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502Y1 - 파이프의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의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502Y1
KR200216502Y1 KR2020000028194U KR20000028194U KR200216502Y1 KR 200216502 Y1 KR200216502 Y1 KR 200216502Y1 KR 2020000028194 U KR2020000028194 U KR 2020000028194U KR 20000028194 U KR20000028194 U KR 20000028194U KR 200216502 Y1 KR200216502 Y1 KR 200216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packing
washer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의영
Original Assignee
최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의영 filed Critical 최의영
Priority to KR2020000028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502Y1/ko

Links

Landscapes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교적 두께가 얇은 동파이프나 스테인레스 파이프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교적 두께가 얇은 동파이프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파이프를 이음할 때는 파이프의 연결부에 링홈을 형성하여 이에 고무로된 오링 형상의 패킹을 끼운 상태에서 이의 외주에 끼움된 이음구를 압착공구로서 압착 고정하는 형식으로 파이프를 이음하였던 관계로 이음부가 외력을 받으면 쉽게 변화되어 누수되는 폐단이 있었고, 또한 파이프가 이음되는 이음부 주면에 금속링을 끼워서 외측 파이프를 압착하여 이음되는 금속 파이프의 지름이 축소되게하는 이음장치가 공지된 바 있었으나, 이 또한 압착 시 파이프가 찌그러지거나 과다하게 압착될 시는 진원으로 수축되지 못한 관계로 이음 상태가 불안전하여 쉬이 누수되거나 빠지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동이나 스테인레스 파이프의 일측에 확개 형성된 이음부(2)에 끼움되는 이음 파이프(5)의 내 선단에는 와셔(4)를 끼운 다음 공구를 이용하여 돌출부(5')를 형성한 후 이의 외측에 고무로된 패킹(3)을 끼운 상태에서 이음 파이프(5)에 헐겁게 끼움된 패킹 압착 금형(6)을 압입하여 패킹(3)을 압착한 후 상하 이음부 압착 금형(7)(7')을 압착하면 이음부(2)의 내선단부에 절곡부(2')가 형성되면서 이에 걸림된 와셔(4)는 패킹(3)을 압착함과 동시 돌출부(5')에 걸림되어 확실한 밀폐와 견고한 이음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의 이음장치{Pipe coupling unit}
본 고안은 비교적 두께가 얇은 동파이프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파이프를 이음하는 파이프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동파이프나 스테인레스 파이프를 연결할 때는 파이프의 연결부에 링홈을 형성하여 이에 고무로된 오링 형상의 패킹을 끼운 상태에서 이의 외주에 이음구를 끼운 후 이 이음구의 외주면을 압착 공구로 압착 고정하는 형식으로 파이프를 이음하였던 관계로 이음부가 외력을 받으면 쉽게 변형되어 누수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한편 파이프가 이음되는 삽입부의 주면에 금속링을 끼워서 외측 파이프를 공구로 압착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때에는 지름이 축소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축소 시 생기는 금속링의 압착에 의하여 파이프가 찌그러지는 결점이 있고, 또한 과다하게 압착할 경우는 진원(眞圓)으로 축소되지 못한 관계로 밀폐가 재대로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린 상태가 불안전하여 외력에 의해 쉬이 빠지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파이프의 일측단에 확개부와 이음부를 형성하여 이에 끼워져 이음되는 이음 파이프의 선단에는 와셔를 삽입한 후 그 외측에 공구를 이용하여 돌출부를 형성한 다음 패킹을 끼운 상태에서 이음 파이프에 패킹 압착 금형을 헐겁게 끼워서 압입하면 이 패킹 압착 금형의 선단에 대접된 와셔가 파이프의 이음구 내로 압입되면서 패킹을 압축하게되고, 이때 상하 이음부 압착 금형을 압착시키면 이음부의 선단이 내향 절곡되면서 생긴 절곡부가 와셔를 내향 절곡시킴에 따라 패킹은 더욱 압축되고, 파이프의 돌출부에 걸림되면서 견고한 이음과 확실한 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이음된 파이프 이음부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파이프 이음 장치 개요의 단면 표시도
도 4는 본 고안 장치의 작용표시 단면도로서
도4a는 패킹 압착 금형의 작용 표시도
도4b는 이음부 압착 금형의 작용 표시도
도4c는 도4b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별도 실시예의 장치 개요 단면도
도 6은 도5의 작용표시 단면도로서
도6a는 패킹 압착 금형의 작용표시도
도6b는 이음부 압착 금형의 작용표시도
도6c는 도6b의 'A'부분의 확대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파이프 1'-확개부 1'-절곡턱 2-이음부
2'-절곡부 2'-걸림부 3,3'-패킹 4,4'-와셔
5-이음파이프 5'-돌출부 5'-선단부 6-패킹 압착금형
6'-선단부 7-상부 이음부 압착금형
7'-하부 이음부 압착금형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교적 두께가 얇은 동파이프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된 파이프(1)의 확개부(1')에 비교적 구경이 큰 이음부(2)를 형성하고, 이에 연결되는 이음 파이프(5)의 내선단에는 와셔(4)를 끼움한 후 공구를 이용하여 고리 형상의 돌출부(5')를 형성한 다음 이의 외측단에는 고무로된 패킹(3)을 끼운 상태에서 패킹 압착 금형(6)을 압입하면 이 금형(6)의 선단부(6')가 와셔(4)를 압압하여 패킹(3)을 압착하게하고, 파이프(1)의 확개부(1')와 이음부(2) 주면에는 상하 이음부 압착 금형(7)(7')이 위치되게 한 후 이를 압압하면 이음부(2)가 압착되어지면서 이음부(2)의 선단이 절곡된 절곡부(2')가 형성되어지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두께가 비교적 얇은 동파이프나 스테인레스 파이프의 이음 장치인 바 이를 실시할 때는 이음 파이프(5)의 선단에 와셔(4)을 끼우고, 와셔(4)의 내측인 이음 파이프(5)의 내선단에는 공구를 이용하여 돌출부(5')를 형성한 후 그 내측에 패킹(3)을 끼운 다음 이음 파이프(5)의 외측에 헐겁게 끼움된 패킹 압착 금형(6)을 도4a 표시와 같이 압입하면 패킹 압착 금형(6)의 선단부(6')에 대접된 와셔(4)가 압입함에 따라 와셔(4)는 패킹(3)을 압착함과 동시 이음 파이프(5)의 선단부(5')는 전진하여 파이프(1)의 절곡턱(1')에 걸림된다.
이때, 도4b 표시와 같이 상하 이음부 압착 금형(7)(7')을 이용하여 이음부(2)를 압착하면 이음부(2)의 선단에는 내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가 형성됨과 동시 와셔(4)도 함께 내향 절곡되면서 패킹(4)을 다시 한 번 압착하여 수밀상태를 확실히 해줌과 동시 이음부(2)의 절곡부(2')와 이음 파이프(5)의 돌출부(5') 사이에는 와셔(4)가 걸림되어지면서 파이프(1)의 이음상태를 견고히 하여 주기 때문에 파이프의 이음부가 외부의 심한 충격을 받아도 변형되거나 빠지는 폐단이 생기지 않게된다.
그리고 도6a에 표시된 도5의 별도실시예와 같이 이음 파이프(5)의 선단부에 와셔(4)를 끼운 후 돌출부(5')를 형성한 다음 패킹(3)을 끼우고, 다시 와셔(4')를 끼운 후 그 외측에 패킹(3')를 끼운 상태에서 전기한 바와 같이 패킹 압착 금형(6)과 상하 이음부 압착금형(7)(7')을 이용하여 파이프(1)에 이음 파이프(5)를 이음하게 하면 도6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음 파이프(5)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부(5')의 전후측과 이음부(2)의 절곡부(2') 및 걸림부(2')에는 와셔(4)(4')와 패킹(3)(3')이 이중으로 결합되어지기 때문에 관로내에 흐르는 유체가 비교적 높은 압을 가진 경우에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교적 두께가 얇은 동파이프나 스테인레스 파이프를 이음함에 있어 파이프(1)의 일측단 확개부(1')에 형성된 이음부(2)에 이음 파이프(5)가 끼움 연결됨에 있어 이음 파이프(5)의 내선단에 와셔(4)를 끼운 다음 돌출부(5')를 형성한 후 그 외단에 고무 패킹(3)을 끼운 다음 이음 파이프(5)에 헐겁게 끼워진 패킹 압착 금형(6)을 압입하여 와셔(4)가 패킹(3)을 압축되게 한 다음 상하 이음부 압착 금형(7)(7')을 이용하여 이음부(2)를 압착하면 이음부(2)의 외단부에는 내향 절곡된 절곡부(2')가 형성되면서 패킹(3)을 더욱 압착하여 수밀을 확실하게 함과 동시 절곡부(2')의 내측에 있는 와셔(4)는 경사상으로 절곡되면서 이음부(2)의 절곡부(2') 및 이음 파이프(5)의 돌출부(5') 사이에 걸림되어 파이프의 이음된 상태를 견고히 하여 주기 때문에 외력의 심한 충격을 받아도 이음 상태가 변형되거나 탈리되지 않아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비교적 두께가 얇은 동 또는 스테인레스 파이프를 이음하는 장치에 있어서 파이프(1)의 확개부(1')에 이음부(2)를 형성하여 이에 끼움되는 이음 파이프(5)의 선단에 와셔(4)를 끼운 다음 그 내측에 공구를 이용하여 돌출부(5')를 형성한 후 그 외측단에 고무로된 패킹(3)을 끼움한 후 이음 파이프(5)에 헐겁게 끼움된 패킹 압착 금형(6)을 압입하여 와셔(4)에 의해 패킹(3)이 압착된 다음 상하 이음부 압착 금형(7)(7')을 압착시켜 전기한 이음부(2)의 선단부가 절곡부(2')로 되면서 이 절곡부(2')와 이음 파이프(5)의 돌출부(5') 사이에 와셔(4)가 걸림되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 파이프의 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이음 파이프(5)의 선단에 와셔(4)를 끼운 다음 돌출부(5')를 형성하여 패킹(3)을 끼운 다음 다시 한 번 와셔(4')를 끼움과 동시 패킹(3')을 끼운 상태에서 전기한 패킹 압착 금형(6)과 상하 이음부 압착 금형(7)(7')을 압착하여 파이프(1)(5)를 이음할 수 있게 한 파이프의 이음장치.
KR2020000028194U 2000-10-10 2000-10-10 파이프의 이음장치 KR200216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194U KR200216502Y1 (ko) 2000-10-10 2000-10-10 파이프의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194U KR200216502Y1 (ko) 2000-10-10 2000-10-10 파이프의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502Y1 true KR200216502Y1 (ko) 2001-03-15

Family

ID=7308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194U KR200216502Y1 (ko) 2000-10-10 2000-10-10 파이프의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5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183B1 (ko) 2005-03-17 2007-03-20 김원주 파이프 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183B1 (ko) 2005-03-17 2007-03-20 김원주 파이프 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0303A (en) Double sealed compression fitting
US9500308B2 (en) Spiral-type flexible pipe connector
JPH0351501B2 (ko)
JPH11141758A (ja) 冷間プレス成形による金属スリーブと金属管の端部とを結合する管継手並びにその管継手を形成する方法
US4541659A (en) Permanently sealed threadless joint
KR200216502Y1 (ko) 파이프의 이음장치
KR200451357Y1 (ko) 관 연결구
KR100764946B1 (ko) 주름관 연결 구조
KR100308564B1 (ko) 관 연결구
KR100282510B1 (ko) 파이프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KR200480098Y1 (ko) 관 연결용 체결부재의 슬리브
KR200187815Y1 (ko) 배관용 이음쇠
KR20100028519A (ko) 금속 주름관 연결부위의 실링장치
KR20140051625A (ko) 압축기의 배관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CN218408966U (zh) 一种用于管路的快速接头
KR200336225Y1 (ko) 수도관 이탈방지 이음구조
JPS5853507Y2 (ja) 管接手
KR200271724Y1 (ko)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KR200302821Y1 (ko) 파이프 연결장치
CN217927686U (zh) 一种双凸卡压式连接的管道接头
CN213271462U (zh) 一种硬密封卡压管件
CN209943734U (zh) 一种双卡位固定胶圈密封的插接钢管
KR20210073942A (ko) 합성수지배관용 이음구
KR200231623Y1 (ko) 관 연결구의 패킹결합구조
KR950007034Y1 (ko) 주름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