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093Y1 - 액화석유가스 탱크용 안전밸브를 형성한 기체밸브 - Google Patents

액화석유가스 탱크용 안전밸브를 형성한 기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093Y1
KR200217093Y1 KR2020000027861U KR20000027861U KR200217093Y1 KR 200217093 Y1 KR200217093 Y1 KR 200217093Y1 KR 2020000027861 U KR2020000027861 U KR 2020000027861U KR 20000027861 U KR20000027861 U KR 20000027861U KR 200217093 Y1 KR200217093 Y1 KR 200217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as
tank
safety
safet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형
지봉현
Original Assignee
덕산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산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산금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7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093Y1/ko

Link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L.P.G 용기에 고압축된 가스에서 발생한 가스 등의 기체를 방출하기 위한 기체밸브에 있어서, 특히 과충전시 안전밸브의 개방으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LPG탱크용 안전밸브를 형성한 기체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용 LPG탱크에 가스를 충전 할 때에 탱크 내에 액체가스가 충지되고 또한 탱크 내에는 압축된 기체가 잔류되어 충전되는 액체의 충전을 방해하거나 그 주입량을 축소하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리고 충전량이 과충전을 제어할 수 없어 충전중 탱크의 폭발과 탱크의 파열 등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종래의 일체형의 밸브에서는 주입시 액체와 함께 이물질이 함께 주입되고 이 이물질들은 스프링과 밸브시트 및 유로에 끼어 유로를 차단하게 되는 폐단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통상의 기체밸브에 안전밸브를 일체로 구성시켜 과충전으로 탱크의 고압가스를 방출함으로 탱크의 보호와 안전을 기하고 안전밸브는 스프링으로 연동되는 밸브가 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구성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액화석유가스 탱크용 안전밸브를 형성한 기체밸브{A gas valve of forming safety valve for LPG tanks}
본 고안은 자동차의 L.P.G 용기에 고압축된 가스에서 발생한 가스 등의 기체를 방출하기 위한 기체밸브에 있어서, 특히 탱크 내에 과충전으로 발생되는 탱크의 폭발 등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체밸브에 안전밸브를 일체로 구성시켜 과충전시 안전밸브의 개방으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LPG탱크용 안전밸브를 형성한 기체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연료로 사용되는 LPG는 차량에 장착되는 용기에 고압축된 가스를 약 85 % 정도 충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충전을 할 때에 탱크 내에 액체가스가 충지되고 또한 탱크 내에는 압축된 기체가 잔류되어 충전되는 액체의 충전을 방해하거나 그 주입량을 축소하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리고 충전량이 과충전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충전중 탱크의 폭발과 탱크의 파열 등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에 따라 종전에는 과충전 방지밸브를 구성시켜 가스를 주입할 때의 과충전을 제어함으로 위험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과충전방지밸브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8년 제 26138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 설정값까지 충진되게 되면 주입포트를 통하여 유입된 가스는 캠과 오목부가 접속하게 되면 배압변이 스프링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고 유동변사이 공간에 인가되는 압력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유동변을 리테인하는 스프링의 탄성계수보다 커지게 되므로 유동변을 하방으로 밀어주게 되어 배출공을 막게 되어 가스가 더 이상의 과충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단순히 충전을 방지하는 것에 한정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밸브에 주입과 함께 기체를 방출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밸브 유로로 액체가 주입됨과 함께 과충전된 압력의 기체 및 액체가스가 배출하게 개량되고 있다.
이러한 일체형의 밸브에서는 특히 주입시 액체와 함께 이물질이 함께 주입되고 이 이물질들은 스프링과 밸브시트 및 유로에 끼어 유로를 차단하게 되는 폐단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과충전된 액체 및 기체를 배출할 수 없게 됨으로 가스탱크의 파열과 또는 폭발의 위험성이 내재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통상의 기체밸브에 안전밸브를 일체로 구성시켜 과충전으로 탱크의 고압가스를 방출함으로 탱크의 보호와 안전을 기하고 안전밸브는 스프링으로 연동되는 밸브가 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구성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과충전방지용 안전밸브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과충전방지용 안전밸브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탱크 20: 기체밸브 21: 몸체
22: 유로 23: 밸브시트 30: 안전밸브
31: 레벨조절너트 32: 스프링 33: 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과충전방지용 안전밸브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과충전방지용 안전밸브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자동차 LPG탱크(10)에 구성되는 기체밸브(20)에 있어서,
상기 기체밸브(20)의 몸체(21) 일측에 안전밸브(30)를 구성하되, 나사산으로 승하강하는 레벨조절너트(31)와 스프링(32)으로 몸체(21)에 형성된 유로(22) 상단의 밸브시트(23) 상의 밸브(33)의 가압력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34는 방사공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의해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과충전방지용 안전밸브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과충전방지용 안전밸브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자동차 LPG탱크(10)에 구성되는 기체밸브(20) 몸체(22)에 안전밸브(30)를 일체로 구성한다.
상기 안전밸브(30)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으로 승하강하는 레벨조절너트(31)와 스프링(32)으로 몸체(21)에 형성된 유로(22) 상단의 밸브시트 (23) 상의 밸브(33)를 탄력구성하여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밸브(33)를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지의 탱크(10)에 공지의 방법과 같이 LPG가스를 주입하게 된다.
이때에 과도한 주입 또는 차량의 충격과 기온의 상승에 따라 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되어 탱크가 위험한 수위 즉, 상기 안전밸브(30)에서 레벨조절너트(31)의 조임과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한 설정값 이상압이 형성되면 탱크 내의 압력이 기체밸브(20)를 통해 안전밸브(30)의 유로(22)에서 유로(22)를 막고 있는 밸브 (33)를 가압력으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가압력은 스프링(32)의 탄성보다 크게 됨으로 스프링이 신축되어 밸브(33)가 상향이동되고 이동되는 밸브(33)는 밸브시트(23)와 이격되여 유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개방으로 탱크(10) 내의 압력은 방출되고 일정한 압력으로 저하되면 스프링(32)의 탄발력이 다시 상승된 밸브(33)를 밀어 밸브시트(23)와 밀착하여 유로(22)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체밸브에 스프링의 탄성과 레벨조절너트의 탄성조절에 따른 압력조절을 이룰 수 있는 안전밸브를 구성시켜 탱크 내의 과도한 압력이 발생될 때에 스프링의 신축으로 밸브를 개방 압력을 저하하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스프링 탄성의 레벨조절너트에 의한 탄성을 조절하여 설정 압력에서 안전밸브가 개폐되어 탱크 내의 과도한 압력이 발생될 때에 스프링의 신축으로 설정압력에서 밸브를 개방함으로 압력상승에 의한 탱크의 파열 및 폭발을 방지하게 된 안전성을 향상시킨 고안이며 특히 자동차의 LPG탱크의 기체밸브에 간단히 구성시켜 그 사용효과를 크게 증대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 LPG탱크(10)에 구성되는 기체밸브(20)에 있어서,
    상기 기체밸브(20)의 몸체(21) 일측에 안전밸브(30)를 구성하되, 나사산으로 승하강하는 레벨조절너트(31)와 스프링(32)으로 몸체(21)에 형성된 유로(22) 상단의 밸브시트(23) 상의 밸브(33)의 가압력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탱크 (10) 내의 설정값 이상압력에서 개방되어 압력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LPG탱크용 안전밸브를 형성한 기체밸브.
KR2020000027861U 2000-10-06 2000-10-06 액화석유가스 탱크용 안전밸브를 형성한 기체밸브 KR200217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861U KR200217093Y1 (ko) 2000-10-06 2000-10-06 액화석유가스 탱크용 안전밸브를 형성한 기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861U KR200217093Y1 (ko) 2000-10-06 2000-10-06 액화석유가스 탱크용 안전밸브를 형성한 기체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093Y1 true KR200217093Y1 (ko) 2001-03-15

Family

ID=7308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861U KR200217093Y1 (ko) 2000-10-06 2000-10-06 액화석유가스 탱크용 안전밸브를 형성한 기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0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1215A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407015B1 (ko) 유체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CA3023442C (en)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fluid
CA2543157C (en) Electromagnetic valve
US5067520A (en) Tap for compressed or liquefied gas
US5647334A (en) Fuel vapor recovery system control valve
KR102229525B1 (ko) 감압 기능을 구비한 유체 제어용 밸브
KR20040070560A (ko) 가스연료용기의 과압안전장치
KR200217093Y1 (ko) 액화석유가스 탱크용 안전밸브를 형성한 기체밸브
CA1150135A (en) High flow accumulator device having poppet valve control means
ITPD20090150A1 (it)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valvole e/o recipienti in pressione
KR100489131B1 (ko) 연료탱크의 연료주입장치
KR200204292Y1 (ko) 멀티 기상공급밸브
GB2353564A (en) Control valve for a fuel injection valve
JPH06508422A (ja) 天然ガス駆動型乗物用の耐衝突性電磁弁
KR200338440Y1 (ko) 가스충진기용 충진구의 가스 차단 장치
EP3645330B1 (en) A ventilation flow rate regulator for a pressurized vehicle tank
KR200203359Y1 (ko) 차량용 기상밸브
KR101071771B1 (ko) 압축천연가스 차량의 가스용기밸브
KR200202862Y1 (ko) 엘피가스 차량용 과충전 방지밸브
KR20160022493A (ko) 차량 연료장치의 롤오버밸브
KR100371217B1 (ko) 자동차엘.피.지의연료과도누출방지구조
KR19980054604U (ko) 연료 주입구 셧 오프 밸브
KR100232770B1 (ko) 압축천연가스 자동차의 가스시스템
KR20170126154A (ko) 연료주유중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