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293Y1 - 완충 포장재 - Google Patents

완충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293Y1
KR200217293Y1 KR2020000028310U KR20000028310U KR200217293Y1 KR 200217293 Y1 KR200217293 Y1 KR 200217293Y1 KR 2020000028310 U KR2020000028310 U KR 2020000028310U KR 20000028310 U KR20000028310 U KR 20000028310U KR 200217293 Y1 KR200217293 Y1 KR 200217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buffer member
present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일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일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일진화학
Priority to KR2020000028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293Y1/ko

Links

Landscapes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면이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포장재로 제품을 포장함으로서,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제품을 보호함과 아울러 포장이 용이하고, 포장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일면은 완충부재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수지필름부로 이루어져 상기 완충부재와 수지필름부의 테두리가 봉투형태로 접착된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더블 에어버블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더블 에어버블은 공기가 충진되어진 다수개의 볼록부가 대응되게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볼록부 사이에는 판 포장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완충 포장재{PACKING BAG FOR SHOCK-ABSORBING}
본 고안은 완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투형태로 이루어진 포장재의 표면은 완충부재로 구성하고, 이면은 수지필름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 등에서 생산된 제품의 가치 및 상태를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포장재 및 적합한 포장방법으로 포장하여 제품의 수송, 보관 및 취급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재 및 포장방법중에서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판넬 등을 포장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이 수지필름부(1')(1')으로 이루어진 봉투형태의 포장재(1)에 도어판넬(2)을 삽입시키고, 포장재(1)에 열을 가하게 되면 봉투 입구부가 열융착됨과 아울러 수지필름부가 수축하면서 도어판넬(2) 형태로 밀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포장방법은 제품의 수송, 보관 및 취급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제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지필름부가 완충효과가 없어 포장된 제품끼리 부딪친다던지, 운반과정에서 포장재가 찢어져 실질적으로 제품을 보호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장 처리된 도어판넬의 표면에 완충부재를 테이프로 부착하고, 수지필름부로 이루어진 봉투형태의 포장재에 도어판넬을 삽입시켜 포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장방법도 완충부재를 도어판넬에 별도로 부착함으로서, 포장방법이 복잡하고, 포장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일측면이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포장재로 제품을 포장함으로서,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제품을 보호함과 아울러 포장이 용이하고, 포장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재로서 제품을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포장재로 제품을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따른 포장재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조공정을 나태낸 플로우 차트.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포장재 10: 완충부재
11: 더블 에어버블 11a: 볼록부
11b: 판 포장지 20: 수지필름부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면은 완충부재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수지필름부로 이루어져 상기 완충부재와 수지필름부의 테두리가 봉투형태로 접착된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더블 에어버블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더블 에어버블은 공기가 충진되어진 다수개의 볼록부가 대응되게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볼록부 사이에는 판 포장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장재(100)는 봉투형태로 구성되어 입구를 제외한 삼변은 열융착되어 있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제품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포장재(100)의 일면은 완충부재(10)로 이루어져 있고, 타면은 수지필름부(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는 더블 에어버블(1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더블 에어버블(11)은 공기가 충진되어진 다수개의 볼록부(11a)가 대응되게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볼록부(11a) 사이에는 판 포장지(1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포장재로서 제품을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차량의 도어판넬(30)을 제품으로 하여 포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도어판넬(30)은 전면(31)에는 도장처리되어 긁힌이나 표면 상처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포장재(100)의 완충부재(10)로 보호하는 것이고, 도어판넬(30)의 후면(32)은 본 고안의 포장재(100)의 수지필름부(20)로 감싸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판넬(30)을 포장하는데 국한되지 않고, 차량용 본네트, 후드, 범퍼 또는 드렁크 등을 포장할 수도 있으며,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가지 가전제품중에서도 특히, 냉장고(도면상 미도시)의 포장을 나타내었다.
즉, 냉장고의 둘레중 도장이 되어 있는 삼면을 완충부재(10)로 감싸도록 하고, 일면을 수지필름부(20)로 감싼 후에 열을 가해 포장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재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방법을 도 5에서 플로우 차트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공정은 완충부재(10)와 수지필름부(20)로 구성된 봉투형 포장재(100)를 제조한다.
이는 완충부재(10)와 수지필름(20)을 일정형상의 재단한 후 적층하여 삼변을 열융착으로 접합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10)인 더블 에어버블(11)은 연속적으로 볼록부(11a)가 형성되도록 각각의 단일 에어버블을 제조하는 동시에 수지를 상기 단일 에어버블 사이에 주입하게 되면 상기 수지가 경화되면서 판 포장지(11b)가 되고 상기 단일 에버버블은 접착되어 일체의 더블 에어버블(11)이 되는 것이다.
제 2공정은 상기에서 제조한 봉투형 포장재(100)에 도어판넬(30)을 삽입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의 일시예로 차량용 도어판넬(30)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제 3공정은 제품이 삽입된 봉투형 포장재(100)의 입구를 밀봉하는 포장공정이다.
상기 공정에서는 봉투형 포장재(100)에 열을 가하게 되면 수지필름부(20)가 수축되고, 도장처리가 된 차량용 도어판넬(30)의 전면(31)에 완충부재(10)가 밀착됨과 아울러 열에 의해 봉투형 포장재(100)가 밀봉되면서 포장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완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은 완충 포장재와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봉투형 포장재를 사용하여 제품을 포장함으로서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봉투형 포장재를 사용함으로서 포장이 쉽고, 포장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면은 완충부재(10)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수지필름부(20)로 이루어져 상기 완충부재(10)와 수지필름부(20)의 테두리가 봉투형태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0)는 더블 에어버블(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에어버블(11)은 공기가 충진되어진 다수개의 볼록부(11a)가 대응되게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볼록부(11a) 사이에는 판 포장지(11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재.
KR2020000028310U 2000-10-11 2000-10-11 완충 포장재 KR200217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10U KR200217293Y1 (ko) 2000-10-11 2000-10-11 완충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10U KR200217293Y1 (ko) 2000-10-11 2000-10-11 완충 포장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738A Division KR100395030B1 (ko) 2000-10-11 2000-10-11 완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293Y1 true KR200217293Y1 (ko) 2001-03-15

Family

ID=7308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310U KR200217293Y1 (ko) 2000-10-11 2000-10-11 완충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2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030B1 (ko) * 2000-10-11 2003-08-21 주식회사 일진화학 완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030B1 (ko) * 2000-10-11 2003-08-21 주식회사 일진화학 완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14783A1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20070003170A1 (en) Cushion material for packaging product therein and suspension air-packing method using same
US3442372A (en) Shipping structure
JPWO2003099678A1 (ja) 立体状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53084B1 (ko) 이중 구조의 완충 포장백
KR200217293Y1 (ko) 완충 포장재
TW202003345A (zh) 強化邊角保護的空氣密封袋
KR102155655B1 (ko) 에어포켓을 이용한 포장상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포장상자의 포장방법
KR100395030B1 (ko) 완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20110010315U (ko) 에어백 포장
TW202009184A (zh) 充氣包裝酒袋
KR20110138817A (ko) 충격완화를 위한 물품 포장용기 및 포장방법
CN109335258B (zh) 一种强化边角保护的空气密封袋
KR20040029801A (ko) 공기포장팩 및 그 제조방법
JPH07125773A (ja) 簡易包装装置
KR200401579Y1 (ko) 포장팩
JP4042441B2 (ja) 緩衝包装用の緩衝材
JPH10264970A (ja) 梱包箱
KR100506850B1 (ko) 필름을 이용한 완충포장재 및 완충포장방법
JPH11189219A (ja) 衝撃吸収包装方法及び包装用袋
JP2007537100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の梱包方法及びかかる方法に用いる梱包
JP2800034B2 (ja) 輸送用パック
JP2535548Y2 (ja) 立置可能な緩衝包装材
JP4084613B2 (ja) 緩衝脱気袋
CN213678078U (zh) 一种充气保护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