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320Y1 - 차잎 가루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차잎 가루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320Y1
KR200219320Y1 KR2020000032705U KR20000032705U KR200219320Y1 KR 200219320 Y1 KR200219320 Y1 KR 200219320Y1 KR 2020000032705 U KR2020000032705 U KR 2020000032705U KR 20000032705 U KR20000032705 U KR 20000032705U KR 200219320 Y1 KR200219320 Y1 KR 200219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orting
pipe
roller
tea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중석
Original Assignee
전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중석 filed Critical 전중석
Priority to KR2020000032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320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쇄된 차잎을 입자별로 선별하여 양질의 차잎가루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차잎 가루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다리 형태의 파이프와 수직 파이프를 연결하는 상,하부 파이프를 구비하되, 상부 파이프는 소정 기울기를 가지며 단부측에 베어링을 갖는 지지 파이프 및 받침부를 갖는 프레임과; 원통형으로 제 1풀리를 갖는 지지축과 구멍이 형성된 커버를 양측으로 구비하며 제 1 ∼3 배출구가 원주면에 일체로 구비된 로울러 몸체와, 제 1배출구를 덮도록 구비된 제 1차선별망과, 제 2배출구를 덮도록 구비된 제 2차선별망으로 구비된 선별로울러와; 제 2풀리를 갖는 모터와 제 3,4풀리를 갖는 감속기어부가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고, 제 2,3풀리를 연결하는 제 1벨트와 제 1,4풀리를 연결하는 제 2벨트로 구비된 동력전달수단과; 투입구의 일측이 상기 커버의 구멍으로 삽입 되도록 구비되면서 호퍼고정부에 고정된 호퍼와; 상기 선별로울러를 감싸는 덮개와 선별로울러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잎 가루 선별장치{sort equipment of tea leaf power}
본 고안은 차잎 가루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도가 다른 복수개의 걸름망을 가지며 소정 기울기로 기울어져 회전되는 원통내부로 분쇄장치를 통과하면서 분쇄된 불균일한 크기를 갖고 있는 차잎 가루를 연속공급함으로써 입자별로 선별된 양질의 차잎 가루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잎(녹차)속에는 폴리페놀류의 항산화 작용, 소취 작용, 항균작용, 혈중 콜레스트롤 억제작용을 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예로부터 기호 및 보건차로 음용되어 왔다.
녹차는 녹차나무의 잎을 채취한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시킨 가루를 뜨거운 물에 불린 상태로 음융하면 녹차 특유의 향과 맛을 음미하게 된다.
이러한 녹차를 상품화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녹차잎을 수작업 또는 채취장치를 이용하여 채취한 다음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 상태로 분쇄시킨 다음 부직포로 이루어진 주머니(팩)속에 소량씩 넣어 밀봉하고 박스에 담으면 된다.
그러나 채취된 다량의 녹차잎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시키는 과정에서 녹차잎 이외에 나뭇가지 등이 같이 분쇄된 상태로 팩속에 넣게 됨으로써 상품의 질이 낮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녹차의 순수한 맛을 보기 어렵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녹차를 우려낸 물속에 앙금이 앉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분쇄된 녹차가루를 구멍의 크기가 다른 걸름망을 가지며 회전되는 로울러를 통과시키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입도를 갖는 녹차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양질의 녹차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차잎 가루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 일측에 구비된 호퍼고정부와 하단에 구비된 다수의 휠 및 윗면이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된 프레임과; 제 1∼3 배출구가 원주면에 일체로 구비된 로울러 몸체와, 제 1배출구를 덮도록 구비된 제 1차선별망과, 제 2배출구를 덮도록 구비된 제 2차선별망으로 구비되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선별로울러와; 프레임의 윗면으로 구비된 선별로울러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과; 선별로울러에 차잎가루를 공급하도록 투입구의 선단부가 커버의 구멍에 삽입 되도록 호퍼고정부에 구비된 호퍼와; 선별로울러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별장치의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별장치의 좌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별장치의 제 1차 선별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선별장치의 제 2차 선별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호퍼고정부 2∼4:받침로울러
5:파이프 6:수직 파이프
7:받침부 8,8a:상,하부 파이프
9:베어링 10:지지 파이프
11:휠 12:프레임
13:제 1풀리 14:지지축
15:구멍 16:커버
17∼19:제 1 ∼3 배출구 20:로울러 몸체
21:제 1차선별망 22:제 2차선별망
23:선별로울러 24:제 2풀리
25:모터 26,27:제 3,4풀리
28:감속기어부 29:제 1벨트
30:제 2벨트 31:동력전달수단
32:투입구 33:호퍼
34:덮개 35:배출가이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장치는 다수개의 파이프로 구비된 프레임(12)과, 프레임(12)의 윗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선별로울러(23)와, 선별로울러(23)를 회전시키기 위해 프레임(12)의 일측에 설치된 동력전달수단(31)과, 선별로울러(23)의 일측으로 분쇄된 녹차가루를 공급하도록 프레임(12)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호퍼(33) 및 선별로울러(23)를 통해 선별되는 녹차가루가 외부로 날리게 되는 것을 막도록 프레임(12)의 윗면에 선별로울러(23)를 감싸도록 고정된 커버(34) 그리고 선별되는 녹차가루가 섞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별로울러 (23)의 하단에 구비된 배출가이드(35)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12)은 수직인 사다리 형태의 파이프(5)로 부터 소정 거리(L)를 갖는 곳에 수직 파이프(6)가 상,하부 파이프(8)(8a)로 연결되어 있고, 수직 파이프(6)와 연결되는 상부 파이프(8)에는 베어링(9)을 갖는 지지 파이프(1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사다리 형태의 파이프(5)에는 상단 외측으로 호퍼고정부(1)가 구비되어 있으며 호퍼고정부(1)가 고정되는 하단 양측으로 복수개의 받침로울러(2∼4)가 역삼각형의 모서리 지점 형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파이프(6)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받침부(7)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다리 형태의 파이프(5)와 수직 파이프(6)의 하단에 각각 휠(11)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파이프(8)는 사다리 형태의 파이프(5)로 부터 수직 파이프(6)로 향할 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하여 분쇄된 녹차 가루가 측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이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선별로울러(23)는 중공의 원통형을 갖는 로울러 몸체(20)와, 로울러 몸체(20)의 원주면 외부를 감싸는 제 1,2차선별망(2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울러 몸체(20)는 원주면에 제 1 ∼ 3배출구(17∼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제 1풀리(13)를 갖는 지지축(14)이 구비되어 있고 이와 마주보는 타측에는 중앙에 구멍(15)이 형성된 커버(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2차선별망(21)(22)은 입도가 다르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제 1차선별망(21)은 상기 제 1배출구(17)가 형성된 곳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제 2차선별망(22)은 제 1차선별망(21)에 비해 입도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서 제 2배출구(18)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로울러 몸체(20)의 지지축(14)은 지지 파이프(10)의 중앙에 고정된 베어링(9)에 끼워지며 지지축(14)과 마주보는 로울러 몸체(20)의 타측인 자유단부는 상기 받침로울러(2∼4)에 얹혀져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1)은 프레임(12)의 일측에 구비된 받침부(7)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위치(40)의 ON/OFF 를 통해 회전되는 모터(25)와, 감속기어부(28)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25)의 회전축에는 제 2풀리(24)가 구비되어 있으며 감속기어부 (28)의 입,출력축에는 제 3,4풀리(26)(27)가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제 2,3풀리 (24)(26)는 제 1벨트(29)와 제 1,4풀리(13)(27)는 제 2벨트(30)로 연동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호퍼(33)는 프레임(12)의 호퍼고정부(1)에 설치되는 것으로 커버(16)의 구멍(15)으로 투입구(32)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있어 분쇄된 녹차 가루를 연속해서 선별로울러(23)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35)는 내부에 소정 경사각을 갖는 격판이 구비되어 있어 선별된 녹차 가루가 혼합되는 것을 막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5a는 격판이며, 42는 함체이며, 44는 1차선별된 고운 녹차 가루이며, 46는 2차선별된 거친 녹차가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2)의 일측에 설치된 호퍼(33)내로 분쇄된 다량의 녹차가루를 넣게 되면 호퍼(33)에 연결된 투입구(32)를 통해 로울러 몸체(20) 내부로 들어가며 이때 스위치(40)를 통해 전원이 모터(25)로 인가되면서 발생된 회전력은 제 2풀리(24)에 감겨져 있는 제 1벨트(29)를 통해 감속기어부(28)의 입력측에 구비된 제 3풀리(26)로 전달된다.
제 3풀리(26)로 전달된 회전력은 다시 미도시한 다수의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일정속도로 감속되며 감속된 회전력은 다시 제 4풀리(27)에 감겨진 제 2벨트(30)를 통해 제 1풀리(13)로 절달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로울러 몸체(20)가 연속 회전하게 된다.
로울러 몸체(20)가 경사각()을 가진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내측면으로 떨어진 녹차 가루는 도 3에 도시한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1배출구(17)를 통과하게 되는 과정에서 제 1차선별망(21)의 입도보다 작은 녹차 가루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차선별망(21)을 통해 고운 녹차가루(44)만 선별되며 선별된 녹차 가루는 배출가이드(35)의 격판(35a) 사이를 통해 함체(42)로 모이게 된다.
제 1차선별망(21)을 통과 하지 못한 녹차가루는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제 2배출구(18)의 제 2차선별망(22)을 통과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친 녹차가루(26)가 전기한 바와 같이 배출가이드(35)의 격판(35a) 사이를 통해 함체(42)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제 2차선별망(22)에 걸려 있는 나머지 녹차가루는 제 3차 배출구(19)를 통해서 함체(42)내로 모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밀도별로 선별된 각각의 녹차 가루를 용도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쇄장치를 통과하면서 불균일한 상태로 분쇄된 녹차 가루를 입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걸름망을 가지며 기울어져서 회전되는 원통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선별되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차잎 가루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상품의 질을 높이며 아울러 녹차의 순수한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단 일측에 구비된 호퍼고정부(1)와 하단에 구비된 다수의 휠(11) 및 윗면이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된 프레임(12)과;
    제 1∼3 배출구(17∼19)가 원주면에 일체로 구비된 로울러 몸체(20)와, 제 1배출구(17)를 덮도록 구비된 제 1차선별망(21)과, 제 2배출구(18)를 덮도록 구비된 제 2차선별망(22)으로 구비되어 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선별로울러(23)와;
    프레임(12)의 윗면으로 구비된 선별로울러(23)을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 (31)과;
    선별로울러(23)에 차잎가루를 공급하도록 투입구(32)의 선단부가 커버(16)의 구멍(15)에 삽입 되도록 호퍼고정부(1)에 구비된 호퍼(33)와;
    선별로울러(23)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가이드(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잎 가루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고정부(11)의 하단으로 선별로울러(23)의 자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받치는 복수개의 받침로울러(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잎 가루 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31)은 제 2풀리(24)를 갖는 모터(25)와, 받침부(7)에 고정된 제 3,4풀리(26)(27)를 갖는 감속기어부(28) 및 제 2,3풀리(26)(27)를 연결하는 제 1벨트(29) 그리고 제 1,4풀리(13)(27)를 연결하는 제 2벨트(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잎 가루 선별장치.
KR2020000032705U 2000-11-22 2000-11-22 차잎 가루 선별장치 KR200219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705U KR200219320Y1 (ko) 2000-11-22 2000-11-22 차잎 가루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705U KR200219320Y1 (ko) 2000-11-22 2000-11-22 차잎 가루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320Y1 true KR200219320Y1 (ko) 2001-04-02

Family

ID=7309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705U KR200219320Y1 (ko) 2000-11-22 2000-11-22 차잎 가루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3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567B1 (ko) * 2022-06-09 2022-12-05 태선진 조업현장 방류용 다슬기 선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567B1 (ko) * 2022-06-09 2022-12-05 태선진 조업현장 방류용 다슬기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1236B2 (ja) 穀物の選別システム
CN212349048U (zh) 一种化妆品生产用磨粉装置
CN209791978U (zh) 一种油菜籽振动筛选装置
KR101961463B1 (ko) 대용량 꽃밥 채취 시스템
CN109647579A (zh) 一种大米研磨制米面装置
CN210279488U (zh) 一种茶叶去杂设备
CN108212468B (zh) 医疗用破碎一体化装置
CN206823933U (zh) 带有碎料功能的风选机
KR101932088B1 (ko) 원두분쇄장치
KR200219320Y1 (ko) 차잎 가루 선별장치
CN208004071U (zh) 一种食材粉碎机
CN108816482A (zh) 一种玫瑰花加工用花瓣粉碎装置
DE19835555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Nassmahlen und Dispergieren von Feststoffpartikeln in Flüssigkeiten
CN208526764U (zh) 一种具有筛选功能的食品检测用样品研磨装置
CN208555019U (zh) 一种牡蛎碳酸钙颗粒加工用的高效过筛装置
CN217221819U (zh) 一种作物病害检测用研磨装置
JPH09122523A (ja) 茶葉の粉砕加工装置
CN208412196U (zh) 一种用于制作桂花鱼饲料的包装装置
KR102274800B1 (ko) 포장분말의 분진방지용 탈철장치
CN115007295A (zh) 一种祛湿寒功能性组合物的加工装置及其制备方法
CN213161896U (zh) 一种饲料原材料筛选装置
KR102306944B1 (ko) 다기능 복합 분쇄기
CN109080028B (zh) 一种塑料颗粒的筛选设备
CN113856825A (zh) 一种便于取用药品的中药研磨机
CN208944607U (zh) 一种果仁碎去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