15 1985-12-23 Kang Chi Won A basketball goal-adjusting device
JPS63182756U (ko) * 1987-05-14 1988-11-25
JPH04103151U (ja) * 1991-01-27 1992-09-04 敏夫 鈴木 浮き栓着き点滴装置
JPH04292172A (ja) * 1991-03-20 1992-10-16 Shiroma Kagaku Kenkyusho:Kk 空気侵入防止用遊動弁体付き点滴筒を有する輸液セット
KR950003080U (ko) * 1993-07-23 1995-02-16 이병인 수액 자동 차단 및 혈액 역류 방지용 수액 점적통
JPH07100208A (ja) * 1993-10-09 1995-04-18 Shigeo Chikui 点滴浮き弁装置
KR950028605A (ko) * 1994-04-08 1995-11-22 엄용주 살수장치
JPH08198296A (ja) * 1995-01-30 1996-08-06 Toppan Printing Co Ltd 泡状液体絞り出し容器
KR970020877U (ko) * 1995-11-04 1997-06-18 박연수 기압차를 응용한 계량용 투약기
KR970069046A (ko) * 1996-04-13 1997-11-07 이용우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 및 공기차단 장치
KR970056959U (ko) * 1996-04-17 1997-11-10 주식회사하운정밀 수액공급정지장치
KR19990008655U (ko) * 1997-08-04 1999-03-05 오광택 링게르병의 수액주입기
KR200184626Y1 (ko) * 2000-01-17 2000-06-01 박동국 수액셋트용 차단장치
KR200197698Y1 (ko) * 2000-04-14 2000-09-15 장양수 안전 수액세트
KR20000054676A (ko) * 2000-06-16 2000-09-05 김성림 링겔 주사 세트의 조절장치
KR200219718Y1 (ko) * 2000-10-23 2001-04-02 김홍찬 의료용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 장치
KR200235790Y1 (ko) * 2001-01-29 2001-09-25 성태수 용기의 상단이나 측면을 누르면 내용물이 분출되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281A (ko)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048987B4 (de) Brausevorrichtung
DE2517243A1 (de) Rasensprenger
US4596362A (en) Water jet driven rotary sprinkler
US7191958B1 (en) Revolving lawn sprinkler
US6758410B2 (en) Retaining supporter of rotary sprinkler
US2253979A (en) Sprinkler head
US6367716B1 (en) Structure for controlling water emission of pistol nozzle
KR100458480B1 (ko)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
CN106881218B (zh) 一种具有出水量比例调节装置的总成
KR101685569B1 (ko)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헤드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CN103240195A (zh) 一种防脱落可调节喷射角度的泡沫降尘喷头
BG60876B1 (bg) Управляема глава за свредло с дюзи
DE3736795C2 (de) Handbrause für kontinuierlichen und pulsierenden Wasserstrahl
JPS6127654Y2 (ko)
JPH0543873Y2 (ko)
KR910006538Y1 (ko) 농약살포용 분사기
KR200173553Y1 (ko) 투 노즐 수도꼭지
US2302488A (en) Water and like spraying device
RU2005120151A (ru) Струйная головка для грануляци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KR920002792Y1 (ko) 샤워헤드의 밸브장치
KR200199072Y1 (ko) 트랙터용 쟁기의 방향전환장치
JP3018231B2 (ja) 道路消雪装置
US1216746A (en) Spraying apparatus.
JPS6127653Y2 (ko)
KR880004107Y1 (ko) 조로(jorro)의 살수(撒水)량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