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100Y1 - 급수전의 패킹구조 - Google Patents

급수전의 패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100Y1
KR200269100Y1 KR2020010039356U KR20010039356U KR200269100Y1 KR 200269100 Y1 KR200269100 Y1 KR 200269100Y1 KR 2020010039356 U KR2020010039356 U KR 2020010039356U KR 20010039356 U KR20010039356 U KR 20010039356U KR 200269100 Y1 KR200269100 Y1 KR 200269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acking member
cap
valve stem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식
Original Assignee
김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식 filed Critical 김근식
Priority to KR2020010039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100Y1/ko

Links

Landscapes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품수가 절감되어 조립성이 우수하면서도 밀봉기능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급수전의 패킹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급관(2)과 배출관(4)이 양측에 연결되거나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밸브본체(10)와, 이 밸브본체(10) 내부의 관로상에 형성되는 밸브시트(5)와, 이 밸브시트(5)에 밀봉적으로 안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밸브하우징(11)에 대해서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밸브스템(8)과, 이 밸브스템(8)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부(15)와, 상기 밸브스템(8)에 관통연결되고 상기 밸브하우징(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캡(14)과, 이 캡(14)과 밸브하우징(11) 사이에 개재되는 링형상의 패킹부재(18)를 포함하는 급수전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18) 내부에는 링형상의 워셔(19)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의 패킹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급수전의 패킹구조 {Packing for water valve}
본 고안은 급수전의 패킹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부품수가 절감되어 조립성이 우수하면서도 밀봉기능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급수전의 패킹구조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급수전을 보여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2)과 배출관(4) 또는 토출구가 양 단부에 결합되는 밸브본체(10)의 내부의 관로상에 밸브시트(5)가 형성되고, 이 밸브시트(5)에는 선단에 밸브체(6)가 형성된 밸브스템(8)이 밀봉적으로 안착되거나 이격되어 밸브의 개페동작을 수행한다. 이 밸브스템(8)의 둘레부에는 숫나사부(9)가 형성되어, 이 밸브스템(8)이 승강되는 밸브하우징(11)의 내주면의 암나사부(12)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승강된다. 이 밸브스템(8)의 상단에는 핸들부(15)가 결합되고, 밸브하우징(11)의 상단에는 캡(14)이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이 캡(14)의 내측에는 캡(14)의 내측면 형상에 부합되는 링형상의 패킹부재(18)가 구비된다. 이 패킹부재(18)는 급수전을 흐르는 물이 캡(14)과 밸브스템(8)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높은 수압이 작용하면 이 캡(14)의 패킹부재(18)가 변형되어 밀봉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 패킹부재(18)의 저면부에는 워셔(19)가 구비된다. 이 워셔(19)에 의해 수압을 차단함으로써, 패킹부재(18)의 변형으로 인한 밀봉파괴를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급수전은 패킹부재(18)와 워셔(19)가 별체로 구비되어서, 급수전의 조립시에는 먼저 밸브스템(8)에 워셔(19)를 끼운 상태에서 패킹부재(18)를 끼워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공수가 많아져서 생산성이 낮게 된다. 또한, 패킹부재(18)와 워셔(19)가 정렬된 위치에서 벗어나면 수밀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급수전의 패킹조립상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부품수가 절감되어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수밀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급수전의 패킹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도전의 단면구성도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수도전용 패킹부재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공급관 4. 배출관
5. 밸브시트 8. 밸브스템
10. 밸브본체 11. 밸브하우징
14. 캡 18. 패킹부재
19. 워셔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급관(2)과 배출관(4)이 양측에 연결되거나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밸브본체(10)와, 이 밸브본체(10) 내부의 관로상에 형성되는 밸브시트(5)와, 이 밸브시트(5)에 밀봉적으로 안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밸브하우징(11)에 대해서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밸브스템(8)과, 이 밸브스템(8)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부(15)와, 상기 밸브스템(8)에 관통연결되고 상기 밸브하우징(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캡(14)과, 이 캡(14)과 밸브하우징(11) 사이에 개재되는 링형상의 패킹부재(18)를 포함하는 급수전에 있어서, 상기패킹부재(18) 내부에는 링형상의 워셔(19)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의 패킹부재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2)과 배출관(4)이 양측에 연결되거나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밸브본체(10)와, 이 밸브본체(10) 내부의 밸브시트(5)에 밀봉적으로 안착되거나 밸브스템(8)을 구비한 것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이 밸브스템(8) 외주면의 숫나사부(9)가 밸브하우징 내주면의 암나사부(12)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단의 핸들부(15)를 조작함으로써 밸브스템(8)이 승강되어 밸브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밸브하우징(11)의 상단에는 캡(14)이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이 캡(14)과 밸브하우징(11) 사이에는 링형상의 패킹부재(18)가 배치된다. 그런데, 이 패킹부재(18)에는 워셔(19)가 매입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패킹부재(18)만 결합하면, 별도의 워셔를 결합하지 않더라도 높은 수압에 대해 밀봉이 파괴되지 않으므로, 수밀성이 우수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급수전이 제공된다. 아울러, 패킹부재(18)와 워셔(19)의 상대위치가 미리 정밀하게 설정되어 일체로 구성되므로, 패킹부재(18)와 워셔(19)의 상대위치가 어긋남으로 인한 수밀성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워셔(19)가 패킹부재(18)에 완전히 은폐되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이 실시예의 기능과 효과는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급수전에서 패킹부재와 워셔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조립공수가 줄어들어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패킹부재와 워셔가 미리 정확한 위치로 설정되므로, 양호한 밀봉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

  1. 공급관(2)과 배출관(4)이 양측에 연결되거나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밸브본체(10)와, 이 밸브본체(10) 내부의 관로상에 형성되는 밸브시트(5)와, 이 밸브시트(5)에 밀봉적으로 안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밸브하우징(11)에 대해서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밸브스템(8)과, 이 밸브스템(8)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부(15)와, 상기 밸브스템(8)에 관통연결되고 상기 밸브하우징(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캡(14)과, 이 캡(14)과 밸브하우징(11) 사이에 개재되는 링형상의 패킹부재(18)를 포함하는 급수전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18) 내부에는 링형상의 워셔(19)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의 패킹부재.
KR2020010039356U 2001-12-19 2001-12-19 급수전의 패킹구조 KR200269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56U KR200269100Y1 (ko) 2001-12-19 2001-12-19 급수전의 패킹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56U KR200269100Y1 (ko) 2001-12-19 2001-12-19 급수전의 패킹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100Y1 true KR200269100Y1 (ko) 2002-03-18

Family

ID=7307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356U KR200269100Y1 (ko) 2001-12-19 2001-12-19 급수전의 패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1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2255B2 (en) Check valves
US7100637B1 (en) Wall hydrant having backflow preventor
MXPA02011063A (es) Valvula de media bola.
US7857286B1 (en) Faucet having leakproof effect
KR100389534B1 (ko) 2포트 밸브
MXPA03011803A (es) Montaje de cierre con valvula.
KR830002827B1 (ko) 혼합밸브
US20090250127A1 (en) Bridge faucet
US8146888B1 (en) Stopper sleeve assembly into standard valve
US4314581A (en) Rotary valve washerless cartridge
US4842246A (en) Valve seat configuration
KR200269100Y1 (ko) 급수전의 패킹구조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US8333364B1 (en) Stopper elastomeric sleeve assembly into standard valve
KR200409417Y1 (ko) 수전 배관연결 밸브
JP2510028Y2 (ja) 耐酸調節弁
US6019131A (en) Tapered adjustable tailpiece
KR200370265Y1 (ko) 수도꼭지
KR200213458Y1 (ko) 밸브 구조물
KR200254754Y1 (ko) 상수도용 분수전
KR200361682Y1 (ko) 지하식 소화전의 토출구 높이 조절장치
KR200230331Y1 (ko) 소프트 메탈 시트 버터플라이 밸브
KR200360559Y1 (ko) 스프링쿨러 헤드용 결합부재
KR200374734Y1 (ko) 샤워 헤드
KR200150447Y1 (ko) 커플러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