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017Y1 -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 Google Patents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017Y1
KR200229017Y1 KR2020000027506U KR20000027506U KR200229017Y1 KR 200229017 Y1 KR200229017 Y1 KR 200229017Y1 KR 2020000027506 U KR2020000027506 U KR 2020000027506U KR 20000027506 U KR20000027506 U KR 20000027506U KR 200229017 Y1 KR200229017 Y1 KR 200229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 holder
present
locking jaws
lower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희 filed Critical 김선희
Priority to KR2020000027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017Y1/ko

Links

Landscapes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플랜트 분야에서 배관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배관용 파이프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 홀더와 이에 지지되는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패드의 형상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용 파이프 홀더와 파이프간에 완전절연을 이룰 수 있는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배관용 파이프 홀더와 파이프간에 완충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나사 결합된 상/하부덮개와, 상기 파이프와 상/하부덮개 사이에 개입되는 상/하 절연패드로 구성된 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하 절연패드(10,20)의 표면측 단부상에 제 1 걸림턱(11,21)을 형성하여, 이 제 1 걸림턱(11,21) 사이에 상기 상/하부덮개(30,40)가 위치토록 하고,
상기 상/하 절연패드(10,20)의 볼트공(10a,20a) 상에는 제 2 걸림턱(12,22)을 형성하여, 이 제 2 걸림턱(12,22)이 상기 상/하부덮개(30,40)의 볼트공(31,41)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insulation pad for pipe holder}
본 고안은 각종 플랜트 분야에서 배관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배관용 파이프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 홀더와 이에 지지되는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패드의 형상개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 파이프 슈(pipe shoe), 파이프 지지구(pipe support) 또는 파이프 클램프(pipe clamp) 등으로 지칭되는 배관용 파이프 홀더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지 프레임(1)과, 상기 지지 프레임(1) 상에 고정되는 반원관 형상의 하부덮개(3)와, 상기 하부덮개(3) 상에 이와 대응되게 결합되는 반원관 형상의 상부덮개(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덮개(2,3)의 사이에는 파이프(4)가 관통 지지되며, 상기 파이프(4)와 하부 덮개(3) 사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러버(rubber)로 된 절연패드(5)가 개입되어 볼트(7) 및 너트(8)에 의해 상/하부덮개(2,3)와 절연패드(5)가 일체로 체결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연패드(5)는 금속으로 된 하부덮개(3)와 파이프(4) 간의 열교환을 차단하기 위한 절연(insulation)의 역할과, 파이프(4)를 압박하여 파이프(4)가 유동됨을 방지하는 역할과, 파이프(4)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동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완화시켜주는 완충/방진 역할을 함께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절연패드(5)는 완전절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즉, 상기와 같이 절연패드(5)가 파이프(4)의 하부에만 삽입되어 있는경우, 하부덮개(3)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은 강도가 강한 스틸이 사용되고 있다.이때, 상기 상부덮개(2)와 하부덮개(3)는 그 사이에 개입된 절연패드(5)에 의해 격리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들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7) 및 너트(8)에 의해 상부덮개(2)와 하부덮개(3)가 간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이므로 둘간의 열교환이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외부온도가 저온인 경우에 저온의 외부열이 스틸로된 하부덮개(3)와 볼트(7) 및 너트(8)를 통해 상부덮개(2)로 전달되며, 상부덮개(2)의 온도는 이에 면 접촉된 파이프(4)로 전달되므로써 파이프(4)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결빙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부덮개(2)와 파이프(4) 사이에 절연패드를 추가로 삽입한 것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상/하부 덮개(2,3)에 비해 절연패드(5)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하부 덮개(2,3)와 파이프(4)가 접촉될 우려가 있으므로 통상 절연패드(5)의 길이를 상/하부 덮개(2,3)에 비해 길게 하고 있는 설정이다. 따라서, 소재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배관용 파이프 홀더와 파이프간에 완전절연을 이룰 수 있는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관용 파이프 홀더와 파이프간에 완충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파이프 홀더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절연패드의 구성도
도 3a, 3b, 3c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패드의 제 1 실시예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패드의 제 2 실시예
도 5a, 5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패드의 제 3 실시예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패드의 제 4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볼트 10, 20 : 상/하절연패드
10a, 20a, 31, 41 : 볼트공 10b, 20b : 수직부
10c, 20c : 수평부 11, 21 : 제 1 걸림턱
12, 22 : 제 2 걸림턱 12a, 22a : 절개부
30, 40 : 상/하부덮개 32, 42 : 단변축
33, 43 : 완충돌기 34, 44 : 볼록부
35, 45 : 평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나사 결합된 상/하부덮개와, 상기 파이프와 상/하부덮개 사이에 개입되는 상/하 절연패드로 구성된 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하 절연패드의 표면측 단부상에 제 1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 제 1 걸림턱 사이에 상기 상/하부덮개가 위치토록 하고,
상기 상/하 절연패드의 볼트공 상에는 제 2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 제 2 걸림턱이 상기 상/하부덮개의 볼트공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걸림턱은 상기 상/하 절연패드의 볼트공 단부로부터 상/하부덮개의 두께만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걸림턱은 상기 상/하 절연패드의 볼트공 단부로부터 상/하부덮개의 두께만큼 수직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 절연패드의 상/하부덮개와의 접촉면 상에 완충돌기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3b, 3c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패드의 제 1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패드중 상부 절연패드의 구성도이며, 도 3b는 절연패드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c는 절연패드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상/하 절연패드(10,20)는 그 표면측 단부상에 제 1 걸림턱(11,21)을 형성함과 함께, 각 볼트공(10a,20a) 상에는 수직으로 돌출된 제 2 걸림턱(12,22)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부덮개(30,40)는 상기 제 1 걸림턱(11,21)의 내부에 위치토록 결합하며, 제 2 걸림턱(12,22)은 상/하부덮개(30,40)의 볼트공(31,41)에 삽입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추게 되면, 도 3b와 도 3c에서와 같이 제 1 걸림턱(11,21)에 의해 상/하부덮개(30,40)의 단변측(32,42)과 이에 인접하는 파이프(50)의 접촉이 차단되며, 제 2 걸림턱(12,22)에 의해 상부덮개(30)와 하부덮개(40)가 볼트(7)에 의해 접촉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하부덮개(30,40)와 파이프(50)간의 열전달과, 상부덮개(30)와 하부덮개(40)간의 열전달이 차단되므로 각 금속재 부품간의 완전한 절연이 가능하게 된다.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패드의 제 2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상/하 절연패드의 구성도이며, 도 4b는 상/하 절연패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상/하 절연패드(10,20)는 각 볼트공(10a,20a)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제 2 걸림턱(12,22)를 형성하되, 그 길이를 상/하부덮개(30,40)의 두께보다 길게하고, 제 2 걸림턱(12,22)를 길이방향으로 수 곳을 절개한 것이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상/하 절연패드(10,20) 상에 상/하부덮개(10a,20a)를 결합하게 되면, 그 결합력에 의해 제 2 걸림턱(12,22)이 눌리면서 절개부(12a,22a)를 기준으로 각 부위가 외향으로 절곡되어 상/하부덮개(30,40)의 볼트공(31,41)의 단부를 감싸게 되므로 제 1 실시예에 비해 보다 확실한 절연을 이루게 된다(도 4b참조).
도 5a, 5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패드의 제 3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상/하 절연패드의 구성도이며, 도 5b는 상/하 절연패드의 결합상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상/하 절연패드(10,20)는 그 볼트공(10a,20a)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부(10b,20b)와 상기 수직부(10b,20b)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10c,20c)가 형성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는 제 2 실시예와 유사한 형태이긴 하나, 제 2 실시예는 상/하부덮개(30,40)와 상/하 절연패드(10,20)가 결합되어야만 제 2 걸림턱(12,22)의 상단이 절개부(12a,22a)가 외향으로 절곡되는 반면, 제 3 실시예는 이미 이러한 형상이 성형된 상태인 점이 상이하다.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패드의 제 4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상/하 절연패드의 구성도이며, 도 6b는 상/하 절연패드의 결합상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상/하 절연패드(10,20)는 상/하부덮개(30,40)와의 접촉면 상에 완충돌기(33,4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완충돌기(33,43)는 상/하부덮개(30,40)의 볼록부(34,44) 또는 평면부(35,45)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하거나 두 부분에 모두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파이프(50)를 지지하는 볼록부(34,44)에 형성하는 것이 파이프(50)의 완충 및 방진에 보다 효과적이다.
아울러, 상기 완충돌기(33,43)의 형태는 볼록부(34,44)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거나, 볼록부(34,44)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하덮개와 파이프, 상부덮개와 하부덮개 간의 완전절연이 가능하므로써 외부의 저온열이 파이프로 전달됨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온도에 의해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부덮개 상에 완충돌기가 형성되므로써 외적요인 또는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동력에 의해 파이프의 완충 및 방진을 이룰 수 있다.

Claims (5)

  1. (정정)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나사 결합된 상/하부덮개와, 상기 파이프와 상/하부덮개 사이에 개입되는 상/하 절연패드로 구성된 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하 절연패드(10,20)의 표면측 단부상에 제 1 걸림턱(11,21)을 형성하여, 이 제 1 걸림턱(11,21) 사이에 상기 상/하부덮개(30,40)가 위치토록 하고,
    상기 상/하 절연패드(10,20)의 볼트공(10a,20a) 상에는 제 2 걸림턱(12,22)을 형성하여, 이 제 2 걸림턱(12,22)이 상기 상/하부덮개(30,40)의 볼트공(31,41)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턱(12,22)은 상기 상/하 절연패드(10,20)의 볼트공(10a,20a) 단부로부터 상/하부덮개(30,40)의 두께만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턱(12,22)은 상기 상/하 절연패드(10,20)의 볼트공(11,21) 단부로부터 상/하부덮개(30,40)의 두께만큼 수직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게 구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절연패드(10,20)의 상/하부덮개(30,40)와의 접촉면 상에 완충돌기(33,43)가 형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5. (삭제)
KR2020000027506U 2000-10-02 2000-10-02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KR200229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06U KR200229017Y1 (ko) 2000-10-02 2000-10-02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06U KR200229017Y1 (ko) 2000-10-02 2000-10-02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017Y1 true KR200229017Y1 (ko) 2001-07-19

Family

ID=7305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506U KR200229017Y1 (ko) 2000-10-02 2000-10-02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0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289A (ko) 2020-09-15 2022-03-22 (주)코리스이엔티 배관지지용 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289A (ko) 2020-09-15 2022-03-22 (주)코리스이엔티 배관지지용 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1793B2 (en) Heat pipe assembly
US7562696B2 (en) Juxtaposing structure for heated ends of heat pipes
US4814584A (en) Profiled PCT heater for heating a tubular member
US7331379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heat pipe
US7746640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heat pipes
CN1329701C (zh) 集成热电组件
US20030173061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working liquid received in circulatory route
US20070000646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heat pipe
NZ532818A (en) A roadway freezing point sensor including an active cooler, a cold thermal link, a sample well and a temperature sensor
FR2615065A1 (fr) Support pour plaques de circuits imprimes
JP4864503B2 (ja) 電力ケーブルクリート
KR970072032A (ko) 반도체 처리 시스템 내의 게이트 밸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29017Y1 (ko) 배관용 파이프 홀더용 절연패드
US5028020A (en) Pipe clip
JP3557760B2 (ja) 熱電変換装置
KR960012630A (ko) 접속구 부착 구성체
JPH0320580A (ja) 電子冷却素子の取付装置
BR0017087A (pt) Braçadeira condutora para tubos ou cabos
US7997945B2 (en) Fastening device for connecting web
CA2280065C (en) Clamping arrangement for compression-mounted power electronic devices
KR200245170Y1 (ko) 단열 파이프 지지구
WO2001048542A3 (en) Active device assembly
KR200142369Y1 (ko)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KR200216498Y1 (ko) 보온성 파이프 행거
KR200163647Y1 (ko) 보온성 파이프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