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448Y1 -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448Y1
KR200218448Y1 KR2020000027119U KR20000027119U KR200218448Y1 KR 200218448 Y1 KR200218448 Y1 KR 200218448Y1 KR 2020000027119 U KR2020000027119 U KR 2020000027119U KR 20000027119 U KR20000027119 U KR 20000027119U KR 200218448 Y1 KR200218448 Y1 KR 200218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screen
water
filtration tank
back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00027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4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448Y1/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용 여과조에 관한 것으로, 여과조(3) 유입단계에 미세목스크린(4) 설비를 부착하여, 여과시 여과사의 공극을 막는 주요 원인이 되는 부유물질(SS)을 일정량 제거 함으로서 여과조(3) 역세척빈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여과조(3)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도모함에 있다.
또한 여과조(3)를 통하여 여과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보다 정밀여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여과사 표면에 포집되는 슬러지의 응집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세척산기관(10)을 제1여과층(5) 10cm 하부에 매설하고, 여과조(3)의 상부 일면에는 처리수이송관(2)이, 하부에는 처리수배출관(8)이 형성되는 여과조(3)와; 상기 여과조(3)의 내부 하측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 1,2여과층(5)(6)을 설치하되, 제2여과층 하부로는 다수의 통공이 내재된 유공블럭통공(14)이 설치되며, 처리수이송관(2) 말단부에는 부유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미세목스크린(4)과 여과가 지속되어 미세목스크린(4)이 막혔을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수노즐(9)이 구비되며, 미세목스크린(4) 하단부에서는 탈리된 부유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배출관(11)이 설치되며, 역세척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역세척펌프(13)과 역세척산기관(10), 역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역세척수 배출관(12)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Filter equipped with screen}
본 고안은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조 상부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여과전 1차 여과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역세척빈도를 적게하여 여과장치의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하기위한 스크린 설비를 겸비한 여과장치에 관한것이다.
근래에 들어 대량의 산업폐수와 생활하수 등이 하천을 통하여 상수원이 되는 강이나 호수로 방출됨으로써,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초래되었고, 이에, 정부에서는 상기와 같은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폐수처리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정책 및 상기 폐수처리시설을 거친 처리수는 기준오염치를 벗어나지 않은 정도로 여과된 상태에서 방출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대량의 폐수를 방출하는 사업장에서는 일반적인 폐수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한편 기준오염치를 준수하기 위한 처리시설에서는 고도처리설비를 갖추어야 했다.
여과조의 가장 큰 목적은 여과지속시간을 길게 유지한채 여과수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여과조를 운영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 여과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는 플록(floc)의 크기와 밀도이다. 플록(floc)의 밀도나 강도가 클 경우 여과조에서의 제거효율은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탁질이 누출될 염려가 적다. 플록(floc)의 크기는 여재의 평균 공극크기(100㎛ 전후) 보다 작은 10∼20㎛ 정도가 좋고, 플록(floc)의 크기가 여재의 공극보다 더 클 경우 표면여과에 의하여 여재 표면에서 손실수두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50∼300㎛ 크기의 규조류가 발생할 경우 여과지속시간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은 여재의 표면에서 걸름 작용에 의하여 규조류가 제거되기 때문이다.
여과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수질상의 인자는 수온을 비롯한 입자의 크기와 밀도이며, 여과공정의 선택은 원수의 수질에 따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바이러스나 Giardia와 같은 10 ㎛ 이하의 작은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이 주 목적이 되는 경우에는 여재의 깊이를 깊게 하고 여재의 입경을 작게하는 것이 유리한 반면 탁질을 제거하기 위한 급속여과 공정에서는 여상의 표층에서 대부분의 입자가 제거되는 표면여과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여재입자를 크게하고 여상을 깊게 설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두가지 문제가 동시에 발생될 우려가 있는 여과조에서는 최근 2중 여재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탁도의 변화가 심하고 강우에 의해 고탁도 유입이 잦은 정수장에서는 여과조 전에 응집침전 공정을 도입하여 대부분의 입자를 침전지에서 제거하고, 잘 침전되지 않은 일정한 크기의 탁질을 여과조에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때에도 잘 침전되지 않은 규조류가 다량 유입할 경우 여과조의 폐색 문제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에따라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취수원을 이용하는 정수장에서는 이중여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원인으로 인한 여과조 폐색으로 인해 역세척을 자주 시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과다한 시설비를 요하는 전처리 침전시설을 하지 않고도 여과조 상부에 스크린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처리수의 탁도를 저하시키므로서 여과조를 매우 경제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역세척 빈도를 적게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대표하는 평면도
도 3는 도 2의 A-A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차침전지
2 : 이송관
3 : 여과조
4 : 초미세목스크린
5 : 제1여과층
6 : 제2여과층
7 : 하부집수장치
8 : 처리수배출관
9 : 소포수노즐
9a : 소포수노즐 고정대
10 : 역세척산기관
10a : 역세척관 산기구멍
11 : 슬러지배출관
12 : 역세척수배출관
13 : 역세척펌프
14 : 유공블럭통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여과장치에 있어서, 여과조를 통하여 여과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보다 정밀여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여과사 표층에 포집되는 슬러지의 응집현상을 방지하고, 여과조 유입부에 초미세목스크린을 설치하여 1차 여과를 수행함으로서 여과조의 역세척 빈도를 감소시키는 역활을 하는 장치를 안출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대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이중 본 고안의 구성을 대표하는 도면인 도 2를 예를 들어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의 이차침전조에서 방출된 처리수는 방류되기전 맨마지막 처리단계인 여과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를 위해 여과조(3)가 설치된다. 이차침전조(1)에서 유입된 처리수는 이송관(2)을 따라 여과조(3)으로 유입되게 되며, 여과조(3)으로 유입되기전 본 고안의 주요 장치인 초미세목스크린(4)을 통과하게 되며 초미세목스크린(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부유물질 등이 초미세목스크린(4)에 걸리게 되며 이를 통과한 처리수 만이 다음 여과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초미세목스크린(4)의 전단부에는 여과가 지속되는 동안 스크린 표면에 부유물질이 막히게 되며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인 소포소노즐(9)이 설치되게 되다. 초미세목스크린(4)이 막혔을 경우 소포수노즐(9) 밸브를 열어 소포수를 뿜어 줌으로서 초미세목스크린(4) 표면에 막혔던 슬러지 등을 탈리시키게 되며, 탈리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은 슬러지배출관(11)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초미세목스크린(4)을 통과한 처리수는 제1여과층(5)과 제2여과층(6)을 거치는 동안 여과가 수행되며, 최종적으론 유공블럭 통공(14)를 통해 하부집수장치(7)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모인 처리수는 처리수배출관(8)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여과를 지속하게 되면 오랜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정도는 덜하겠지만 필연적으로 역세척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역세척산기관(10)은 제1여과층(5) 하부 10cm 내외에 포설하여 역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역세척은 역세척펌프(13)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여 수행하는데 공급된 공기는 여과조 안에 균등하게 포설된 역세척산기관(10)의 역세척관산기구멍(10a)를 통해 상부로 배출되어진다.
상부로 배출된 역세척수는 여과조(3)의 상부에 위치한 역세척수배출관(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지는데 이때 웨어의 높이를 정확히 조절하여야 슬러지배출부로 역세척수가 월류하지 않게 된다.
초미세목스크린(4)를 청소하기 위한 소포수노즐(9)에 공급되는 물은 처리장내의 중수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성에 있어서는 원형의 소포수노즐을 다수 설치하거나 정방형 형태의 노즐을 현장여건에 맞게 설치하는 것이 타당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다른 도 2의 A-A 단면도로서 상부에는 정방형 형태의 소포수노즐(9)과 소포수노즐고정대(9a)가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어주며, 그 하부에는 역세척산기관(10), 제 1여과층(5) 제2여과층(6), 역세척관산기구멍(10a), 하부집수장치(7)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여과조 유입부에 슬러지걸름 역할을 수행하는 초미세목스크린을 설치함으로서 여과조의 주된 기능인 중단없는 여과작용과 역세척 빈도를 절감시켜 유지관리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어 여과조가 최대한의 처리효율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하고 기존여과조도 간편하게 개선시킬수 있어 처리효율의 증대를 기할 수 있다.
또한 침전조에서 규조류 등이 번식하여 여과단계로 넘어올 경우에도 여과조 전단계에 스크린 설비를 부착하여 이를 제거함으로서 여과조의 부하를 감소시킬수 있어 역세척빈도를 감소시킬수 있다.

Claims (1)

  1. 통상의 여과장치에 있어서, 이차침전조(1)에서 유입된 처리수를 여과조(3)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관(2)과; 여과조(3)로 처리수가 유입되기전 부유물질 등을 1차 제거하기 위한 초미세목스크린(4) 장치; 초미세목스크린(4)의 전단부에는 스크린 표면에 막힌 부유물질이을 제거하기 위한 소포소노즐(9) 장치를 구비하고; 탈리된 슬러지등의 이물질은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배출관(11)과; 초미세목스크린(4)을 통과한 처리수를 재차처리하기 위한 제1여과층(5)과 제2여과층(6); 여과가 완료된 처리수를 집수하기 위한 하부집수장치(7); 여과사 표층을 역세척하기 위해 여과층(5) 하부 10cm 내외에 포설한 역세척산기관(10)을 구비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
KR2020000027119U 2000-09-27 2000-09-27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 KR200218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119U KR200218448Y1 (ko) 2000-09-27 2000-09-27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119U KR200218448Y1 (ko) 2000-09-27 2000-09-27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448Y1 true KR200218448Y1 (ko) 2001-04-02

Family

ID=7308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119U KR200218448Y1 (ko) 2000-09-27 2000-09-27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4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869B1 (ko) 2010-05-12 2012-08-08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개착식 하상여과역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착식 하상여과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869B1 (ko) 2010-05-12 2012-08-08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개착식 하상여과역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착식 하상여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0389A (en) Filtration unit
KR100860079B1 (ko) 수 처리기의 상향류식 여과 및 역세 방법 및 그 장치
CN101475247A (zh) 以超滤为核心集多种净水技术于一体的短流程水处理工艺
CA2237491A1 (en) Sand filtration filtering system using ozone
EP2707334B1 (en)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and installation including air-lift and post-treatment in filter
KR100898080B1 (ko) 가압 부상식 여과지
CN217661690U (zh) 一种防板结的过滤净水装置
JP2004141724A (ja) 固液分離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200218448Y1 (ko)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
KR20150014097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9650587A (zh) 一种多级沉降园林污水再生系统
KR200381733Y1 (ko) 고도처리장치용 여과기
KR100720598B1 (ko) 고도처리장치용 여과기
JP3281161B2 (ja) 浄水処理装置
CN112876004A (zh) 水厂运行系统及其工艺方法
KR20080082852A (ko) 오폐수 처리용 침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CN217972924U (zh) 一种具有多级过滤功能的污水处理装置
CN2249634Y (zh) 净水过滤器
KR102416436B1 (ko)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200218326Y1 (ko) 역세척이 손쉬운 필터층을 보유한 여과장치
KR20040070365A (ko) 간이상수도 복합 정수장치
CN218951171U (zh) 一种电厂冲灰废水处理系统
KR100336819B1 (ko) 역세척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200361846Y1 (ko) 구연산공급라인이 구비된 수처리용 여과장치
JP3106859B2 (ja) 沈澱池のろ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