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561Y1 -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561Y1
KR200216561Y1 KR2019980027240U KR19980027240U KR200216561Y1 KR 200216561 Y1 KR200216561 Y1 KR 200216561Y1 KR 2019980027240 U KR2019980027240 U KR 2019980027240U KR 19980027240 U KR19980027240 U KR 19980027240U KR 200216561 Y1 KR200216561 Y1 KR 200216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lower clamps
diameter
exp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971U (ko
Inventor
손배영
Original Assignee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국
Priority to KR2019980027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56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9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561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단부의 직경을 확대하는 확관작업시에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배관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배관의 확관을 균일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배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의 단부의 직경을 확대하는 확관작업시에 사용되는 배관지지장치에 있어서, 배관을 고정하는 상하부 클램프(12a, 12b)와, 상하부 클램프(12a, 12b)를 지지하는 제 1, 제 2 지지대(30a, 30b) 및, 상하부 클램프(12a, 12b)와 제 1, 제 2 지지대(30a, 30b)를 고정하는 고정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클램프(12a, 12b)에는 다양한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다양한 직경의 홈이 상하부 클램프(12a, 12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지지대(30a, 30b)의 상단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클램프(12a, 12b)가 안착되며,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상하부 클램프(12a, 12b)와 상기 제 2 지지대(30b)의 상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상하부 클램프(12a, 12b)와 제 2 지지대(30b)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
본 고안은 동관(銅管)의 직경을 확대하는 확관작업시에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동관의 직경을 균일하게 확대할 수 있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관의 단부의 직경을 확대할 경우에 작업자는 동관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확관공구를 잡고 동관을 확대시키거나, 2인 작업시에는 1인이 동관을 잡고, 다른 1인은 공구를 잡고 확관한다.
그러나, 이 때, 동관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힘은 동관의 원주에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확대되는 동관의 직경 또한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배관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배관의 확관을 균일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배관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의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동관 12a, 12b : 클램프
20 : 고정부 30a, 30b : 지지대
40 : 발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의 단부의 직경을 확대하는 확관작업시에 사용되는 배관지지장치에 있어서, 배관을 고정하는 상하부 클램프와, 상하부 클램프를 지지하는 제 1, 제 2 지지대 및, 상하부 클램프와 지지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클램프에는 다양한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다양한 직경의 홈이 상하부 클램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클램프가 안착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하부 클램프와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상하부 클램프와 제 2 지지대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클램프의 좌우단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나사부와 결합함으로써, 상하부 클램프가 배관을 고정하며, 상기 제 1, 제 2 지지대의 하단에는 연결판이 형성되어 제 1, 제 2 지지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의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관(1)을 고정하는 상하부 클램프(12a, 12b)와, 상하부 클램프(12a, 12b)를 체결하는 나사부(14)와, 상부 클램프(12a)를 지지하는 지지대(30a, 30b) 및, 상부 클램프(12a)와 지지대(30b)를 고정하는 고정부(20)를 포함한다.
상부 클램프(12a)는 동관(1)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동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홈의 직경은 다르며, 이런 홈은 상부 클램프(12a)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클램프(12b)는 상부 클램프(12a)와 동일한 형태이며, 상부 클램프(12a)와 대칭을 이루고 동관(1)의 하부를 수용한다. 그리고 하부 클램프(12b)의 길이는 상부 클램프(12a)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상하부 클램프(12a, 12b)를 겹치면 상부 클램프(12a)의 좌우단이 하부 클램프(12b)의 좌우단 밖으로 나와 있다.
상하부 클램프(12a, 12b)에는 나사부(14)와 나사결합되도록 좌우단부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4)는 이런 나사홈과 나사결합함으로써, 상하부 클램프(12a, 12b)를 결합시킨다.
제 1 지지대(30a)의 상단에는 중심부에 상부 클램프(12a)의 좌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대(30b)의 상단에는 제 1 지지대(30a)의 반대방향으로 굴절되어 있으며, 제 2 지지대(30b)의 굴절부위의 중심부에 홈이 형성되어, 제 1, 제 2 지지대(30a, 30b)의 홈에 상부 클램프(12a)의 좌우단이 안착된다.
고정부(20)는 박스(Box)형상이며, 제 1 지지대(30a)의 굴절부위와 상부 클램프(12a)의 우단을 함께 수용함으로써, 상부 클램프(12a)는 고정부(2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제 1, 제 2 지지대(30a, 30b)의 하단은 발판(4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에 구성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동관(1)을 상하부 클램프(12a, 12b)에 형성된 홈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사부(14)를 상하부 클램프(12a, 12b)의 좌우단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하부 클램프(12a, 12b)는 동관(1)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부 클램프(12a)의 좌우단을 제 1 지지대(30a)의 상단에 형성된 홈과 제 2 지지대(30b)의 굴절부위에 형성된 홈에 삽입시키고, 고정부(20)를 제 2 지지대(30b)의 굴절부위와 상부 클램프(12a)의 우단을 수용토록 한다. 그럼으로써, 상부 클램프(12a)는 제 1, 제 2 지지대(30a, 30b)의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두 발로 발판(40)을 밟고 서면 배관지지장치는 안정적으로 배관을 지지한다. 그러면 작업자는 확관공구(3)를 사용하여 배관의 직경을 확대한다.
동관(1)은 배관지지장치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동관(1)의 직경을 확대하는데 필요한 힘은 동관(1)의 직경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균일한 동관의 확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는 배관을 고정시키고, 확관공구를 이용하여 배관의 단부의 직경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한 확관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1인의 작업자만으로도 균일한 확관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배관의 단부의 직경을 확대하는 확관작업시에 사용되는 배관지지장치에 있어서,
    배관을 고정하는 상하부 클램프(12a, 12b)와, 상하부 클램프(12a, 12b)를 지지하는 제 1, 제 2 지지대(30a, 30b) 및, 상하부 클램프(12a, 12b)와 제 1, 제 2 지지대(30a, 30b)를 고정하는 고정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클램프(12a, 12b)에는 다양한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다양한 직경의 홈이 상하부 클램프(12a, 12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지지대(30a, 30b)의 상단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클램프(12a, 12b)가 안착되며,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상하부 클램프(12a, 12b)와 상기 제 2 지지대(30b)의 상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상하부 클램프(12a, 12b)와 제 2 지지대(30b)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클램프(12a, 12b)의 좌우단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나사부(14)와 결합함으로써, 상하부 클램프(12a, 12b)가 배관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지지대(30a, 30b)의 하단에는 연결판이 형성되어 제 1, 제 2 지지대(30a, 30b)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
KR2019980027240U 1998-12-29 1998-12-29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 KR200216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240U KR200216561Y1 (ko) 1998-12-29 1998-12-29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240U KR200216561Y1 (ko) 1998-12-29 1998-12-29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971U KR20000013971U (ko) 2000-07-15
KR200216561Y1 true KR200216561Y1 (ko) 2001-05-02

Family

ID=6950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240U KR200216561Y1 (ko) 1998-12-29 1998-12-29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5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971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647A (en) Welding clamp for pipe fittings
KR20160041143A (ko) 파이프 용접용 회전 균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용접방법
DK0443448T3 (da) Elastisk opretningsrørholder
EP1427945B1 (en) Connectors
KR930002034A (ko) 헤더지그
SE9804174D0 (sv)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jet pump riser pipe repairs
HUP0002340A2 (hu) Szorítógyűrű két cső összekötésére, valamint eljárás a szorítógyűrű elhelyezésére
KR200216561Y1 (ko) 배관의 직경 확대용 배관지지장치
US4934673A (en) V-clamp installation tool
CA2331915A1 (en) Rod hanger and clamp assembly
CN113607543A (zh) 一种用于管式试样的拉伸夹具及其使用方法
KR101004010B1 (ko) 파이프 연결 작업용 클램프
US4782577A (en) Method of using V-clamp installation tool
GB2065215A (en) Pipe clamp
KR200179433Y1 (ko) 스팀배관의 열팽창 흡수용 받침대
KR200329381Y1 (ko) 배관 연결용 커플링
JP4218780B2 (ja) ケーブルの把持機構
JPH109444A (ja) パイプとサドルとの取着用クランプ
CN214424139U (zh) 一种用于舞台搭建的快装型组合构件
CN219336657U (zh) 一种定位夹具
JP2000023339A (ja) 情報ケーブル用さや管の保持具
JPS604709Y2 (ja) ホ−ス金具の装着装置
CN213592000U (zh) 一种铝油管钎焊夹具
KR20130085710A (ko)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KR200213639Y1 (ko) 클램프의 파지클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