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294Y1 - 새들붙이 분수전 - Google Patents

새들붙이 분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294Y1
KR200216294Y1 KR2020000026467U KR20000026467U KR200216294Y1 KR 200216294 Y1 KR200216294 Y1 KR 200216294Y1 KR 2020000026467 U KR2020000026467 U KR 2020000026467U KR 20000026467 U KR20000026467 U KR 20000026467U KR 200216294 Y1 KR200216294 Y1 KR 200216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tain
saddle
stepped portion
threaded pipe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희
Original Assignee
이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희 filed Critical 이종희
Priority to KR2020000026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294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새들붙이 분수전에 관한 것으로, 부품절감과 누수예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으며,
구성은, 상부 중앙에 수나사관(2')과 단차부(2')를 가진 결합돌부(2)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2')일측에 나사구멍(3')을 가진 보강리브(3)을 형성하여서 된 상부새들(1)과;
상·하부에 각각 수나사관(6)과 암나사관(5)을 그리고 좌·우측부분에는 각각 통상의 배출구(7)와 밸브개폐용노브(8)을 형성하여서 된 분수전;
그리고 이들을 조립시 상기 상부새들(1)의 수나사관(2') 내측에 테프론패킹(9)을 끼우고 수나사관(2') 외주 단차부(2')에 밀폐용오링(10)을 끼운후 분수전(4)을 체결하여 부품절감과 누수예방이 이루어지게끔 구성함으로써, 조립성 증대 및 원가절감 그리고 누수예방효과를 갖는 새들붙이 분수전을 제공함

Description

새들붙이 분수전{Water divisioning valve}
본 고안은 새들붙이 분수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새들의 구조를 개량하여 분수전 결합고정시 부품수 절감으로 인한 조립성 증대와 원가절감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누수예방효과 또한 극대화 되게 끔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새들붙이 분수전은 상수도관에 결합고정되어 상수도관을 흐르는 물을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통상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도 1은 살펴보면, 상·하부새들(1)(1')중 상부새들(1)의 결합돌부(2) 내측에 암나사구멍(2a)을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구멍(2a)에 분수전(4a)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관(41)을 체결고정토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분수전(4a)의 구성을 살펴보면, 배출구(7)와 밸브개폐노브(8)을 가진 동체(4a)와 상·하부에 작고 큰 수나사관(42)(42')을 가진 막음쇠(43) 및 상기 막음쇠(43)의 상부 수나사관(41')에 체결되는 밸브캡(11)으로 구성되고, 동체(4a') 내부에는 밸브개폐노브(8)와 연결설치된 밸브체(13)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새들붙이 분수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상부새들(1)과 분수전(4a)의 결합이 단순히 상부새들(1)의 암나사구멍(2a)에 분수전(4a)의 하부수나사관(41)이 체결고정된 상태이기에 장시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쉽게 누수가 발생되고, 또 분수전(4a)자체의 부품수 과다로 조립성이 떨어짐과 동시에 이로인한 누수발생 염려도 간과 할 수 없으며, 더불어 제조원가가 과다하게 드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새들붙임 분수전에 대한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상부새들의 상부중앙위치에 단턱부를 가진 수나사관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 일측에는 나사구멍을 가진 보강리브를 형성하여 상기 수나사관에 분수전의 종래구성중 막음쇠를 제거한 상태의 동체를 거꾸로 뒤집어 체결 결합시킨뒤, 뒤집어 체결된 동체 상단에 밸브캡을 체결고정시키도록 하며, 상부새들과 분수전의 결합부에 테프론패킹 및 밀폐용오링을 설치함으로써 누수를 완전 예방하고, 종래와 같은 막음쇠가 불필요하여 조립성 극대화와 원가절감효과를 극대화시킬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고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 도 3에 있어서,
상·하부새들(1)(1')중 상부새들(1)의 상부중앙에 수나사관(2')과 단차부(2')를 가진 결합돌부(2)를 형성하고, 단차부(2') 일측에 나사구멍을 가진 보강리브(3)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부(2)에 결합고정되는 분수전(4)은 상·하부에 각각 수나사관(6)과 암나사관(5)을, 그리고 좌·우측부분에는 각각 배출구(7)와 밸브개폐용노브(8)를 형성하여 분수전(4)에 형성된 암나사관(5)을 상부새들(1)의 수나사관(2')에 체결하되, 상기 수나사관(2')의 내부에는 테프론패킹(9)을 끼우고, 수나사관(2') 외부단차부(2')에는 밀폐용오링(10)을 끼운후 분수전(4)을 체결하며, 분수전(4)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관(6)에 밸브캡(11)을 체결고정하여 새들붙이 분수전(12)을 형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3은 밸브체이고, 14는 볼트, 15는 너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하부새들(1)(1')중 상부새들(1)의 상부중앙에 수나사관(2')과 단차부(2')를 가진 결합돌부(2)를 형성하고, 단차부(2') 일측에 나사구멍을 가진 보강리브(3)를 형성하여, 상기 수나사관(2') 내부에 테프론패킹(9)을 삽입설치하고, 수나사관(2') 외주면에 형성된 단차부(2')에 밀폐용오링(10)을 끼운 상태에서 분수전(4)의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관(5)을 체결고정시키며, 이어서 분수전(4)의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관(6)에 캡(11)을 체결고정하여 새들붙이 분수전(12)을 구성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분수전(14)은 종래의 분수전(4a)에서 막음쇠(43)를 분해 제거한 상태의 동체를 뒤집어 놓은 것과 동일한 구조이며, 따라서 조립부품수가 적어 조립성증대효과 따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따르게 된다.
또한 조립부품수가 적고, 테프론패킹(9)과 일폐용오링(10)에 의해 2중누수방지구조를 갖추고 있음으로 누수방지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도 따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새들붙이 분수전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막음쇠가 불필요하여 부품수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됨은 물론, 부품절감과 함께 2중누수방지구조를 갖추고 있음에 따라 누수방지효과가 극대화 되는 등의 효과가 따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새들붙이 분수전에 있어서,
    상부중앙에 수나사관(2')과 단차부(2')를 가진 결합돌부(2)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2') 일측에 나사구멍을 가진 보강리브(3)를 형성하여서 된 상부새들(1)과;
    상·하부에 각각 수나사관(6)과 암나사관(5)을 그리고 좌·우측부분에는 각각 통상의 배출구(7)와 밸브개폐용노브(8)을 형성하여서된 분수전;
    그리고 이들을 조립시 상기 상부새들(1)의 수나사관(2') 내측에 테프론패킹(9)을 끼우고, 수나사관(2') 외주 단차부(2')에 밀폐용오링(10)을 끼운후 분수전(4)을 체결함으로써 부품절감과 누수예방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붙이 분수전.
KR2020000026467U 2000-09-16 2000-09-16 새들붙이 분수전 KR200216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467U KR200216294Y1 (ko) 2000-09-16 2000-09-16 새들붙이 분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467U KR200216294Y1 (ko) 2000-09-16 2000-09-16 새들붙이 분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294Y1 true KR200216294Y1 (ko) 2001-03-15

Family

ID=7305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467U KR200216294Y1 (ko) 2000-09-16 2000-09-16 새들붙이 분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2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6294Y1 (ko) 새들붙이 분수전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JP2590603Y2 (ja) パッキン一体型逆止弁
KR200395246Y1 (ko) 면접촉부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의 인장봉
KR200409417Y1 (ko) 수전 배관연결 밸브
CN215981012U (zh) 一种高脚限流阀组件
KR200169821Y1 (ko) 상수도용 분수전의 누수방지구조
KR920003849Y1 (ko) 세탁기에 있어서 급수 호스와 콕크와의 접속구
KR200254754Y1 (ko) 상수도용 분수전
KR200341455Y1 (ko) 수도배관의 보조공급수 연결구
CN211117860U (zh) 一种开关
CN210716085U (zh) 塑料混水龙头连接件
KR102247906B1 (ko)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CN216276011U (zh) 带分体式三角阀的马桶水箱
ITCO20000001A1 (it) Raccordo rapido per tubi di impianti a fluido
KR200152778Y1 (ko) 수도관 이음구용 고무링
KR970006916Y1 (ko) 압력계용 배관의 저압장치
KR200160184Y1 (ko) 수족관의 배관파이프 연결장치
KR200168674Y1 (ko) 연수기
KR0121295Y1 (ko) 고압펌프의 커버조립에 따른 개량구조
KR200269100Y1 (ko) 급수전의 패킹구조
KR200252991Y1 (ko) 물탱크의 주름관형 수도관 연결용 결착구
KR19980058982U (ko) 세탁기의 급수호스와 수도밸브 결합구조
KR200182941Y1 (ko) 수도꼭지 어셈블리의 유동호스 결합구조
KR200211151Y1 (ko) 셀프실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