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725Y1 -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725Y1
KR200218725Y1 KR2020000022368U KR20000022368U KR200218725Y1 KR 200218725 Y1 KR200218725 Y1 KR 200218725Y1 KR 2020000022368 U KR2020000022368 U KR 2020000022368U KR 20000022368 U KR20000022368 U KR 20000022368U KR 200218725 Y1 KR200218725 Y1 KR 200218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ozone
filtration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기
Original Assignee
정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기 filed Critical 정상기
Priority to KR2020000022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7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725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민물이나 바다 또는 축양장에서 양식되는 어류의 배설물이나 잔류되는 양식사료에 대한 슬러지를 여과하고 여과된 물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과 중금속을 살균 및 산화시켜 용존산소가 풍부한 재생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수조내부의 오폐물을 드럼필터가 내장된 1차 여과조와 미생물법에 의한 유기물을 제거하는 생물여과조 및 모래필터로 구성된 수질 여과장치와 정제된 여과수를 오존 산소 용해조와 열교환기를 통한 양질의 재생수로서 수조내부로 환류되게 함으로서 수조에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절감하고, 오폐수의 방류에 의한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여과수 재생장치를 포함한 양어장의 오폐물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Filtrate apparatus of sewage in fish farm}
본 고안은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민물이나 바다 또는 축양장에서 양식되는 어류의 배설물이나 잔류되는 양식사료에 대한 슬러지를 여과하고 여과된 물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과 중금속을 살균 및 산화시켜 용존산소가 풍부한 재생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하수와 축산폐수 및 유기성 산업폐수 등의 오폐수 처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법은 메디아에 부착된 다종의 미생물이 생물막을 형성하여 저수온에도 유기물의 제거가 쉽게 되고, 고정화된 생물막의 박리 슬러지에 많은 미소동물이 서식함으로서 침전조에서의 고액분리가 간단하게 되며,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의 농도가 낮아도 오폐수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탈질효과로 오폐수 중의 질소제거와 잉여슬러지의 발생율이 낮아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어류의 배설물이나 사료의 잔류 슬러지에 의한 노폐물이 많은 양어장이나 축양장에는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법으로 오폐수 처리를 하게 되는 데, 종래에는 미생물법에 의해 처리된 오폐수를 하천이나 바다에 그대로 방류함으로서 많은 량의 공급수를 주기적으로 양어장에 제공해야 함에 따라 양식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방류되는 슬러지가 하천이나 바다에 침적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여러가지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다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수조내부의 오폐물을 드럼필터가 내장된 1차 여과조와 미생물법에 의한 유기물을 제거하는 생물여과조 및 모래필터로 구성된 수질 여과장치와 정제된 여과수를 오존 산소 용해조와 열교환기를 통한 양질의 재생수로서 수조내부로 환류되게 함으로서 수조에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절감하고, 오폐수의 방류에 의한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양어장의 오폐물 여과장치를 제공코자 한 데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가 : 수질 여과장치 나 : 여과수 재생장치1 : 수조 2 : 드럼필터 3 : 1차 여과조
4 : 생물여과조 5 : 저류조 6 : 모래필터
7 : 오존 발생기 8 : 오존 산소용해조 9 : 열교환기
10 : 받침대 11 : 메쉬망 12 : 분사기
13 : 제어판넬
본 고안에 따른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는 다종의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 (1)의 내부에 침적된 노폐물을 용존오존 부상법으로 산화시켜 유기물질을 여과하는 드럼필터(2)가 내장된 1차 여과조(3)와; 내부에 염화비닐 리텐제의 섬유조직이 형성되어 잔류 유기물을 미생물법으로 제거하는 생물여과조(4)와; 오폐물이 여과된 양식수가 저류조(5)에 통과되어 미세 부유물질이 제거되는 통상의 모래필터(6)를 조합하여서 된 수질 여과장치(가)를 형성하고, 이에 여과된 정제수와 오존 발생기(7)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혼합시켜 용존산소가 풍부한 오존수를 발생하는 오존 산소 용해조 (8)와; 이에 발생된 오존수를 양식조건에 맞는 온도로 변화시켜 상기 수조(1)의 내부로 공급하는 열교환기(9)가 결합된 여과수 재생장치(나)를 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1차 여과조(3)에 내장된 드럼필터(2)는 내측 상부에 슬러지 받침대 (10)를 형성하고 외주연으로 일정크기의 메쉬망(11)을 형성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회전원통으로 되어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2는 드럼필터(2)의 받침대(10)에 노폐물을 분사하는 분사기이고, 13은 수조(1)내부에 잔류하는 수소이온 농도와 용존 산소량을 표시하는 제어판넬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수조(1)내부에 양식되는 어류의 배설물이나 잔류사료의 슬러지가 포함된 오폐수를 수질 여과장치(가)의 1차 여과조(3)에 공급하게 되면 이의 내부에 여과수 재생장치(나)의 오존 산소 용해조(8)를 통해 다량으로 용존하는 오존이 오폐수에 함유된 노폐물을 산화시켜 유기물질과 함께 분리되는 슬러지와 같은 난분해물질은 분사기(12)가 상부에 부착되어 회전되는 드럼필터(2)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받침대(10)에 침적되어 폐출수와 함께 배출되고, 유기물질은 드럼필터 (2)의 외주연으로 형성된 일정크기의 메쉬망(11)을 통해 1차로 여과되어 내부에 염화비닐 리텐제의 섬유조직이 형성된 생물여과조(4)에 월류됨에 따라 띠형상의 섬유조직에 성장 및 서식하는 많은 종류의 미생물이 1차 여과된 유기물질을 분해시켜 저류조(5)와 모래필터(6)에 차례로 통과 시킴으로서 유기물의 분해과정에서 미세하게 발생되는 부유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정제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조(1) 내부의 오폐수가 수질 여과장치(가)를 통해 취출된 정제수를 다량의 오존과 산소가 용해되어 있는 여과수 재생장치(나)의 오존 산소 용해조(8)에 유입하게 되면 무기질의 정제수와 쉽게 반응하는 오존의 결합으로 수산화 레디칼이 다량 발생함에 따라 풍부한 용존산소를 가진 양질의 정제수가 열교환기 (7)를 통해 어류의 서식환경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어 수조(1)의 내부로 환류됨으로서 양식장의 내부에 수조(1)의 오폐수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교환기(9)를 통해 수조(1)의 내부로 재생수가 공급되어 이에 어류의 서식환경에 적합한 수소 이온농도와 용존 산소량을 체크하는 제어판넬(13)이 수조 (1)와 연결됨에 따라 수조(1) 내부에 잔류되는 수소 이온농도와 용존 산소량으로 오존 산소 용해조(8)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 발생기(7)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수조(1)에서 배출되는 오폐물을 드럼필터(2)와 생물여과조(4)가 장착된 수질 여과장치(가)에 통해 용존산소 부상법과 미생물법으로 난분해물질과 유기물로 분해시켜 깨끗하게 여과된 정제수를 취출하고 이를 오존 산소 용해조(8)와 열교환기(9)를 통해 어류들의 서식환경에 맞게 양질의 재생수를 수조(1)내부로 환류시킴으로서 자원의 재활용으로 수조(1)에 공급되는 원수를 절감하는 잇점이 있고, 또한 오폐수에 함유된 난분해물질만을 분리 폐기함으로서 환경오염방지에 매우 큰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종의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1)의 내부에 침적된 노폐물을 용존오존 부상법으로 산화시켜 유기물질을 여과하는 드럼필터(2)가 내장된 1차 여과조(3)와; 내부에 염화비닐 리텐제의 섬유조직이 형성되어 잔류 유기물을 미생물법으로 제거하는 생물여과조(4)와; 오폐물이 여과된 양식수가 저류조(5)에 통과되어 미세 부유물질이 제거되는 통상의 모래필터(6)를 조합하여서 된 수질 여과장치(가)를 형성하고, 이에 여과된 정제수와 오존 발생기(7)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혼합시켜 용존산소가 풍부한 오존수를 발생하는 오존 산소 용해조(8)와; 이에 발생된 오존수를 양식조건에 맞는 온도로 변화시켜 상기 수조(1)의 내부로 공급하는 열교환기(9)가 결합된 여과수 재생장치(나)를 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1차 여과조(3)에 내장된 드럼필터(2)는 내측 상부에 슬러지 받침대(10)를 형성하고 외주연으로 일정크기의 메쉬망(11)을 형성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회전원통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
KR2020000022368U 2000-08-05 2000-08-05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 KR200218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68U KR200218725Y1 (ko) 2000-08-05 2000-08-05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68U KR200218725Y1 (ko) 2000-08-05 2000-08-05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725Y1 true KR200218725Y1 (ko) 2001-04-02

Family

ID=7307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368U KR200218725Y1 (ko) 2000-08-05 2000-08-05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7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718B1 (ko) * 2001-08-21 2003-12-31 서희동 활성부식물질을 이용한 양어장환경의 개선방법
KR20200037647A (ko) 2018-10-01 2020-04-09 배대강 기포 분리기가 장착된 양어장
KR20200037607A (ko) 2018-10-01 2020-04-09 배대강 자동세척식여과장치가 장착된 양어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718B1 (ko) * 2001-08-21 2003-12-31 서희동 활성부식물질을 이용한 양어장환경의 개선방법
KR20200037647A (ko) 2018-10-01 2020-04-09 배대강 기포 분리기가 장착된 양어장
KR20200037607A (ko) 2018-10-01 2020-04-09 배대강 자동세척식여과장치가 장착된 양어장
KR102221494B1 (ko) * 2018-10-01 2021-02-26 배대강 자동세척식여과장치가 장착된 양어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8136B2 (ja) 槽外設置型膜分離活性汚泥法
KR100784933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 처리 장치
JP2007069091A (ja)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
CN102040294A (zh) 一种循环水排污水和反渗透浓水的处理方法
CN206142914U (zh) 厌氧缺氧好氧a3o‑mbbr一体化污水处理装置
KR100807219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 정화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CA23816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liquid manure
KR102171918B1 (ko) 축산폐수의 자원화 및 정화처리 순환재활용 시스템
KR100296887B1 (ko) 해산어육상축양장의수질개선방법및그장치
KR101688800B1 (ko) 역삼투 농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3033780A (ja) 排水処理方法
KR100254136B1 (ko) 생물막여과 및 오존탈질법에 의한 육상수조직 해산어류 양식시설의 순환여과시스템
KR200218725Y1 (ko) 양어장 오폐물의 여과장치
KR20000055904A (ko) 오·폐수 및 축산, 분뇨폐수의 중수도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CN212269808U (zh) 反渗透浓盐水处理系统
JP4850015B2 (ja) 槽外設置型膜分離活性汚泥法
JPH10216795A (ja) クリーニング工場排水処理システム
JPH04200799A (ja) 水処理方法および生物活性炭吸着池
JP3256959B2 (ja) 海苔製造装置
KR20050078738A (ko) 무슬러지 오폐수처리방법
JPH0751668A (ja) 汚水の浄化処理方法
KR20040066549A (ko) 축산폐수내 질소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
CN209872703U (zh) 一种集成式废水处理装置
KR100192174B1 (ko) 축사 오수용 정화방법 및 그 장치
KR200314696Y1 (ko) 축양장의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