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791Y1 -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 - Google Patents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791Y1
KR200218791Y1 KR2019980025867U KR19980025867U KR200218791Y1 KR 200218791 Y1 KR200218791 Y1 KR 200218791Y1 KR 2019980025867 U KR2019980025867 U KR 2019980025867U KR 19980025867 U KR19980025867 U KR 19980025867U KR 200218791 Y1 KR200218791 Y1 KR 200218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ypass
damper
air supply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804U (ko
Inventor
종 수 이
Original Assignee
종 수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수 이 filed Critical 종 수 이
Priority to KR2019980025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79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791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장시 발생되는 용제 증기나 도료 입자를 강제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장 부스의 작업실에 외부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키는 급기실이 설치되고, 작업실의 내부 공기를 급기실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바이패스 덕트가 연결된다. 그리고, 바이패스 덕트의 내부에 작업실로부터 바이패스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릴 수 있도록 댐퍼가 설치되며, 바이패스 덕트의 내면에 댐퍼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도록 스토퍼가 설치되고, 바이패스 덕트의 한쪽에 바이패스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필터가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실의 내부 공기가 급기실로 바이패스되어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작업실의 에너지 손실이 크게 감소되어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한, 작업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대기 시간이 단축되어 운전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 (BYPATH APPARATUS OF PAINTING BOOTH)
본 고안은 도장 부스(painting booth)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 부스의 작업실로부터 공기를 급기실에 바이패스(bypath)시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구조는 기능적으로 크게 주행에 필요한 장치를 구비한 섀시와, 사람이나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차체로 나눌 수 있으며,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 차실과 엔진룸, 트렁크실 및 펜더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차체는 산화 부식을 방지하고 좋은 외관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도장을 행하여야 하며, 도료는 도장되어 건조 후 도막이 되어야 한다.
한편, 도장면의 마무리 상태를 좋게 함과 동시에 방화 및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장시 발생되는 용제 증기나 무화되어 분산되는 도료 입자를 강제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도장 부스가 이용되고 있다. 도장 부스는 여러 가지 형식이 있으며 크게 나누면 자연 급기 강제 배기형과 강제 급기 강제 배기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도장의 효과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도장 부스의 온도, 습도 및 압력 등의 환경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장 부스에 대한 예를 도 1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도장 부스(10)의 작업실(12)은 밀폐형으로 구성되며, 작업실(12)의 한쪽에 외부 공기를 강제로 급기시키기 위한 급기실(20)이 설치되고, 급기실(20)의 내부에는 급기 송풍기(22)가 설치된다. 작업실(12)의 상부와 급기실(20)은 급기 덕트(24)에 의해 연결되며, 급기실(20)의 입구(20a)에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댐퍼(damper: 26)가 설치되고, 입구(20a)의 전방에 외부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1차 필터(30)가 설치된다.
한편, 급기실(20)의 출구(20b)에 송풍기(22)의 구동에 의해 급기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열교환기(40)가 설치되며, 작업실(12)의 상부에는 급기 덕트(24)를 통하여 급기되는 열풍을 여과시키는 2차 필터(32)가 설치된다.
또한, 도장 부스(10)의 바닥에는 작업실(12)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배기 덕트(50)가 외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배기 덕트(50)의 입구(50a)에 용제 증기나 도료 입자를 정화시키는 3차 필터(34)가 설치된다. 배기 덕트(50)의 출구(50b)에는 작업실(12)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 송풍기(60)가 설치되며, 이 배기 송풍기(60)에는 배기되는 공기를 완전히 정화시키기 위한 4차 필터(36)가 갖추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장 부스(10)는 작업실(12)에서 열처리 작업을 행할 때에는, 댐퍼(26)를 열고 급기 송풍기(22)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를 급기시키며, 배기 송풍기(60)는 정지시켜 주게 된다. 이때, 댐퍼(26)는 대략 15 내지 20% 정도의 외부 공기를 급기시킬 수 있도록 열려지게 된다. 그러나, 배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급기 송풍기(22)의 구동에 의해 외부의 찬 공기가 급기되므로, 급기되는 찬 공기를 열풍으로 가열시켜 주기 위한 열교환기(40)의 운전으로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되어 경제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실(12)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대기 시간이 길어져 운전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실(12)의 상부에 급기 덕트(24)를 통하여 열풍이 급기되면서 작업실(12)의 압력이 높아지면, 작업실(12)의 높은 압력에 의해 배기 덕트(50)를 통하여 배기가 이루어지므로, 작업실(12)의 에너지 손실이 크게 발생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으로 경제성이 향상되도록 한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기 시간이 단축되어 운전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도장 부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패스 장치가 적용된 도장 부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장 부스의 바이 패스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장 부스의 바이 패스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장 부스 12: 작업실
20: 급기실 22: 급기 송풍기
24: 급기 덕트 26: 댐퍼
40: 열교환기 50: 배기 덕트
60: 배기 송풍기 70: 바이패스 덕트
80: 댐퍼 90: 로드
94: 추 100: 스토퍼
110: 필터 120: 벨로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작업실의 한쪽에 설치되어 급기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를 강제로 급기시키는 급기실과, 작업실의 바닥에 설치되어 배기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 덕트를 구비하는 도장 부스에 있어서, 작업실의 내부 공기를 급기실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바이패스 덕트와; 바이패스 덕트의 내부에 작업실로부터 급기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바이패스되는 공기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댐퍼와; 바이패스 덕트의 한쪽에 댐퍼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와; 바이패스 덕트의 한쪽에 바이패스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필터로 이루어지는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에서 바람직한 특징은, 댐퍼의 힌지축에 가이드 로드가 장착되고, 가이드 로드에는 급기팬의 흡인력에 의해 바이패스되는 공기에 의해 열리는 댐퍼의 열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추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에 있다. 또한, 급기실과 바이패스 덕트는 벨로즈에 의해 연결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에서 설명한 도장 부스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장 부스(10)의 작업실(12)은 밀폐형으로 구성되며, 작업실(12)의 한쪽에 외부 공기를 강제로 급기시키기 위한 급기실(20)이 설치되고, 급기실(20)의 내부에는 급기 송풍기(22)가 설치된다. 급기실(20)의 입구(20a)에 유량을 조절하는 댐퍼(26)가 장착되며, 급기실(20)의 출구(20b)에는 송풍기(22)의 구동에 의해 급기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열교환기(40)가 설치된다.
또한, 도장 부스(10)의 바닥에는 작업실(12)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배기 덕트(50)가 외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배기 덕트(50)의 출구(50b)에는 작업실(12)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 송풍기(60)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장 부스(10)의 작업실(12)과 급기실(20)은 작업실(12)의 내부 공기를 급기실(20)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덕트(70)의해 연결되며, 바이패스 덕트(70)의 내부에는 급기 송풍기(22)의 구동에 의해 작업실(12)로부터 바이패스되는 공기에 의해 열릴 수 있도록 댐퍼(80)가 힌지축(8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댐퍼(80)의 힌지축(82)에는 가이드 로드(guide rod: 90)가 볼트(92)의 체결에 의해 장착되고, 가이드 로드(90)에는 급기팬의 흡인력에 의해 바이패스되는 공기에 의해 열리는 댐퍼(90)의 열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추(94)가 볼트(96)의 체결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댐퍼(80)는 바이패스되는 공기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댐퍼(80)는 구동 수단, 예를 들어 모터와 기어열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바이패스 덕트(70)의 내면에는 댐퍼(80)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여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stopper: 100)가 설치되며, 바이패스 덕트(70)의 한쪽에 바이패스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110)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필터(110)는 바이패스 덕트(70)의 입구, 작업실(12)쪽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급기실(20)과 바이패스 덕트(70)는 벨로즈(bellows: 120)에 의해 연결되고, 벨로즈(120)는 유연성 및 밀봉성이 우수하여 바스패스 덕트(70)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열풍의 누출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장 부스(10)의 작업실(12)에서 자동차의 도장을 행할 때에는, 급기 송풍기(22)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1차 필터(30)를 통과하여 정화된 후 열교환기(40)로 급기되어 열풍으로 가열되고, 이 열풍은 급기 덕트(24)를 통하여 2차 필터(32)에 의해 정화된 후 작업실(12)의 상부로 급기된다.
한편, 자동차의 도장을 행하는 과정에서 배기 송풍기(60)가 구동되면, 작업실(12)의 내부 공기가 3차 필터(34)에 의해 정화된 후 배기 덕트(50)로 배기되며, 배기 덕트(50)를 통하여 배기되는 내부 공기는 4차 필터(36)에 의해 완전히 정화되어 대기중으로 배기된다. 즉, 도장시 발생되는 용제 증기나 무화되어 분산되는 도료 입자는 3차 및 4차 필터(34, 36)에 의해 완전히 정화된 후 배기되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장 부스(10)의 작업실(12)에서 열처리 작업을 행할 때에는, 급기실(20)의 댐퍼(26)를 닫아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급기 송풍기(22)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급기 송풍기(22)의 구동에 의해 작업실(12)의 내부 공기, 즉 열풍이 바이패스 덕트(70)를 통하여 급기실(20)로 바이패스되며, 이때 바이패스 덕트(70)로 바이패스되는 내부 공기는 필터(110)에 의해 정화된다.
한편, 급기 송풍기(22)의 구동에 의해 바이패스 덕트(70)를 통하여 바이패스되는 공기에 의해 댐퍼(80)가 힌지축(8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리게 된다. 여기에서, 댐퍼(80)의 열림 각도는 가이드 로드(90)에 장착되는 추(94)의 위치, 즉 추(94)를 힌지축(92)에 가깝게 하거나 힌지축(92)으로부터 멀게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무게 중심이 달라지게 되므로, 바이패스되는 공기 압력에 대응되어 댐퍼(80)의 열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급기실(20)로 바이패스된 공기는 열교환기(40)쪽으로 급기되고, 열교환기(40)는 파이패스된 공기를 열처리 작업에 필요한 온도로 가열시켜 작업실(12)로 급기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급기 송풍기(22)가 정지되면, 댐퍼(80)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8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닫히게 되며, 이 댐퍼(80)는 스포퍼(100)에 걸리면서 회전 각도가 규제되어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기(40)의 운전으로 인한 에너지의 낭비가 방지되어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이 가능해져 경제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실(12)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대기 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운전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작업실(12)의 상부에서 급기 덕트(24)를 통하여 열풍이 급기되면서 작업실(12)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에도 바이패스 덕트(70)를 통하여 작업실(12)의 내부 공기가 급기실(20)로 바이패스되므로, 배기 덕트(50)를 통하여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작업실(12)의 에너지 손실이 크게 감소되어 경제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에 의하면, 작업실의 내부 공기가 급기실로 바이패스되어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작업실의 에너지 손실이 크게 감소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대기 시간이 단축되어 운전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3)

  1. 작업실의 한쪽에 설치되어 급기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를 강제로 급기시키는 급기실과, 상기 작업실의 바닥에 설치되어 배기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 덕트를 구비하는 도장 부스에 있어서,
    상기 작업실의 내부 공기를 상기 급기실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바이패스 덕트와;
    상기 바이패스 덕트의 내부에 상기 작업실로부터 바이패스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댐퍼와;
    상기 바이패스 덕트의 내면에 상기 댐퍼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바이패스 덕트의 한쪽에 바이패스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힌지축에 가이드 로드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에는 바이패스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열리는 댐퍼의 열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추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실과 바이패스 덕트는 벨로즈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
KR2019980025867U 1998-12-21 1998-12-21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 KR200218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67U KR200218791Y1 (ko) 1998-12-21 1998-12-21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67U KR200218791Y1 (ko) 1998-12-21 1998-12-21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804U KR20000012804U (ko) 2000-07-15
KR200218791Y1 true KR200218791Y1 (ko) 2001-11-15

Family

ID=6950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867U KR200218791Y1 (ko) 1998-12-21 1998-12-21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7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142B1 (ko) * 1999-12-15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상도 부스 배기 재순환 시스템
KR20160087243A (ko) 2015-01-13 2016-07-21 임동일 비산먼지 저감형 친환경 샌딩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789A (ko) * 1999-04-26 1999-07-05 박용하 자동차의도색건조방법및도색건조장치
KR20010110220A (ko) * 2001-09-07 2001-12-12 여호섭 단일 블로어를 갖는 폐쇄형 순환방식의 도장부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142B1 (ko) * 1999-12-15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상도 부스 배기 재순환 시스템
KR20160087243A (ko) 2015-01-13 2016-07-21 임동일 비산먼지 저감형 친환경 샌딩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804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109B1 (ko) 도장 부스
CN107744925A (zh) 一种汽车涂装生产线用烘干及尾气排放装置
KR200218791Y1 (ko) 도장 부스의 바이패스 장치
KR101568785B1 (ko) 내부 공기 순환형 제습장치
JP3007503B2 (ja) 給気付塗装ブース
KR20050106373A (ko) 자동차 도장실 내부의 열처리용 이동식 부스
KR100632131B1 (ko) 자동차 도장 열처리 설비
CN209255081U (zh) 一种汽车车漆表面喷涂修复装置
KR20200112423A (ko) 연소 배가스를 이용한 재생 공기 공급 시스템 및 방법
JPH06115412A (ja) 自動車塗装ブース並びに乾燥ブース
KR100677827B1 (ko) 에너지 절약형 도장용 부스의 외부공기 공급장치
JP4630361B2 (ja) 塗装ブース
KR200196165Y1 (ko) 자동차 도장 부스의 열교환기용 댐퍼
KR100503635B1 (ko) 보조건조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도료건조장치
CN106040509A (zh) 一种水性无机富锌底漆喷漆设备
CN215390340U (zh) 一种用于喷漆房的送风系统
CN219111968U (zh) 一种可自动转面的汽车配件喷涂装置
CN108036338A (zh) 一种干式喷漆废气处理设备
KR19990046789A (ko) 자동차의도색건조방법및도색건조장치
CN214717835U (zh) 一种环保型负压钣金喷漆房
CN220678268U (zh) 一种具有烘干结构的喷涂设备
CN217888460U (zh) 双底漆双面漆喷漆系统
CN220295027U (zh) 一种粉末涂料喷漆室
CN220277824U (zh) 一种废气排放管道
KR200413930Y1 (ko) 에너지 절약형 도장용 부스의 외부공기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