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42Y1 - 뚜껑달린 절첩식 운반용기 - Google Patents

뚜껑달린 절첩식 운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42Y1
KR970004142Y1 KR2019940004138U KR19940004138U KR970004142Y1 KR 970004142 Y1 KR970004142 Y1 KR 970004142Y1 KR 2019940004138 U KR2019940004138 U KR 2019940004138U KR 19940004138 U KR19940004138 U KR 19940004138U KR 970004142 Y1 KR970004142 Y1 KR 970004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ieces
folded
fold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4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366U (ko
Inventor
이재기
Original Assignee
이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기 filed Critical 이재기
Priority to KR2019940004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142Y1/ko
Publication of KR950027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3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65D5/36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 B65D5/36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collapsed along median lines of two opposite sides of the rectangular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8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79Joints, seams, leakproof joints or corners, speci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5D5/4283Connections formed by separate elements, e.g. clips, bands,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뚜껑달린 절첩식 운반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절첩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절첩상태 단면도
제6도의 (a)(b)(c)도는 본 고안의 절첩식 운반용기를 펼쳐주는 과정을 나타낸 전개순서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절첩식 운반용기의 조립과정 예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절첩식 운반용기의 전개도
제9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전개도
제11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측벽 2 : 후측벽
3 : 좌측벽 4 : 우측벽
3a, 3b : 좌측연장편 3c : 좌측기립편
4a, 4b : 우측연장편 4c : 우측기립편
8 : 밑바닥부 8a, 8b, 8c : 절첩선
10a, l0b 및 11a, 11b : 절첩선 14 : 전측뚜껑부
15 : 후측뚜껑부 16a, 16b : 지지뚜껑부
17a, 17b : 끼움편 18 : 끼움공
본 고안은 병류, 캔류 등의 각종상품류를 포장운반 및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뚜껑달린 절첩식 운반용기에 관한 것으로, 운반용기의 저부와 양측벽이 절첩되게 하는 구성으로 운반용기를 납짝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운반용기의 비사용시 부피를 극소화시켜 보관취급이 매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 사용시에는 절첩된 운반용기를 넓게 펼쳐 포장하고자 하는 각종 상품을 포장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운반용기의 상부를 뚜껑으로 덮어주도록 구성하여 운반용기를 적층시켰을 경우 그 안에 포장된 상품이 상층에 적층된 운반용기에 짓눌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운반용기로서의 기능을 십분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고안의 목적을 두고 안출한 것인데, 특히 본 고안은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4-3029호를 개량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나 주류용기로서 병이나 캔 및 합성수지제 용기류 상품을 운반하는 상자 또는 페이트통과 같이 부기가 비교적 큰 상품을 운반하는 상자로는 주로 나무상자 또는 합성수지상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나무상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수의 나무판재를 일정너비로 절단한 다음 못과 망치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이 불가증하며, 또 나무상자는 사용도중 파손율이 많고, 화목(火木)으로 소비되는 경향이 있어 회수율이 극히 저조한 문제점이 있으며, 합성수지상자의 경우는 나무상자에 비하여 덜 파손되지만 제작비가 비싼 점에 비추어 사용후 전량 회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상기한 나무상자 및 합성수지제 상자들은 무겁고 전후좌우 및 저부의 벽두께가 두텁게 형성되어 있어 상자와 상자 사이가 큰 공간을 차지하고 있게 되어 그 공간만큼을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게 된다. 예컨대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나무 및 합성수지제 상자를 이용하여 상품을 적재, 운반할 경우 적재함에서 상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 실제로 운반하고자 하는 상품의 운반량이 적어지는 결점이 있었으며, 특히 상기한 상자들은 부피를 줄일수 없기 때문에 비사용시 많은 상자들을 쌓아 놓아야 할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며, 나아가 보관관리에 많은 인력과 경비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 큰 결점으로 지적되어 왔었다.
그리고 골판지등으로 제작된 종이상자가 있기는 하나, 이는 종이상자를 육면체상으로 조립하여 사용하다가 비사용시는 해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나무 및 합성수지제 상자와 같은 용도로서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나무상자 및 합성수지제 상자의 결점과 육면체상으로 조립, 분해되는 종이상자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골판지와 같은 종이판재를 이용하여 육면체상의 운반용기를 만들되, 좌우측벽은 여러장의 종이판재가 겹치도록 구성하여 운반용기를 들고 운반할때 피포장물의 중량을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함에 있어 비사용시 절첩보관이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접을 수 있는 절첩선을 형성하고, 또한 저부에도 하측으로 접을 수 있는 절첩선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피포장물을 포장 내니 운반할 경우에는 운반용기 자체를 육면체상으로 펼쳐 사용하다가 비사용시에는 좌우측벽은 내측으로 접혀 들어가게 하고 저부는 밑으로 접혀 내려가도록 하는 절첩수단으로 운반용기자체를 납짝하게 접어 부피를 극소화시킨 다음 보관하도록 하므로서 협소한 장소에 많은 량의 운반용기를 보관할 수 있고, 또한 좁은 장소에 많은 량을 보관하므로서 보관관리가 매우 용이한 이점을 제공하며, 특히 본 고안은 종이판재로 구성된 운반용기에 뚜껑을 달아 피포장물을 손상시킴 없이 포장 및 운반할 수 있도록 개량 고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단일벽으로 형성되는 전, 후측벽(1)(2)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좌측 연장편(3a)(3b)과 우측연장편(4a)(4b)은 절첩선(5a)(5b), (6a)(6b)을 기점으로 하여 각각 좌우측으로 접어 2중으로 겹치게 한후 어느 일측을 지철선(7)으로 부착시키고, 밑바닥부(8)의 좌우측으로 연장된 좌, 우측기립편(3c), (4c)은 절첩선(5)(6c)을 기준하여 상향으로 접어 내측에 위치한 좌, 우측연장편(3a)(4a)의 내면에 밀착되게 기립시키므로서 좌, 우측벽(3), (4)은 좌측연장편(3a)(3b)과 좌측기립편(3c), 우측연장편(4a)(4b)과 우측기립편(4c)에 의하여 3중겹으로 구성되게 하며, 전기의 좌, 우측연장편과 좌, 우측 기립편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구멍(9a)(9b)들은 3중으로 겹칠때 일치하도록 한다.
또한 밑바닥부(8)의 중간에 형성된 절첩선(8a)과, 좌, 우측벽(3), (4)를 구성하는 좌, 우측기립편(3c), (4c)의 중간에 형성된 절첩선 (8b), (8c)은 일직선상으로 형성하여 좌, 우측기립편을 밑바닥부로 접어 밀착시킨 상태하에서는 좌, 우측기립편과 밑바닥부가 하향을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전, 후측벽(1), (2)에는 절첩선(12)(13)을 기준하여 접을 수 있도록 전, 후측뚜껑(14), (15)을 연장시켰으며, 전측뚜껑(14)에 천공된 끼움공(14a)에는 후측뚜껑(15)에 절첩선(13a)이 형성된 끼움편(15a)을 끼워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실시예의 운반용기를 펼쳐주는 상태와 절첩하는데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운반용기는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 우측벽(3)(4)를 구성하는 좌, 우측기립편(3c)(4c)은 밑바닥부(8)의 내면에 밀착되게 접힌 상태하에서 절첩선(8a)(8b)(8c) 에 의하여 하향으로 절반이 접힌 상태이며, 또한 지철선(7)에 의해 결착되어 있는 좌, 우측연장편(3a)(3b)(4a)(4b)은 그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절첩선(10a)(10b), (11a)(11b)에 의하여 내측으로 접힌 상태인 바, 이와 같은 절첩과정은 밑바닥부(8)와 이의 내면에 밀착시킨 좌, 우측기립편은 중첩상으로 일치되어 있는 각 절첩선(8a)(8b)(8c)부분을 밑으로 약간 굴곡지게 하고, 좌, 우측벽을 구성하는 좌, 우측연장편(3a)(3b), (4a)(4b)은 그 중간에 형성된 절첩선(10a)(10b), (11a)(11b) 부분은 내측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전, 후측뚜껑(14), (15)이 외측으로 절첩된 전, 후측벽(1), (2)을 맞붙도록 압착시키면 육면체상으로 되어 비교적 큰 부피를 갖고 있던 운반용기는 납짝하게 절첩시켜 부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좁은 장소에 많은 량의 운반용기를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보관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절첩하여 보관하던 운반용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6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측벽(1)(2)을 외측으로 벌려주게 되면 내측으로 접혔던 좌, 우측연장편(3a)(3b), (4a)(4b)과 밑으로 접혀있던 밑바닥부(8)와 좌, 우측기립편(3c)(4c)들이 펼쳐지게 되며, 제6도의 (b)도와 같이 좌, 우측연장편과 밑바닥 및 좌, 우측기립편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밑바닥부에 밀착되어 있는 좌, 우측기립편을 기립(화살표 방향 참조)시키게 되면 운반용기는 제6도의 (c)도와 같이 육면체상으로 되어 피포장물을 수납 및 포장할 수 있는 것이며, 피포장물을 포장하여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 후측뚜껑(14), (15)를 화살표방향으로 덮어준 다음 후측뚜껑에 형성된 끼움편(15a)을 절첩선(13a)을 따라 접어 전측뚜껑(14)에 천공된 끼움공(14a)으로 끼워주게 되면 운반용기는 육면 모두가 폐쇄된 상태가 되므로서 피포장물의 포장상태를 확고히 할 수 있으며 이때 좌, 우측벽(3), (4)은 좌, 우측연장편(3a)(3b), (4a)(4b) 및 좌, 우측기립편(3c)(4c)에 의하여 3중겹으로 구성되므로서 3개가 일치된 양측의 손잡이구멍(9a), (9b)을 잡고 운반용기를 들더라도 수납된 피포장물의 중량에 의해 좌, 우측벽이 찢어지는 등의 사례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또한 운반용기의 전, 후측뚜껑(14), (15)는 상층으로 적층되는 운반용기를 받쳐주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운반용기를 다수층으로 적층이 가능해짐은 물론 운반용기안에 들어있는 피포장물이 적층된 운반용기에 의해 눌리거나 긁히는 현상에 없으므로 피포장물의 포장 및 보관을 보다 완벽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효과는 운반용기에 포장되는 피포장물이 병이나 캔 또는 페인트통과 같은 경우는 물론이고 피포장물 자체가 막걸리(濁酒)를 담는 합성수지제 병류이거나 종이상자일 경우에도 피포장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적층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9도 내지 제12도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운반용기의 상부 전체를 덮어주는 것과는 달리 운반용기의 상부 네모서리부분에 적층되는 운반용기를 받쳐주는 지지뚜껑부를 형성시킨 실시예로서, 제9도와 제10도의 실시예는 전, 후측벽(1)(2)의 양측에 지지뚜껑부(16a)와 끼움편(17b)을 연장시키고 좌, 우측벽을 구성하고 있는 좌, 우측연장편(3b), (4b)의 양측에는 끼움공(18)을 형성시킨 실시예인 바, 이 실시예는 제9도와 같이 운반용기를 육면체상으로 펼친 상태하에서 전, 후측벽(1)(2)에서 연장된 끼움편(17a)을 좌, 우측연장편(3b), (4b)에 형성된 끼움공(18a)에 끼워주게되면 지지뚜껑부(16a)는 운반용기의 상부 네모서리부에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가 되므로서 상측에서 적층되는 운반용기의 저부 네모서리부분을 받쳐줄 수 있어 운반용기를 다수충으로 적층시킬 경우 적층된 상층부의 운반용기가 피포장물을 눌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11도와 제12도의 실시예는 전, 후측벽(1)(2)에 짧게 연장된 지지뚜껑부(16b)의 양단에 끼움편(17b)을 형성하고, 이 끼움편을 좌, 우측벽 외측부 양측에 형성된 끼움공(18)에 끼워주도록 하여 운반용기의 상부 양측 내지 네모서리부분에 지지뚜껑부(16b)가 수평상태로 펼쳐지도록 하여 상층으로 적층되는 운반용기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 역시 운반용기를 다수층으로 적층시킬 경우 수납된 피포장물이 눌리거나 긁히는 사례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골판지와 같은 종이판재로서 운반용기를 제작함에 있어 전, 후측벽은 한장의 종이판재로 구성하고 손잡이가 있는 좌, 우측벽은 3중겹으로 구성되게 하여 피포장물을 수납시킨 상태에서도 운반용기를 파손시킴없이 들수 있도록 하였으며, 좌, 우측벽은 내측으로 밑바닥부는 하향으로 절반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운반용기 자체를 육면체상에서 납짝하게 절첩시켜 부피를 대폭 줄여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전, 후측벽에는 운반용기의 상부 전체를 덮어줄 수 있는 전, 후측뚜껑 내지 운반용기의 상부 네모서리부분을 덮어주는 지지뚜껑부를 형성하여 피포장물을 포장하였을 경우 전, 후측뚜껑은 피포장물이 적층된 운반용기 또는 다른 적층물에 의하여 눌리거나 긁히는 등의 사례가 발생되지 않게 하는 작용과, 지지판재로서의 작용으로 운반용기를 다수층으로의 적층을 가능하게 함과 동이 운반용기를 안정되게 적층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 매우 실용성이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종이판재로서 육면체상의 운반용기를 제작하는 것에 있어서, 밑바닥부(8)와 전, 후측벽(1)(2)은 한장상태로 구성하며, 좌, 우측벽(3)(4)은 3중겹으로 구성하고, 상기 밑바닥부(8)와 좌, 우측기립편(3c), (4c)에는 일직선상으로 이어지는 절첩선(8a)(8b)(8c)을 형성하고, 좌, 우측연장편(3a)(3b), (4a)(4b)에도 절첩선(10a)(10b), (11a)(11b)을 형성시키며, 상기 전, 후측벽에는 끼움공(14a)과 끼움편(15a)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운반용기를 접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좌, 우측기립편(3c), (4c)을 밑바닥(8)으로 눕혀 놓은 상태에서 절첩선(8a)(8b)(8c)을 따라 하향으로 절반을 절첩시킴과 동시 상기 좌, 우측연장편(3a)(3b), (4a)(4b)들은 절첩선(10a)(10b), (11a)(11b)을 따라 내향으로 절반을 절첩시키므로서 운반용기를 납짝하게 접어 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달린 절첩식 운반용기.
KR2019940004138U 1994-03-04 1994-03-04 뚜껑달린 절첩식 운반용기 KR970004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138U KR970004142Y1 (ko) 1994-03-04 1994-03-04 뚜껑달린 절첩식 운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138U KR970004142Y1 (ko) 1994-03-04 1994-03-04 뚜껑달린 절첩식 운반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66U KR950027366U (ko) 1995-10-18
KR970004142Y1 true KR970004142Y1 (ko) 1997-05-03

Family

ID=1937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4138U KR970004142Y1 (ko) 1994-03-04 1994-03-04 뚜껑달린 절첩식 운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1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66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3494A (en) Stackable package
US4454946A (en) Collapsible partitioned corrugated cardboard container
EP1015334B1 (en) Stackable container
US5520325A (en) Channel H divider pack
US6464131B1 (en) Packing box design
US6808107B2 (en) Economical, stackable container for retail goods
US20080230420A1 (en) Secondary Package
US5562246A (en) Reinforced shipping container for persishable products
US3009625A (en) Collapsible container
US20030052038A1 (en) Corrugated container with integral pallet
KR970004142Y1 (ko) 뚜껑달린 절첩식 운반용기
CN110088012A (zh) 篮筐式装载件、装运纸箱和包装系统
CN205906378U (zh) 一种多片组合式可平叠的重型瓦楞纸箱
KR970004141Y1 (ko) 절첩식 운반용기
KR200298028Y1 (ko) 포장 박스 내부에 들어가는 골판지를 이용한 적층 포장체
JPH018515Y2 (ko)
EP1050475A1 (en) Crate for containing commercial products
KR102426598B1 (ko) 녹다운형 카톤박스
AU769925B2 (en) Improved container
CN211494833U (zh) 一种便于运输和堆码的折叠式包装盒
KR200159285Y1 (ko) 물품포장용 상자
KR200216877Y1 (ko) 절첩식 상자
RU107777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акетированного или упакованного в коробки груза (варианты)
JPH0320284Y2 (ko)
JPH04332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