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651Y1 -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651Y1
KR200218651Y1 KR2020000030351U KR20000030351U KR200218651Y1 KR 200218651 Y1 KR200218651 Y1 KR 200218651Y1 KR 2020000030351 U KR2020000030351 U KR 2020000030351U KR 20000030351 U KR20000030351 U KR 20000030351U KR 200218651 Y1 KR200218651 Y1 KR 200218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clutch
case
rotating drum
wi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식
Original Assignee
이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식 filed Critical 이호식
Priority to KR2020000030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651Y1/ko

Link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이어폰의 전선을 살짝 당겼다 놓으면 자동으로 감겨져 수납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에 있어서는, 케이스로부터 이어폰에 연결된 전선을 필요한 만큼 잡아당겨 인출토록 함으로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 후 인출된 전선을 케이스에 수납토록 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된 버튼을 눌러야만 전선의 수납이 가능토록 되어, 특히 차량 운행 시 휴대폰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위험성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스프링에 탄력 지지되어 이어폰에 연결된 전선이 감겨지지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클러치로 구성되어지는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의 작동을 이어폰에 연결된 전선의 당김만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어폰에 연결된 전선이 자동으로 인출 또는 감기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A auto rolling eqipment of earphone}
본 고안은 카세트나 휴대폰에 사용되는 이어폰의 전선을 수납 케이스로부터 자유롭게 인출 또는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납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이어폰에 연결된 전선을 살짝 잡아당겼다 놓으면 자동으로 감겨져 수납이 가능토록 한 것이 특징이다.
통상적으로 이어폰은 증폭기에 연장되어진 전선과 잭에 연장되어진 전선이 연결되어 휴대용 카세트나 휴대폰에 잭으로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증폭기에 연장되어진 전선의 길이가 길어서 전선의 꼬임 또는 엉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전선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 내부에 이러한 전선을 자동으로 감아서 수납토록 할 수 있는 자동 감김장치를 구비토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 감김장치는 스프링(100)에 탄력 지지토록 되는 회전드럼(200)의 외주면에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돌기(201)가 형성되어 클러치(300)의 상하 작동에 의한 회전드럼 돌기와의 맞물림에 의한 제지 또는 해지에 따라 회전드럼(200)에 감겨진 전선(400)이 인출 또는 감겨지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때 클러치(300)의 작동은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버튼(500)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의 인출 시에는 회전드럼에 감겨진 전선을 필요한 만큼 잡아당겨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사용 후 인출된 전선을 케이스에 수납토록 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된 버튼을 눌러야만 전선이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운행 시 핸드폰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이어폰의 사용 후 전선을 수납토록 하기 위하여 버튼을 찾아서 눌러야 하기 때문에 차량 운행에 위험성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프링에 탄력 지지되어 이어폰이 연결된 전선이 감겨지지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클러치로 구성되어지는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저면에는 클러치의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회전부재를 형성하고, 클러치는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작동토록 하여 클러치의 작동이 전선의 당김만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를 해결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
도 2는본 고안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의 작동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클러치에 스위치 레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클러치 작동에 따른 스위치 접점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스프링 2: 회전드럼
3: 클러치 4: 회전부재
5: 스위치 작동 레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어폰에 연결된 전선을 나선형 스프링(1)에 의하여 탄력 지지토록 되는 회전드럼(2)과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클러치(3)로 구성되어지는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2)의 저면에는 상기 클러치(3)의 방향을 유도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만곡되게 벌어진 돌출부(4a)와 클러치(3)를 일정범위 내에서 정지토록 하기 위한 요입부(4b)로 이루어진 회전부재(4)를 형성하고, 상기 클러치(3)는 회전부재(4)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작동토록 된 것이다.
이때 상기 클러치(3)의 정점부는 회전부재의 돌출부(4a)에 의한 방향 전환이 원활하도록 만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클러치(3)의 정지 시에는 회전부재의 요입부(4b) 내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위치되어 있고, 요입부(4b)를 통과하면서 좌,우 방향으로의 각도 변화에 따라 클러치(3)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된다.
이러한 클러치(3)의 작동방식은 이어폰에 연결된 전선을 당겨서 인출토록 하는 정회전(시계방향) 시에는 회전부재(4)의 돌출부(4a) 'B' 지점에서 클러치(3)가 작동되고, 'C' 지점을 통과하여 'D' 지점에 이르기까지는 자동 역회전하여 'C' 지점에서 작동하고, 정회전 'C'지점에서 'A' 지점을 통과하고 'B' 지점에 이르기까지 이동시에는 클러치(3)의 작동이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에 연결된 전선이 인출되어 클러치(3)의 정점이 회전부재(4)의 'C'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선을 살짝 당겼다 놓으면 회전부재(4)가 정회전하여 클러치(3)가 회전부재의 돌출부(4a) 'D' 지점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회전부재(4)의 역회전으로 돌출부 'C' 지점에서 클러치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출된 전선이 자동으로 감기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3)에 스위치 작동 레버(5)를 연결하여 클러치(3)의 이동 방향에 따라 스위치의 접점 및 해지 작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별도의 스위치 기능을 첨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완구를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 및 산업용 와이어의 전선을 자동을 감을 수 있도록 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는 케이스에 수납되어지는 이어폰의 전선을 당김만으로 자동 인출하거나 감기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어폰의 사용 후 전선을 케이스에 수납시키기 위하여 버튼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스프링(1)에 의하여 탄력 지지토록 되는 회전드럼(2)과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클러치(3)로 구성되어지는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2)의 저면에 상기 클러치(3)의 방향을 유도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만곡되게 벌어진 돌출부(4a)와 클러치(3)를 일정범위 내에서 정지토록 하기 위한 요입부(4b)로 이루어진 회전부재(4)를 형성하고, 상기 클러치(3)는 회전부재(4)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작동토록 한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3)에 스위치 작동 레버(5)를 연결하여 클러치(3)의 이동 방향에 따라 스위치의 작동이 가능토록 한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KR2020000030351U 2000-10-31 2000-10-31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KR200218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351U KR200218651Y1 (ko) 2000-10-31 2000-10-31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351U KR200218651Y1 (ko) 2000-10-31 2000-10-31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651Y1 true KR200218651Y1 (ko) 2001-04-02

Family

ID=7309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351U KR200218651Y1 (ko) 2000-10-31 2000-10-31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6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377B1 (ko) * 2002-05-28 2004-07-14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와이어 와인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377B1 (ko) * 2002-05-28 2004-07-14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와이어 와인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997B1 (ko) 진공청소기용 전원코드복귀장치
JPH0652095U (ja) 携帯用オーディオ装置
JPS5935617B2 (ja) 真空掃除機等のコ−ド巻取装置
KR200218651Y1 (ko)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KR200228443Y1 (ko)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KR19980059970U (ko) 이어폰의 전선 권취장치
JPS59161963A (ja) 電話機のコ−ド巻取り装置
JP2013127226A (ja) リコイルスタータ機構
JPH0540637Y2 (ko)
KR200244998Y1 (ko) 줄 감김 자동장치
CN112451961A (zh) 游戏手柄
JPS622211Y2 (ko)
JP3109435U (ja) 多段位置決め式コードリール装置
JPH04231020A (ja) 電気掃除機
KR100389290B1 (ko)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
JPS5827405Y2 (ja) プレ−ヤの自動停止装置
JP2500212Y2 (ja) コ―ド巻取装置
JP2006034195A (ja) 魚釣用リール
KR200256419Y1 (ko) 케이블 릴을 갖는 이동형 에어컨
JPS5976253U (ja) 自動ロツク式巻取装置
JPS622601Y2 (ko)
JPH0218051Y2 (ko)
JPS6139734Y2 (ko)
KR20030033776A (ko) 진공청소기용 코드릴장치
JP3106584U (ja) ケーブル巻き戻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