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877Y1 - 절첩식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877Y1
KR200216877Y1 KR2020000027800U KR20000027800U KR200216877Y1 KR 200216877 Y1 KR200216877 Y1 KR 200216877Y1 KR 2020000027800 U KR2020000027800 U KR 2020000027800U KR 20000027800 U KR20000027800 U KR 20000027800U KR 200216877 Y1 KR200216877 Y1 KR 200216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box
present
folding
guid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석
Original Assignee
박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석 filed Critical 박동석
Priority to KR2020000027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877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페인트통과 같은 용기를 포장, 운반 및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종이제로 상자를 형성하여 절첩되도록 구성하므로서 페인트통과 같은 용기를 포장, 운반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납작한 판상형태로 접어저 부피가 최소한으로 줄어 들면서 무게가 가벼워저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관리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는 지재로 형성하며 전,후면부의 양쪽에 가이드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편에 저면부의 절첩선과 일직선상으로 절첩선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편은 하측이 경사부를 이루도록 절취하고 상기 양측면부는 전,후면부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변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측 양 모서리까지 역'V'자형을 이루는 절첩선을 각각 형성하여 전,후면부를 접을 때 양측면부와 가이드편이 절첩선과 절첩선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접어지면서 저면부 위로 절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는 지재로 형성하여 사용시에는 상부가 개방된 정사각형 상자로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접어면 부피가 최소한으로 줄어 들면서 무게가 가벼워져 같은 단위면적에 한꺼번에 다량의 빈상자를 보관 및 운반 하기에 편리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관리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상자{Folder type box}
본 고안은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페인트통과 같은 용기를 포장, 운반 및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상자를 지재(紙材)로 형성하여 이를 절첩되도록 형성하므로서 사용시에는 펼쳐 전사각형의 상자를 형성하여 물건의 포장 및 운반을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절첩하여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임과 동시에 무게를 적게하므로서 단위면적에 한꺼번에 다량의 빈상자를 보관 및 운반 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륵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상자들로서는, 주로 나무상자나 합성수지 및 철재로된 상자들을 사용하므로서 부피가 축소되지 않고 그대로 이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서 이를 보관 및 운반하는데 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한 비용이 많이 들게 되었으며 또한 물건들을 포장 및 운반하는데 용이하지 못하였고 취급 및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96-856호의 '절첩식 상자'는 저면부와 이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기립되는 양가이드편에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절첩선을 형성하여 양가이드편이 저면부에 접혀진 상태하에서 양측면부를 절첩선을 기준하여 내측으로 접어줄 때 저면부 및 저면부위로 절첩된 가이드편들이 절첩선을 기준하여 외측 햐향으로 절첩되게한 구성이므로 상자의 부피가 축소되고 무게를 적게하여 보관이나 운반을 하는데는 편리한 이점이 있기는 하나 제작과정이 번거롭고 저면부와 양측면부 및 양가이드편의 중심부에 절첩선을 형성한 구성이므로 상자를 보관하거나 운반하고자 절첩시에는 저면부와 양측면부 및 양가이드편이 반(半)으로 접어지면서 절첩되기 때문에 특히 절첩을 반복할 경우 상자의 강도가 약해저서 물건들을 포장하고 상자를 풀면 저면부가 밑으로 처지게 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절첩과정이 번거로워 취급 조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절첩식 상자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페인트통과 같은 용기들의 포장과 운반 및 보관을 편리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인 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자를 지재로 형성하여 이를 절첩되게 형성하고 용기를 포장, 운반하고자 할 시에는 정사각형으로 상자가 형성되게 펼쳐서 사용하며 빈자를 운반 및 보관하고자 할 시에는 상자를 절첩하면 납작한 판상형태(板狀形態)를 이루면서 부피가 축소되고 무게가 가벼워저 같은 단위면적에 한꺼번에 다량의 빈상자를 보관하거나 운반을 용이하도록 하고 아울러 상자 자체의 강도를 높혀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에 대한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에 대한 전개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를 펼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를 접은 보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를 절첩하는 상태를 나타낸 과정도
도 6은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저면부 20 : 전면부 30 : 후면부 40, 50 : 양측면부
40a, 50a : 절첩선 60, 70 : 가이드편 60a, 70a : 경사부
도 1은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에 대한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에 대한 전개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를 펼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를 접은 보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를 절첩하는 상태를 나타낸 과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에 대한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에 대한 전개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절첩식 상자(B)는 지제로 형성되어 저면부(10)와 상기 저면부(10)에 일체로 형성된 전,후면부(20)(30) 및 양측면부(40)(50)와 상기 전,후면부(20)(30)의 양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부(40)(50)의 내측으로 감싸지는 가이드편(60)(70)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후면부(20)(30)의 양 끝부분에 하측을 경사부(60a)(70a)를 이루도록 절취한 가이드편(60)(70)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편(60)(70)은 전,후면부(20)(30)의 약 2/1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손잡이구멍(60a)(70b)이 형성되어 손잡이구멍(80)과 일치된다.
상기 양측면부(40)(50)는 전,후면부(20)(3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서 약간 상측으로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손잡이구멍(80)을 형성하고 상변 중앙부에서 저면부(10)의 양쪽 모서리까지 경사를 이루는 절첩선(40a)과 절첩선(50a)을 역'V'자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저면부(10)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전,후면부(20)(30)는 저면부(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절첩선(90)(100)을 따라 절첩되어 세워지며 양측면부(40)(50)는 저면부(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절첩선(110)을 따라 절첩되어 세워지고 가이드편(60)(70)은 전,후면부(20)(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절첩선(120)(130)를 따라 절첩되어 세워지게 된다.
상기 전,후면부(20)(30)를 절첩선(90)(100)에 따라 절첩하여 세운 다음 가이드편(60)(70)을 절첩선(120)(130)에 따라 내측 방향으로 절첩하여 세우고 양측면부(40)(50)를 절첩선(110)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절첩하면 가이드편(120)(130)을 감싸면서 세워진다.
상기 양측면부(40)(50)의 절첩선(40a)(50a)에 따라 형성되는 상측 양쪽 삼각형의 면에만 가이드편(60)(70)의 외측면을 접합하면 가이드편(60(70)에 미접합부(70b)가 생기면서 가이드편(60)(70)이 양측면부(40)(50)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부가 개방된 절첩식 상자(B)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첩식 상자(B)를 사용하여 물건을 담은 페인트통과 같은 용기(140)를 포장, 운반하고자 할 시에는 도 4에 도시한 상태에서 전,후면부(20)(30)를 약간 벌리면서 도 5a, 도 5b에 도시한 상태와 같이 순차적으로 전,후면부(20)(30)를 외측 방향으로 펼치면 저면부(10)를 중심으로 전,후면부(20)(30)와 양측면부(40)(50) 및 가이드편(60)(70)들이 세워지면서 양측면부(40)(50)의 손잡이구멍(80)과 가이드편(60)(70)의 손잡이구멍(60b)(70b)이 일치되는 도 5c와 같은 상태의 상부가 개방된 정사각형의 절첩식 상자(B)를 이루게 되므로 저면부(10)에 물건을 담은 페인트통과 같은 용기(140)를 얹어 놓으면 전,후면부(20)(30)와 양측면부(40)(50) 및 가이드편(60)(70)들이 용기(140)를 감싸면서 포장이 되므로 양쪽의 손잡이구멍(80)(60b)(70b)으로 손가락을 넣어 편리하게 운반을 할 수 있다.
다음, 절첩식 상자(B)를 사용하여 물건을 담은 페인트통과 같은 용기(140)를 포장, 보관하고자 할 시에는 상기 물건을 담은 페인트통과 같은 용기(140)를 포장, 운반하는 과정에서와 같이 절첩식 상자(B) 내에 물건을 담은 페인통과 같은 용기(140)를 담고 개방된 상부를 종이나 천 같은 피물체로 덮어서 보관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B)를 사용한 후 보관 및 운반을 하기 위해서는 도 4 및 도 5d에서와 같이 절첩하여 보관 및 운반을 하게 되는데 그 접는 과정은 도 3 및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정사각형의 절첩식 상자(B)를 형성한 상태에서 양측면부(40)(50)의 상측 중심부분을 내측 방향으로 누르면 양측면부(40)(50)는 절첩선(40a)(50a)를 따라 삼각형으로 저면부(10)의 위로 접어짐과 동시에 가이드편(60)(70)은 절첩선(120)(130)을 따라 양측면부(40)(50)의 위로 겹쳐 접어지면서 납작한 판상형태(板狀形態)로 접어지므로 편리하게 보관 및 운반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물건을 담은 페인트과 같은 용기(140)를 포장. 운반하는 상자(B)로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상자(B)의 전,후면부(20)(30)를 외측 방향으로 펼치면 상기의 접는 과정에서의 역순으로 전,후면부(20)(30)와 양측면부(40)(50) 및 가이드편(60)(70)이 펼쳐지면서 상부가 개방된 정사각형의 절첩식 상자(B)가 형성되므로 물건을 담은 페인트통과 같은 용기(140)를 포장, 운반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B)는 지재(紙材)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지재로 형성되는 골판지를 이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는 지재로 형성하여 사용 시에는 상부가 개방된 정사각형 상자로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접어서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임과 동시에 무게를 가볍게 하여 같은 단위면적에 한꺼번에 다량의 빈상자를 보관 및 운반 하기에 매우 편리하고 이에 따른 제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저면부가 절첩되지 않으므로 상자 자체의 강도를 높혀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은 물론 관리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저면부(10)에 전,후면부(20)(30)와 양측면부(40)(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절첩선(90)(100)(110)에 따라 접어지면서 세워저 상부가 개방된 정사각형의 상자를 형성하는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부(20)(30)의 양쪽에 가이드편(60)(70)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편(60)(70)에 절취선(110)과 일직선상으로 절첩선(120)(130)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편(60)(70)은 하측이 경사부(60a)(70a)를 이루도록 절취하며 양측면부(40)(50)는 전,후면부(20)(3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변의 중심을 기준으로 저면부(10)의 양쪽 모서리까지 경사를 이루는 역'V'자형의 절첩선(40a)(50a)을 각각 형성하여 전,후면부(20)(30)를 접을 때 양측면부(40)(50)와 가이드편(60)(70)이 절첩선(40a)(50a)과 절첩선(120)(130)을 따라 각각 내측 방향으로 접어지면서 저면부(10) 위로 절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KR2020000027800U 2000-10-05 2000-10-05 절첩식 상자 KR200216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800U KR200216877Y1 (ko) 2000-10-05 2000-10-05 절첩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800U KR200216877Y1 (ko) 2000-10-05 2000-10-05 절첩식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877Y1 true KR200216877Y1 (ko) 2001-03-15

Family

ID=7305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800U KR200216877Y1 (ko) 2000-10-05 2000-10-05 절첩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8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089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부일건화 건축용 도막재의 포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089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부일건화 건축용 도막재의 포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3461B2 (en) Collapsible bulk bin container
US20110168598A1 (en) Collapsible crate
MXPA01011390A (es) Caja de carton completamente encerrada, con paneles de esquina de tipo diamante.
MX2007001569A (es) Caja de carton de dos piezas.
US20050006446A1 (en) Collapsible reusable box
US5918798A (en) Re-usable compact self-containable collapsible container
US5921465A (en) Instant set-up bulk box
EP1841658A1 (en) Collapsible crate
EP2219957A1 (en) Collapsible crate
JPS62251340A (ja) 把手付き液体パツク容器
US3009625A (en) Collapsible container
KR200216877Y1 (ko) 절첩식 상자
JP3115322U (ja) 通い箱
US2307659A (en) Bottle carrier
USRE23501E (en) Bottle carrier
US5031760A (en) Carrier for articles of different sizes
KR970004141Y1 (ko) 절첩식 운반용기
KR960000856Y1 (ko) 절첩식 상자
JPH09175541A (ja) 折り畳みプラスチック容器
MXPA03001284A (es) Caja de carton y lienzo.
KR200298028Y1 (ko) 포장 박스 내부에 들어가는 골판지를 이용한 적층 포장체
CN216186776U (zh) 一种可折叠彩盒
KR970004142Y1 (ko) 뚜껑달린 절첩식 운반용기
JP3028226U (ja) 紙 器
KR200273128Y1 (ko) 원터치 4면 접착식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