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690Y1 - 건물 환기구용 셔터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건물 환기구용 셔터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690Y1
KR200217690Y1 KR2020000030019U KR20000030019U KR200217690Y1 KR 200217690 Y1 KR200217690 Y1 KR 200217690Y1 KR 2020000030019 U KR2020000030019 U KR 2020000030019U KR 20000030019 U KR20000030019 U KR 20000030019U KR 200217690 Y1 KR200217690 Y1 KR 200217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utter
windbreak
rotating blad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식
Original Assignee
박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식 filed Critical 박호식
Priority to KR2020000030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690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에 위치하는 환기구를 개폐시켜 주는 셔터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셔터의 회전블레이들중 맨 윗쪽 회전블레이드나 맨 아래쪽 회전블레이드와 접촉하는 방풍프레임과 상,하부프래임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상,하부프레임(1)에는 수직돌출부(2)와 수평절곡부(3)를 가진 안내레일(4)(4')이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방풍프레임(5)에는 상기 안낼일을 감싸는 형태를 이루는 절곡단부(6)(6')와 수평벽부분(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 환기구용 셔터의 프레임{A frame of shutter for building ventilation}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에 위치하는 횐기구를 개폐시켜 주는 셔터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셔터의 회전블레이들중 맨 윗쪽 회전블레이드나 맨 아래쪽 회전블레이드와 접촉하는 방풍프레임과 상,하부프래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부프레임(30)에 방풍프레임(31)을 볼트(32)와 너트(33)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하부프레임(30)과 방풍프레임(31)이 선접촉부위(34)를 갖는 것으로서, 이 접촉부위의 주위를 실리콘고무와 같은 충전재(35)로 밀폐시켜 주더라도 오래사용할 경우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 볼트(32)와 너트(33)의 결합상태가 느슨해지기 마련이므로 선접촉부위(34)에 쉽게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서 우천시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었고, 방풍프레임(31)의 고정상태가 느슨해지게 되어서 회전블레이드와의 접촉상태 불량이 초래되어 셔터를 닫더라도 원하지 않게 바깥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 조립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하기가 용이하고 기밀 유지성이 우수한 건물환기구용 셔터의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의 사용상태를 보인 셔터의 배면도.
도 2 는 도1의 A-A선 부분확대 단면도.
도 3 은 종래의 프레임 구성을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상,하부프레임 2:수직돌출부
3:수평절곡부 4,4':안내레일
5:방풍프레임 6,6':절곡단부
7:수평벽부분
본 고안은 도 2 에 예시한 바와같이 상,하프레임(1)에는 수직돌출부(2)와 수평절곡부(3)를 가진 안내레일(4)(4')이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방풍프레임(5)에는 상기 안내레일을 감싸는 형태를 이루는 한쌍의 절곡단부(6)(6')와 수평벽부분(7)이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방풍프레임(5)의 실내측에는 물흐름안내판(8)을 결합시켜서 우천시 셔터를 개방시켜 주더라도 빗물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줄수도 있는데, , 상기 물흐름안내판(8)은 방풍프레임(5)의 한쪽에 착탈되게 만들수도 있고, 방풍프레임(5)과 한 몸체를 이루도록 만들어 줄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실링끼움부이고, 10은 실리콘고무와 같은 충전재이며, 11은 셔터, 12는 회전블레이드의 예시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상,하프레임(1)에 방풍프레임(5)을 슬라이등 방식으로 끼워맞춤하는 것으로서, 방풍프레임(5)의 절곡단부(6)(6')와 수평벽부분(7)이 상,하부프레임(1)의 안내레일(4)(4')을 감싸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접촉부위는 지그재그 형태로 비교적 큰 접촉면적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오래 사용하여서 충전재(10)가 노화되더라도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에 틈새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서 우천시 빗물이 실내쪽으로 유입될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부프레임(1)과 방풍프레임(5)을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수 있고, 상,하부프레임과 방풍프레임간의 기밀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우천시에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으며, 방풍프레임과 회전블레이드간의 밀착상태도 긴밀하게 유지시켜 줄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하부프레임(1)에는 수직돌출부(2)와 수평절곡부(3)를 가진 안내레일(4)(4')이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방풍프레임(5)에는 상기 안낼일을 감싸는 형태를 이루는 절곡단부(6)(6')와 수평벽부분(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환기구용 셔터의 프레임.
KR2020000030019U 2000-10-27 2000-10-27 건물 환기구용 셔터의 프레임 KR200217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019U KR200217690Y1 (ko) 2000-10-27 2000-10-27 건물 환기구용 셔터의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019U KR200217690Y1 (ko) 2000-10-27 2000-10-27 건물 환기구용 셔터의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690Y1 true KR200217690Y1 (ko) 2001-03-15

Family

ID=7309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019U KR200217690Y1 (ko) 2000-10-27 2000-10-27 건물 환기구용 셔터의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6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4283B1 (en) Water resistant window frame
JP3205858B2 (ja) サッシの下横枠材取付構造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JP4132018B2 (ja) 笠木構造
KR200217690Y1 (ko) 건물 환기구용 셔터의 프레임
GB2131072A (en) Window frame construction with water drain
JP4993948B2 (ja) 笠木装置
KR20090113427A (ko) 미닫이 창문
KR200345035Y1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 유지용 피스
CN213175296U (zh) 高水密性内置隐纱平开窗
JP2001234675A (ja) 換気ガラリ
KR200406608Y1 (ko) 문틀 섀시
JP4041097B2 (ja) シャッター
JPH10131641A (ja) サッシの雨仕舞構造
JP2986395B2 (ja) サッシ上枠の換気装置
JPS6220633Y2 (ko)
JPH0243991Y2 (ko)
JPH06200677A (ja) 内倒し窓
JPS6317832Y2 (ko)
KR0121348Y1 (ko) 창문용 환기구
JP2004076485A (ja) 外壁
KR200268753Y1 (ko) 차량의 세미프레임 도어구조
JP4024717B2 (ja) 開口部装置
JPH05149065A (ja) 窓枠部構造
JP3542536B2 (ja) 玄関サッシの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