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498Y1 - 보온성 파이프 행거 - Google Patents

보온성 파이프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498Y1
KR200216498Y1 KR2020000027759U KR20000027759U KR200216498Y1 KR 200216498 Y1 KR200216498 Y1 KR 200216498Y1 KR 2020000027759 U KR2020000027759 U KR 2020000027759U KR 20000027759 U KR20000027759 U KR 20000027759U KR 200216498 Y1 KR200216498 Y1 KR 200216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members
pair
members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영철
Original Assignee
추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영철 filed Critical 추영철
Priority to KR2020000027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498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1)에 설치된 앵커 볼트(2)에 체결되는 중심지지부재(10)와 중심지지부재(10)에 매달리도록 하기 위한 연결편(21,21') 및 하단부가 연결되게 하기 위한 걸림부(23)와 걸림공(24)을 상대적으로 갖고 내측으로 파이프(50)가 삽입되는 한쌍의 클램프부재(20a,20a')와, 클램프부재(20a,20a')와 중심지지부재(10)를 연결하는 볼트(30) 및 너트(40)로 구성되는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한 쌍의 클램프부재(20a,20a')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50)를 감싸고 폐고무칩으로 성형되며, 반원통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서 요홈(61,61')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파이프 보온부재(60,60')가 클램프부재(20a,20a')와 파이프(50) 사이에 삽입되고, 클램프부재(20a,20a')의 연결편(21,21')과 걸림부(23), 및 연결편(21,21')과 걸림공(24) 사이를 따라서 내측으로 파이프 보온부재(60,60')의 요홈(61,61')에 끼워 맞춰지는 돌부(25,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서, 파이프(50)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클램핑 작업 완료 후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파이프(50)의 고정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Description

보온성 파이프 행거 { THERMAL PIPE HANGER }
본 고안은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파이프를 보온하여 지지하고 고정시키는 보온성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파이프 행거는 2000년 실용신안등록 제175533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천장(1)에 설치된 앵커 볼트(2)에 체결되는 너트(11)와 연결부(12)를 가진 중심지지부재(10)와, 상기 중심지지부재(10)에 매달리도록 하기 위한 연결편(21,21') 및 하단부가 연결되게 하기 위한 걸림부(23)와 걸림공(24)을 상대적으로 갖고 내측으로 파이프(50)가 삽입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재(20,20')와, 상기 클램프부재(20,20')의 연결편(21,21')과 중심지지부재(10)의 연결부(12)의 체결공(13,13',22,22')을 관통하는 볼트(30) 및 너트(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파이프 행거는 상기 클램프부재(20,20')의 연결편(21,21')을 이탈시킨 후, 파이프(50)를 클램프부재(20,20')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다음, 상기 볼트(30)와 너트(40)를 이용하여 이탈시킨 연결편(21,21')을 체결하는 클램핑 작업에 의해 상기 파이프(50)를 지지하고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클램핑 작업에 의해 천장(1)에 설치되는 파이프(50)를 지지하고 고정시키는 종래의 파이프 행거는, 상기 클램프부재(20,20')와 파이프(50)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파이프가 행거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50)를 보온할 수 없으며, 그 결과 기온 변화에 따라서 파이프(50)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클램핑 작업 완료 후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볼트(30)와 너트(40)의 결합 상태가 느슨해지면 상기 파이프(50)가 클램프부재(20,20')의 내측과 이격되어 파이프 고정 상태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폐타이어 또는 폐고무 등을 분쇄한 폐고무칩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형틀에서 성형 제작한 반원통 형상의 파이브 보온부재로 종래의 파이프 행거의 클램프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를 보온하도록 된 보온성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보온성 파이프 행거는 천장에 설치된 앵커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연결부를 가진 중심지지부재와, 상기 중심지지부재에 매달리도록 하기 위한 연결편 및 하단부가 연결되게 하기 위한 걸림부와 걸림공을 상대적으로 갖고 내측으로 파이프가 삽입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재와, 상기 클램프부재의 연결편과 중심지지부재의 연결부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를 감싸고 폐고무칩으로 성형되며, 반원통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서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파이프 보온부재가 상기 클램프부재와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부재의 연결편과 걸림부, 및 연결편과 걸림공 사이를 따라서 내측으로 상기 파이프 보온부재의 요홈에 끼워 맞춰지는 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온성 파이프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반원통 형상의 파이프 보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클램프부재의 A-A'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천장 2: 앵커 볼트
10: 중심지지부재 11: 너트
12: 연결부 13,13': 체결공
20,20',20a,20a': 클램프부재 21,21': 연결편
22,22': 체결공 23: 걸림부
24: 걸림공 25,25': 돌부
30: 볼트 40: 너트
50: 파이프 60,60': 파이프 보온부재
61,61': 요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와 도 5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심지지부재(10)는 천장(1)에 설치된 앵커 볼트(2)에 체결되는 너트(11)와 연결부(12)를 가진다.
한 쌍의 클램프부재(20a,20a')는 상기 중심지지부재(10)에 매달리도록 하기 위한 연결편(21,21') 및 하단부가 연결되게 하기 위한 걸림부(23)와 걸림공(24)을 상대적으로 갖고 내측으로 파이프(50)가 삽입된다.
상기 클램프부재(20a,20a')에는 상기 연결편(21,21')과 걸림부(23), 및 연결편(21,21')과 걸림공(24) 사이를 따라서 내측으로 아래의 파이프 보온부재(60,60')의 요홈(61,61')에 끼워 맞춰지는 돌부(25,25')가 형성되어 있다.
볼트(30)와 너트(40)는 상기 클램프부재(20a,20a')의 연결편(21,21')과 중심지지부재(10)의 연결부(12)의 체결공(13,13',22,22')을 관통한다.
한 쌍의 파이프 보온부재(60,60')는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재(20a,20a')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50)를 감싸고 폐고무칩으로 성형되며, 반원통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서 요홈(61,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파이프 보온부재(60,60')는 상기 클램프부재(20a,20a')와 파이프(50)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보온성 파이프 행거는 다음과 같은 클램핑 작업에 의해 상기 파이프(50)를 보온하여 지지하고 고정시킨다.
먼저, 상기 클램프부재(20a,20a')의 연결편(21,21')을 이탈시킨 후, 상기 한 쌍의 반원통 형상의 파이프 보온부재(60,60')를 상기 파이프(50)에 감싼다.
다음으로, 파이프 보온부재(60,60')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여진 상기 파이프(50)를 클램프부재(20a,20a')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다음 상기 볼트(30)와 너트(40)를 이용하여 이탈시킨 연결편(21,21')을 체결하면, 상기 파이프(50)가 한 쌍의 클램프부재(20a,20a')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부재(20a,20a')에 형성된 돌부(25,25')는 상기 파이프 보온부재(60,60')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요홈(61,61')에 끼워 맞춰진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부재(20a,20a')의 돌부(25,25')가 파이프 보온부재(60,60')의 요홈(61,61')에 끼워 맞춰진 상태로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재(20a,20a')가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 서로 체결되면, 상기 파이프 보온부재(60,60')에 의해 파이프(50)가 보온되어 기온 변화에 따라서 상기 파이프(50)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 보온부재(60,60')는 탄성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 체결되는 클램프부재(20a,20a')에 밀착되어 클램프부재(20a,20a')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실제로, 상기와 같은 클램핑 작업이 완료된 후 본 고안에 따른 보온성 파이프 행거에 외부 충격 등이 가해짐에 따라서 상기 볼트(30)와 너트(40)의 결합 상태가 느슨해지더라도, 상기 파이프 보온부재(60,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재(20a,20a')의 돌부(25,25')가 상기 파이프 보온부재(60,60')의 요홈(61,6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 한, 상기 클램프부재(20a,20a')의 체결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상기 파이프(50)의 고정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온성 파이프 행거는 폐타이어 또는 폐고무 등을 분쇄한 고무칩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형틀에서 성형 제작한 반원통 형상의 파이브 보온부재로 종래의 파이프 행거의 클램프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를 보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클램핑 작업 완료 후에 외부 충격 등이 가해져 상기 볼트와 너트의 결합 상태가 느슨해지더라도 상기 클램프부재의 돌부가 요홈에 끼워 맞춰지는 파이프 보온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파이프의 고정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보온성 파이프 행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천장(1)에 설치된 앵커 볼트(2)에 체결되는 너트(11)와 연결부(12)를 가진 중심지지부재(10)와, 상기 중심지지부재(10)에 매달리도록 하기 위한 연결편(21,21') 및 하단부가 연결되게 하기 위한 걸림부(23)와 걸림공(24)을 상대적으로 갖고 내측으로 파이프(50)가 삽입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재(20a,20a')와, 상기 클램프부재(20a,20a')의 연결편(21,21')과 중심지지부재(10)의 연결부(12)의 체결공(13,22,22')을 관통하는 볼트(30) 및 너트(40)로 구성되는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재(20a,20a')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50)를 감싸고 폐고무칩으로 성형되며, 반원통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서 요홈(61,61')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파이프 보온부재(60,60')가 상기 클램프부재(20a,20a')와 파이프(50)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부재(20a,20a')의 연결편(21,21')과 걸림부(23), 및 연결편(21,21')과 걸림공(24) 사이를 따라서 내측으로 상기 파이프 보온부재(60,60')의 요홈(61,61')에 끼워 맞춰지는 돌부(25,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파이프 행거.
KR2020000027759U 2000-10-05 2000-10-05 보온성 파이프 행거 KR200216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759U KR200216498Y1 (ko) 2000-10-05 2000-10-05 보온성 파이프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759U KR200216498Y1 (ko) 2000-10-05 2000-10-05 보온성 파이프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498Y1 true KR200216498Y1 (ko) 2001-03-15

Family

ID=7305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759U KR200216498Y1 (ko) 2000-10-05 2000-10-05 보온성 파이프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09B1 (ko) 2016-06-27 2017-02-22 정종진 원터치 타입의 파이프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09B1 (ko) 2016-06-27 2017-02-22 정종진 원터치 타입의 파이프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2476A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KR100652018B1 (ko) 파이프 이음부재
KR200216498Y1 (ko) 보온성 파이프 행거
KR200393463Y1 (ko)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KR940011131A (ko) 2개의 판을 해제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조립구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KR200209862Y1 (ko)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0245170Y1 (ko) 단열 파이프 지지구
KR200186555Y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KR20190017320A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KR200142369Y1 (ko)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KR200343996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CN1702259A (zh) 用于固定墙体上保温板的锚固栓
KR200221020Y1 (ko)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KR200229017Y1 (ko)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KR200335555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19980056113U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0582700B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182841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376767Y1 (ko) 양변기 배수관 연결용 플랜지의 체결구조
KR200285253Y1 (ko) 콘크리트 형틀용 세퍼레이터
KR200349974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200456216Y1 (ko) 편수관용 압륜장치
KR200414910Y1 (ko) 파이프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