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817Y1 - 고강도 합판 - Google Patents
고강도 합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8817Y1 KR200218817Y1 KR2020000027228U KR20000027228U KR200218817Y1 KR 200218817 Y1 KR200218817 Y1 KR 200218817Y1 KR 2020000027228 U KR2020000027228 U KR 2020000027228U KR 20000027228 U KR20000027228 U KR 20000027228U KR 200218817 Y1 KR200218817 Y1 KR 2002188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ywood
- plate
- front plate
- strength
- resi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강도 합판에 관한 것으로, 일측의 가장 표면으로 위치되는 앞판(10)과, 이 앞판(10)의 타측 가장 뒷면에 위치되는 뒷판(20)과, 상기 앞판(10) 내지 뒷판(20)과 교차되는 결방향으로 그 내측으로 배열되는 중판(30)들과, 상기 중판(30)들 및 앞판(10)과 뒷판(20)에 동일한 결방향으로 그 사이로 배열되는 병판(40)들로 구성된 합판(1)에 있어서;
상기 앞판(10)과 뒷판(20)의 외측면에 합성수지재(50)를 코팅하여, 가장 외측에 위치한 판재의 비중을 높여 합판(1) 전체적인 휨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급이 원활하고 값이 저렴한 북양재를 사용한 합판(1)을 사용하여도 충분한 허용 안전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거푸집등과 같이 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코팅처리하므로서 내수성과 내알카리성이 증대되어 사용중 발생되는 시멘트액과 수분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휨강도를 충분히 유지하면서도 값이 저렴한 연질목의 합판(1)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횟수가 획기적으로 증가 되므로 제작자는 물론,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고강도 합판(合板)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보다 휨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합판은, 일정두께의 얇은 판재를 다수겹으로 부착시켜, 건축물용 판재 및 건축시공용 거푸집등으로 사용되는 가공목재이다.
그리고, 합판은 가장 양측에 위치되는 앞판과 뒷판의 사이로 다수의 중판들및 병판들이 서로 직교되는 결방향으로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결을 교차시키는 이유는 어느 특정 방향에서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용도에 따라 3겹에서 부터 통상적으로 13장 사이를 다중겹으로 겹쳐지는 구조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합판들의 주 원자재는 강질목인 남양재와 연질목인 북양재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도가 우수한 남양재를 주원자재로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하여 왔으나, 남양재의 가격상승과 더불어 수급문제로 인하여 강도는 낮으나 저가인 북양재를 더 많이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KSF 3113 구조용합판의 휨강도 시험에 의하면 남양재로 합판을 제조할 경우 휨강도가 550 ㎏/㎝2이상인 반면 북양재로 합판을 제조할 경우에는 350 ㎏/㎝2로 현저히 낮아 사용중 쉽게 부러지거나, 사용횟수에 제한을 받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는, 주로 합판이 건축물등에 있어 기초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으로 사용되므로, 몰탈이 그 사이로 채워지는 압력에 의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되는 것이다.
또한, 실험에 의하면 합판의 표면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외압이 작용될 때 가장 외측의 앞판에서 전체 압력의 약 44%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그 내측에 섬유결이 교차되게 위치되는 2번째 판재와, 3번째 판재순으로 지지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앞판 내지 뒷판의 경우 결의 직각방향으로 작용되는 휨등에 대하여는 그 지지강도가 매우 우수한 반면, 결방향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휨저항이 매우 미약하여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앞판과 뒷판에서 부터 균열이 시작되어 합판이 부러지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가능한 전체적으로 강도가 우수하고 고가이며, 그 공급량이 충분치 못한 강질목의 목재를 수입등에 의한 방법으로 불가피하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저가인 북양재합판의 휨강도를 증가시켜, 합판의 내구성과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강도 합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합판의 외측면이 코팅됨으로 인해 건축시공용 거푸집으로 사용될 경우 시멘트액과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여 사용회수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고강도 코팅합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합판 10 - 앞판
20 - 뒷판 30 - 중판
40 - 병판 50 - 합성수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의 가장 표면으로 위치되는 앞판(10)과;
이 앞판(10)의 타측 가장 뒷면에 위치되는 뒷판(20)과;
상기 앞판(10) 내지 뒷판(20)과 교차되는 결방향으로 그 내측으로 배열되는 중판(30)들과;
상기 중판(30)들 및 앞판(10)과 뒷판(20)에 동일한 결방향으로 그 사이로 배열되는 병판(40)들로 구성된 합판(1)에 있어서;
상기 앞판(10)과 뒷판(20)의 외측면에 합성수지재(50)를 코팅하므로서 달성된다.
즉, 가장 외측에 위치한 판재의 외측면에 페놀수지등과 같은 열경화성 합성수지재(50)를 코팅하므로서 비중을 높여줌으로서 합판(1) 전체적인 휨강도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구성과 수명이 증대시키고, 사용시 수분이나 시멘트 액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횟수가 증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앞판의 외측면에 코팅된 일측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합판(1)은 가장 상부측에는 앞판(10)이, 그리고 이 앞판(10)의 타측부에는 뒷판(20)이 위치되고 그 사이로 중판(30)들과 병판(40)들이 배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앞판(10)과 뒷판(20)은 통상적으로 그 결방향이 일치된 상태로 배열되며, 중판(30)은 상기 앞판(10) 및 뒷판(20)의 결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결방향을 갖는 판재를 칭한다.
그리고, 병판(40)은 이 중판(30)과는 직각되는 방향성으로, 앞판(10) 및 뒷판(20)과는 동일한 결방향을 갖는 것이다.
즉, 동일한 결방향을 가지는 앞판(10)과 뒷판(20)사이에 결이 직교되는 중판(30)과 병판(40)이 서로 교차되어 결합하여, 특정방향으로의 외압에 의하여 판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하는 각 판재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 ∼ 15㎜이며, 통상적으로 12㎜판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각 판재는 멜라민수지등과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되며, 용도에 따라 3겹에서 부터 통상적으로 13장 사이를 다중겹으로 겹쳐지는 구조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열되는 합판(1)의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합판(1)의 상하 표면을 이루는 앞판(10)과 뒷판(20)의 외측면에 합성수지재(50)를 코팅하여 비중을 높이므로서 합판(1)의 전체적인 휨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즉, 합판(1)의 표면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외압이 작용하는 경우 표면의 앞판(10)에서 전체 압력의 44%를 지지하고, 순차적으로 지지강도가 저하됨으로 앞판(10)과 뒷판(20)의 비중을 증가시키므로서 전체적인 휨강도를 증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합판(1)의 앞판(10)과 뒷판(20)의 외측면을 코팅하는 합성수지재(50)로는 열경화성이면서 강성수지계인 페놀수지, 멜라민수지등을 사용한다.
상기 페놀수지와 멜라민수지등의 합성수지재(50)는 내마모성뿐 아니라 내수성과 내알카리성을 가지므로, 합판(1)의 휨강도를 증대시킬 뿐 아니라 사용중 시멘트액과 수분등이 합판(1)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것이다.
따라서, 상기 페놀수지로 합판(1)의 측면도 코팅하여 장기간 외부에 보관할 경우 눈, 비등에 의한 수분침투와 태양광선에 의한 수분증발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페놀수지와 멜라민수지등과 같은 강성수지계로 합판(1)의 앞판(10)과 뒤판(20)의 외측면을 코팅하였을 경우에는 탄력성이 없어 강도는 강하나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코팅재료로 페놀수지와 멜라민수지등과 같은 강성수지계를 기초로 하고, 연성수지계인 SBR수지나 아크릴수지등을 일정량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페놀수지와 멜라민수지등과 같은 강성수지계에 일정량 혼합되는 SBR수지나 아크릴수지등과 같은 연성수지계의 합성수지(50)는 합판(1)에 탄력성을 증대시켜줄 뿐 아니라, 코팅 후 표면경도를 증대시키고, 합판(1)이 휠 때 발생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여 코팅막층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7겹 또는 9겹합판과 같이 탄력성과 휨강도를 동시에 요구되는 곳에 사용되는 합판(1)을 생산할 경우에는 페놀수지, 멜라민수지등과 같은 강성수지계와 상기에서 언급한 연성수지계인 SBR수지나 아크릴 수지등을 혼합한 수지를 사용하여 접착제 역할과 동시에 휨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재(50)를 합판(1)의 앞, 뒷판(20)의 외측면에 코팅하는 방법은 코팅처리후 코팅막층의 표면을 다듬질하는 2차가공없이 균일한 판면을 얻기 위하여 열압 프레스(Press)를 이용하여야 하나, 본 고안에서는 프레스 판면의 오염과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50)로 코팅한 후 내열 필름(Film)인 미러필름(Mirror Film)을 합판(1)의 앞, 뒷판(20)의 외측면에 덮어 씌우는 방법으로 열압한다.
한편, 코팅막층의 두께(d)는 0.3㎜ ∼ 0.7㎜이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에서는 0.5㎜를 기본두께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합판(1)의 앞판(10)과 뒷판(20)의 외측면을 합성수지재(50)로 코팅처리하므로서, 가장 외측에 위치한 판재의 비중을 높여 합판(1) 전체적인 휨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급이 원활하고 값이 저렴한 북양재를 사용한 합판(1)을 사용하여도 충분한 허용 안전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거푸집등과 같이 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코팅처리하므로서 내수성과 내알카리성이 증대되어 사용중 발생되는 시멘트액과 수분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휨강도를 충분히 유지하면서도 값이 저렴한 연질목의 합판(1)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횟수가 획기적으로 증가되므로 제작자는 물론,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 일측의 가장 표면으로 위치되는 앞판(10)과;이 앞판(10)의 타측 가장 뒷면에 위치되는 뒷판(20)과;상기 앞판(10) 내지 뒷판(20)과 교차되는 결방향으로 그 내측으로 배열되는 중판(30)들과;상기 중판(30)들 및 앞판(10)과 뒷판(20)에 동일한 결방향으로 그 사이로 배열되는 병판(40)들로 구성된 합판(1)에 있어서;상기 앞판(10)과 뒷판(20)의 외측면에 합성수지재(50)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합판.
-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50)로 열경화성이며, 강성수지계인 페놀수지, 멜라민수지등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합판.
-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50)로 열경화성이며, 강성수지계인 페놀수지, 멜라민수지등을 기초로 하고, 연성수지계인 SBR수지, 아크릴수지등을 일정량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합판.
-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50)로 코팅한 후 내열 필름인 미러필름(Mirror Film)을 합판의 앞판(10)과 뒷판(20)의 외측면에 덮어 씌우는 방법으로 열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합판.
-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판(1)이 7겹 또는 9겹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합성수지재(50)로는 강성수지계인 페놀수지, 멜라민수지등에 연성수지계인 SBR수지, 아크릴수지등을 일정량 혼합하여 접착제역할과 동시에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합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7228U KR200218817Y1 (ko) | 2000-09-28 | 2000-09-28 | 고강도 합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7228U KR200218817Y1 (ko) | 2000-09-28 | 2000-09-28 | 고강도 합판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56942A Division KR20020025291A (ko) | 2000-09-28 | 2000-09-28 | 고강도 합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8817Y1 true KR200218817Y1 (ko) | 2001-04-02 |
Family
ID=7308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7228U KR200218817Y1 (ko) | 2000-09-28 | 2000-09-28 | 고강도 합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8817Y1 (ko) |
-
2000
- 2000-09-28 KR KR2020000027228U patent/KR20021881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52466C2 (ru) | Изделие из фанеры с повышенной стабильностью размеров и стойкостью к короблению и расслоению | |
US20080086977A1 (en) | Hardwood flooring board and methods | |
KR20190112241A (ko) | 바닥재 | |
US20220042321A1 (en) | Solid wood composite floor base material having fishbone-shaped core material | |
KR200218817Y1 (ko) | 고강도 합판 | |
KR20020025291A (ko) | 고강도 합판 | |
US2405235A (en) | Underlay for floor coverings | |
KR102217862B1 (ko) | 친환경 가구용 원목 상판 | |
WO2008155244A2 (en) | Panel for making poured concrete forms or the like | |
KR100848130B1 (ko) | 유리 요소 조립체 | |
JPH03166462A (ja) | 木質床材 | |
JPH02245301A (ja) | 強化単板,合板および集成材 | |
WO1986002122A1 (en) | Shuttering pan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it | |
JPH0228018Y2 (ko) | ||
KR20200130612A (ko) | 강마루 바닥재의 시공방법 | |
KR101004011B1 (ko) | 석재 패널 | |
KR200413522Y1 (ko) | 방수제가 측면 도포된 바닥재 시트 | |
CN212271450U (zh) | 具有夹持功能的扶手 | |
NL2022368B9 (en) |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overing | |
CN219583102U (zh) | 新型环保竹木生态板 | |
JPH11156804A (ja) | パネル材 | |
JP2009030271A (ja) | 床板の接合構造 | |
CN106703366A (zh) | 一种两层复合木地板 | |
JPH11270113A (ja) | 床 材 | |
EP0856619A2 (en) | Laminated parquet el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