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599Y1 - 실톱 - Google Patents

실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599Y1
KR200219599Y1 KR2019980013215U KR19980013215U KR200219599Y1 KR 200219599 Y1 KR200219599 Y1 KR 200219599Y1 KR 2019980013215 U KR2019980013215 U KR 2019980013215U KR 19980013215 U KR19980013215 U KR 19980013215U KR 200219599 Y1 KR200219599 Y1 KR 200219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aw blade
frame
jigsaw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161U (ko
Inventor
김하동
Original Assignee
김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동 filed Critical 김하동
Priority to KR2019980013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59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59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실톱에 관한 것으로서, 절단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톱날의 방향을 상하좌우로 바꿔 조립함으로써, 굵기가 작은 막대나 봉은 물론 폭이 넓은 판재 등도 절단할 수 있게되고, 또 오른손잡이는 물론 왼손잡이도 간편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주기 위해, 손잡이(10) 상부의 결착관(11)에는 파이프로된 프레임(20)의 후단을 끼워 결착하고 이 프레임의 하향 절곡된 선단에 결합하는 걸이부재(30)와 상기 손잡이(10) 하부의 고정관(12)에 관통 결합하는 견인부재(40) 사이에 톱양(50)을 걸어 고정하여 되는 실톱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30)는 ″ㄴ″자 형태를 이루게 연장된 걸이부(31)(31')와 이들 걸이부의 각 중간에 단부로부터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요입된 끼움홈(32)(32')들과 걸이부(31)의 일측면 중간부와 걸이부(31')의 저면 중간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요입된 걸이홈(33)(33')들로 구성되어 톱날(52)의 조립방향을 상하좌우로 바꿀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실톱
본 고안은 실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톱날의 방향을 상하는 물론 좌우로도 바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실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실톱은, 톱양을 프레임에 조립할 때 일단은 프레임의 절곡연장된 선단에 걸어주고, 타단은 손잡이측에 부설된 걸이부에 걸어 고정하였으며, 또 톱날은 하측으로만 향하게 조립토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 실톱은 비교적 굵기가 작은 막대나 봉 형상의 대상물은 절단할 수 있었지만, 폭이 넓은 판재 등을 절단할 때에는 프레임이 대상물에 걸리게 되어 절단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실톱의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막대나 봉 형상의 대상물은 물론 폭이 넓은 판재형상의 대상물도 절단할 수 있는 실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필요에 따라 톱날의 방향을 상하·좌우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톱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실톱은 톱날의 방향을 상하·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조립·고정할 수 있게 톱양의 일단을 걸어주는 걸이부재와 타단을 걸어 당겨주는 견인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이부재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되며, 일단의 걸이부에는 톱날이 상·하 어느 한 방향을 향하게 선택 조립할 수 있게 톱양의 일단을 걸어주는 걸이홈이 타단의 걸이부에는 톱날이 좌·우 어느 한 방향을 향하게 선택 조립할 수 있는 걸이홈이 설치된다.
그리고, 톱양의 타단을 걸어 당겨주는 견인부재는 손잡이 측에 부설된 고정관에 관통하게 결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걸이부재의 양단부중 어느 일단부에 톱양의 일단을 걸어주면, 타단부는 프레임의 절곡연장된 선단에 끼워 결착하여 톱날을 필요한 방향으로 향하게 톱양을 조립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실톱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중 걸이부재의 발췌 확대 사시도,
도 3은 동 걸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동 톱날의 방향을 각기 다르게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동 사용상태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11 : 결착관 12 : 고정관
20 : 프레임
30 : 걸이부재 31,31' : 걸이부 32,32' : 끼움홈
33,33' : 걸이홈 34,34' : 걸이돌기
40 : 견인부재
50 : 톱양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중 (10)은 손잡이이며, 이 손잡이의 상부에는 결착관(11)이 하부에는 고정관(12)이 각각 일체로 부설된다.
그리고, 상기 결착관에는 파이프로된 프레임(20)의 후단을 끼워 결착하며, 이 프레임의 하향 절곡된 선단에는 걸이부재(30)가 결합된다.
상기 걸이부재는 걸이부(31)(31')가 대략 ″ㄴ″자 형태를 이루게 연장되며, 이들 걸이부의 중간에는 끼움홈(32)(32')들이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요입 형성되고, 걸이부(31)의 일측면 중간에는 걸이홈(33)이 걸이부(31')의 저면 중간에는 걸이홈(33')이 각각 횡방향으로 경사지게 요입 형성되며, 걸이부(31)(31')의 서로 인접하는 내단면에는 걸이돌기(34)(34')들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20)의 후단 중간에는 결착관(11) 내면에 형성된 걸이돌기(도시하지 않음)에 걸어지는 걸림홈(21)이, 선단중간에는 상기 걸이부재의 걸이돌기(34)(34')들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홈(2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고정관(12)에는 견인부재(40)가 관통 결합되는데, 이 견인부재의 선단 중간에는 끼움홈(41)이 길이 방향으로 요입 형성되고, 선단부 저면에는 걸이홈(42)이 횡방향으로 경사지게 요입 형성되며, 후단에는 조임너트(40')가 체결되는 나선봉(43)이 길게 연장된다.
또, 고정관(12)의 선단에는 수직·수평선상, 즉 90도 간격으로 요홈(13)들이 형성된다.
한편, 걸이부재(30)와 견인부재(40)에 선·후단이 각각 걸어지는 톱양(50)의 선·후단부측에는 결림핀(51)(51')들이 각각 양측으로 노출되게 고정 착설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실톱은, 절단대상물에 따라 톱날방향을 상하 또는 좌우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절단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굵기가 작은 막대나 봉 형상일 때에는 도 1 및 도 4a에서와 같이 톱날(52)이 하부를 향하게 톱양(50)을 조립하거나, 또는 도 4b에서와 같이 톱날(52)이 상부를 향하게 톱양(50)을 조립하면 된다.
이때, 조립하는 방법은 먼저 걸이부재(30)의 걸이부(31)를 프레임(20)의 선단에 끼워 결합한 다음, 톱날(52)이 하부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선단측의 걸림핀(51)이 걸이부(31)의 걸이홈(33')에 걸어지게 톱양(50)의 선단부를 끼움홈(32')에 끼워 걸어주고, 상기 톱양의 후단측은 걸림핀(51')이 견인부재(40)의 걸이홈(42)에 걸어지게 끼움홈(41)에 끼워주고, 상기 견인부재 후단의 나선봉(43)을 손잡이(10)의 고정관(12)에 결합하여 이 고정관의 후단으로 노출되는 단부에 조임너트(40')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견인부재(40)가 당겨지게 되므로, 선단이 걸이부재(30)에 걸어져 있는 톱양(50)은 톱날(52)이 하부를 향하게 완강히 걸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 4b에서와 같이 톱날(52)이 상부를 향하게 조립할 때에는 톱양(50)을 조립할 때 톱날(52)을 상기에서와는 반대로 상향되게 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하면 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폭이 넓은 판재 등과 같은 대상물을 절단할 때에는 톱날(52)의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게 조립하면 되는데, 그 조립방법은 먼저, 걸이부재(30)의 걸이부(31')를 프레임(20)의 선단에 끼워 결합하면 걸이부(31)의 걸이홈(33)이 도 4c∼d에서와 같이 좌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렇게 한 다음, 톱날(52)의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게 톱양(50)을 눕혀서 선단측의 걸림핀(51)이 걸이홈(33)에 걸어지게 톱양(50)의 선단부를 끼움홈(32)에 끼워 걸어주고, 견인부재(40) 역시 눕혀서 걸이홈(42)이 좌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이 걸이홈에 상기 톱양의 후단측 걸림핀(51')이 걸어지게 톱양(50)의 후단부를 끼움홈(41)에 끼워 걸어주고 고정관(12)을 관통하여 후단으로 노출된 견인부재(40)의 나선봉(43)에 체결된 조임너트(40)를 조여주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절단 대상물에 따라 톱날(52)의 방향을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조립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사용하지 않는 다른 규격의 톱양(50)들은 파이프로된 프레임(20)의 수평부에 넣어 보관하면 된다.
그리고, 고정관(12)의 선단에는 수평선상의 위치에도 요홈(13)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이 넓은 톱양(50)을 눕혀서 조립하여 당겨주어도 그 후단이 고정관(12)의 선단에 걸리지 않고 당겨진다.
한편,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20)과 걸이부재(30)의 걸이부(31)(31')들의 단면이 원형 또는 정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이나 직사각형 또는 이외의 어떠한 형상으로 되어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조립·사용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실톱은 절단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판재인 경우에는 톱날의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게 조립하면 일반톱과 같은 방법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또,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뿐만 아니라 왼손잡이인 경우에도 톱질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톱날을 조립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누구나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손잡이(10) 상부의 결착관(11)에는 파이프로된 프레임(20)의 후단을 끼워 결착하고 이 프레임의 하향 절곡된 선단에 결합하는 걸이부재(30)와 상기 손잡이(10) 하부의 고정관(12)에 관통 결합하는 견인부재(40) 사이에 톱양(50)을 걸어 고정하여 되는 실톱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30)는 ″ㄴ″자 형태를 이루게 연장된 걸이부(31)(31')와 이들 걸이부의 각 중간에 단부로부터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요입된 끼움홈(32)(32')들과 걸이부(31)의 일측면 중간부와 걸이부(31')의 저면 중간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요입된 걸이홈(33)(33')들로 구성되어 톱날(52)의 조립방향을 상하좌우로 바꿀수 있게 한 실톱.
  2. 제1항에 있어서, 걸이부(31)(31')의 서로 마주하는 내단면 중간에는 프레임(20) 선단의 내면 중간에 형성된 걸림홈(22)에 선택적으로 끼여 걸어지는 걸이돌기(34)(34')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톱.
KR2019980013215U 1998-07-16 1998-07-16 실톱 KR200219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215U KR200219599Y1 (ko) 1998-07-16 1998-07-16 실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215U KR200219599Y1 (ko) 1998-07-16 1998-07-16 실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161U KR20000003161U (ko) 2000-02-15
KR200219599Y1 true KR200219599Y1 (ko) 2001-04-02

Family

ID=6951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215U KR200219599Y1 (ko) 1998-07-16 1998-07-16 실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5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258Y1 (ko) * 2001-10-27 2002-08-22 박달성 유리 절단용 롤팁이 붙은 톱대
KR102149863B1 (ko) 2019-11-19 2020-08-31 정낙준 레미콘차량용 폐수저장장치
KR102134602B1 (ko) 2019-12-19 2020-07-16 정낙준 레미콘차량용 회전형 폐수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161U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6994A (en) Fasten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CN201172130Y (zh) 设有作为钢锯架集成部分的锉刀的钢锯架
FR2512863A1 (fr) Dispositif de suspension de carreaux pour plafonds
US4858408A (en) Hold down clip
KR200219599Y1 (ko) 실톱
US2717432A (en) Bee hive foundation frame
DE60144495D1 (de) Anker mit an der Oberseite schräg nach unten gerichtete Seitenflächen aufweisendem Ankerschar
KR101351977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구
US6230412B1 (en) Frame of hacksaw
GB1604919A (en) Ventilator
JP2951283B2 (ja) 簡易構造物用締結型接続子
US3905409A (en) Collapsible saw
US11085472B2 (en) Concrete form board sleeve connector
JP4895919B2 (ja) ビニールハウスの骨材固定用楔
US3107937A (en) Hand grip for soil-working implements
JP2004360234A (ja) 鉄筋結合金具
JP4923037B2 (ja) 樋支持具
KR900001101Y1 (ko) 쪽가위의 보강장치
JPH032116Y2 (ko)
KR200185298Y1 (ko) 실톱
JPH08166004A (ja) ビニールハウスの骨材固定金具
JP3735065B2 (ja) 雪止め具
JP2004190459A (ja) 螺軸固定構造及び土留め壁用コンクリート型枠連結具
US6434787B2 (en) Draught excluder for fastening doormats
JP2008144460A (ja) 断熱材固定金物及び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