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906B1 -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906B1
KR102247906B1 KR1020190110717A KR20190110717A KR102247906B1 KR 102247906 B1 KR102247906 B1 KR 102247906B1 KR 1020190110717 A KR1020190110717 A KR 1020190110717A KR 20190110717 A KR20190110717 A KR 20190110717A KR 102247906 B1 KR102247906 B1 KR 10224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adapter
coupling
coupled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460A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Priority to KR102019011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9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답터에 부싱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안내홀을 통해 2개 1조로 형성된 클립을 결합하여 아답터와 부싱을 결합하므로 부싱과 아답터의 결합력을 한층 높여 부싱이 아답터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고, 아답터 또는 공급호스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부싱에 결합된 클립이 너트와 급수배관 측으로 외력이 전달되지 않게 하므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필터 교체시 공급호스를 풀지 않고 아답터로부터 필터만 교체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Filter connecting device for bidet}
본 발명은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 설치 완료 후 아답터 또는 공급호스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너트 측으로 외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너트가 풀리지 않게 하므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필터 교체시 공급호스를 풀지 않고도 필터만 간단히 교체하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용변 후, 생식기나 항문 주위를 세척하는 기기로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기구 중앙부에서 적당한 온도의 세정수가 분출되어 부드럽게 국부를 세척하거나 마사지하는 장치로서, 치질, 방광염, 질염, 설사로 인한 쓰라림 등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어지면서 남녀노소 모두가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수도전으로부터 비데로 공급되는 세정수는 필터장치를 통해 이물질과 같은 오염원을 필터링한 후 공급하게 되고, 상기 필터장치는 비데 내부 또는 비데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종래의 필터 연결장치는 수도전에 연결되는 원수이송라인에 지수밸브를 설치하고, 지수밸브에는 원수를 분기시키는 분기밸브를 설치한다.
상기 분기밸브의 일측에는 필터를 결합한 후 상기 필터에 비데측 정수이송라인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을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터 연결장치는 필터 또는 분기밸브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필터와 비데측 정수이송라인 또는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을 고정하고 있는 니플이 풀어지면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필터 연결장치는 필터를 교체할 경우, 필터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비데측 정수이송라인을 분리한 후, 필터를 교체해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60715호로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 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 필터 및 그 연결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고안은 수도전에 연결된 정수이송라인에 지수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지수밸브에 분기밸브를 설치한 후 상기 분기밸부의 일측에 필터조립체를 결합하고, 상기 분기밸브의 타측에는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된 고안은 필터조립체에 비데측 급수이송라인을 설치하지 않는 이점은 있으나, 필터조립체 또는 분기밸브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분기밸브와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측에 외력이 그대로 전달되어 분기밸브와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을 결합하고 있는 니플이 점차 풀어지면서 분기밸브와 물탱크측 급수이송라인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물이 누수되므로 제품 안정성 및 신뢰성에 큰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60715호(2007.01.08.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아답터에 부싱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안내홀을 통해 2개 1조로 형성된 클립을 결합하여 아답터와 부싱을 결합하므로 부싱과 아답터의 결합력을 한층 높여 부싱이 아답터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는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답터 또는 공급호스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부싱에 결합된 클립이 너트와 급수배관 측으로 외력이 전달되지 않게 하므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 교체시 공급호스를 풀지 않고 아답터로부터 필터만 교체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는, 수도전으로부터 원수가 공급되어 비데 내부로 공급되도록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직교되는 방향에 필터가 결합되도록 접속구가 구비되는 아답터;
비데의 물탱크로부터 연결된 급수배관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된 일측 단부가 아답터의 출수구에 결합되어 오링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는 부싱;
상기 부싱이 결합된 아답터의 단부에 관통형성되는 결합안내홀;
상기 결합안내홀을 통해 부싱의 결합홈으로 결합되는 클립;
상기 아답터의 접속구에 나사결합되어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싱은, 상기 출수구에 결합되는 몸체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는 오링;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클립이 결합되는 결합홈;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너트가 결합되는 결합턱;
상기 결합턱과 밀착되게 장착되어 급수배관과 너트 사이로 원수가 누수되지 않게 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클립은 부싱의 결합홈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내부가 원형으로 관통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탄성을 가지는 결합편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안내홀은 아답터 단부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2개 1조로 분리형성되어 결합안내홀을 통해 부싱의 결합홈에 대향하게 결합되면서 결합편이 서로 밀착되며, 상기 결합편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클립이 부싱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구성된다.
상기 클립은 부싱이 아답터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 상기 부싱과 너트 및 급수배관이 아답터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아답터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너트와 급수배관 측으로 외력이 전달되지 않게 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에 의하면, 아답터에 부싱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안내홀을 통해 2개 1조로 형성된 클립을 결합하여 아답터와 부싱을 결합하므로 부싱과 아답터의 결합력을 한층 높여 부싱이 아답터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에 의하면, 아답터 또는 공급호스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부싱에 결합된 클립이 너트와 급수배관 측으로 외력이 전달되지 않게 하므로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에 의하면, 필터 교체시 공급호스를 풀지 않고 아답터로부터 필터만 교체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클립이 결합안내홀을 통해 부싱의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공급호스와 급수배관이 결합되어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클립이 2개 1조로 분리구성되어 부싱에 결합된 상태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면구성도이다.
본 발명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답터(110), 너트(120), 부싱(130), 결합안내홀(140), 클립(150), 필터(160)로 구성된다.
상기 아답터(110)는 일측에는 입수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출수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입수구(111) 및 출수구(112)와 직교되는 방향에는 접속구(113)가 형성된다.
상기 입수구(111)에는 수도전으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도록 공급호스(10)가 연결되며, 상기 공급호스(10)는 니플(11)에 의해 아답터(110)의 입수구(111)에 긴밀하게 결합된다.
상기 접속구(113)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공급호스(10)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160)가 나사결합된다.
또한, 비데의 내부에는 원수를 변기 본체에 공급하여 세정하는 물탱크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물탱크에는 수도전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급수배관(20)이 설치된다.
상기 급수배관(20)의 단부에는 너트(120)와 부싱(130)이 긴밀하게 결합된다.
먼저, 상기 너트(120)는 내부가 관통형성되며 내부에 부싱(130)을 결합하여 급수배관(2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너트(120)의 일측 단부에는 부싱(130)의 결합턱(134)이 턱걸림되도록 내주면 직경보다 관통공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너트(12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급수배관(2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부싱(130)은 너트(120)의 일측에서 결합되며 부싱(130)의 일측 단부가 너트(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너트(120) 및 급수배관(20)과 일체화되고, 상기 부싱(130)의 일측 단부는 아답터(110)의 출수구(112) 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부싱(130)은 몸체(131), 오링(132), 결합홈(133), 결합턱(134), 실링부재(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31)의 일측 단부는 아답터(110)의 출수구(112)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너트(120) 내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몸체(131)의 양측 단부에는 오링(132)이 장착되어 아답터(110)의 출수구(110) 내측면과 급수배관(20)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몸체(131)의 중앙부에는 결합홈(133)이 요입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33)은 몸체(131)가 출수구(112)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결합안내홀(14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결합홈(133)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의 몸체(131)의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131)가 너트(120) 내부에 턱걸림되도록 결합턱(134)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131)에는 결합턱(134)과 밀착되도록 실링부재(135)가 장착되어 급수배관(20)과 너트(120)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안내홀(140)은 부싱(130)이 결합된 아답터(110)의 일측 단부에 관통형성되어 클립(150)이 결합되도록 하며, 부싱(130)의 결합홈(133) 직경보다 길이를 길게 장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안내홀(140)은 아답터(110) 일측 단부 외주면에 1개만 형성될 수도 있고, 2개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클립(150)은 결합안내홀(140)로 삽입되어 부싱(130)의 결합홈(133)으로 결합된다.
상기 클립(150)은 내부가 원형으로 관통되어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개구된 양측에는 탄성을 가지는 결합편(151)이 형성되어 부싱(130)의 결합홈(133)에 탄력있게 결합되어 상기 부싱(130)이 아답터(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150)은 2개 1조로 각각 분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분리된 클립(150)을 결합안내홀(140)을 통해 부싱(130)의 결합홈(133)에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분리된 클립(150)의 결합편(151)의 단부에는 걸림턱(152)이 형성되어 클립(150)과 클립(150)을 결속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클립(150)이 부싱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립(150)은 단순히 아답터(110)에 부싱(130)을 결합하는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라 부싱(130)이 아답터(110)에서 분리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일체화된 부싱(130)과 너트(120) 및 급수배관(20)이 아답터(110)로부터 회전가능하도록 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아답터(110)가 부싱(13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10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답터(110)가 움직이거나 아답터(11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부싱(130)과 너트(120) 및 급수배관(20) 측으로 외력이 전달되지 않아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부싱(130)과 너트(120) 및 급수배관(20)이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기 부싱(130)을 아답터(110)에 삽입한 후 클립(150)에 의해 결합되므로 부싱(130)과 너트(120) 및 급수배관(20) 또는 아답터(110) 중 어느 한 곳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외력이 반대 측으로 전달되지 않는 구조로서, 외력 발생시 발생할 수 있는 너트(120)와 급수배관(20) 사이의 누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100)는 필터(160)의 사용기간이 도래하여 교체할 경우, 공급호스(10)를 풀지 않고도 상기 필터(160)를 아답터(110)의 접속구(113)로부터 손쉽게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필터 연결장치
110: 아답터 111: 입수구
112: 출수구 113: 접속구
120: 너트 130: 부싱
131: 몸체 132: 오링
133: 결합홈 134: 결합턱
135: 실링부재 140: 결합안내홀
150: 클립 151: 결합편
152: 걸림턱

Claims (5)

  1. 수도전으로부터 원수가 공급되어 비데 내부로 공급되도록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직교되는 방향에 필터가 결합되도록 접속구가 구비되는 아답터;
    비데의 물탱크로부터 연결된 급수배관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된 일측 단부가 아답터의 출수구에 결합되어 오링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는 부싱;
    상기 부싱이 결합된 아답터의 단부에 관통형성되며 부싱의 결합홈 직경보다 길이를 길게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안내홀;
    상기 결합안내홀을 통해 부싱의 결합홈으로 결합되는 클립;
    상기 아답터의 접속구에 나사결합되어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가 구성되며,
    상기 부싱은, 상기 출수구에 결합되는 몸체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는 오링;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클립이 결합되는 결합홈;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너트가 결합되는 결합턱; 상기 결합턱과 밀착되게 장착되어 급수배관과 너트 사이로 원수가 누수되지 않게 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안내홀은 아답터 단부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2개 1조로 분리형성되며 부싱의 결합홈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내부가 원형으로 관통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탄성을 가지는 결합편이 구비되고, 결합안내홀을 통해 부싱의 결합홈에 대향하게 결합되면서 결합편이 서로 밀착되며, 상기 결합편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클립이 부싱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부싱이 아답터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 상기 부싱과 너트 및 급수배관이 아답터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아답터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너트와 급수배관 측으로 외력이 전달되지 않게 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KR1020190110717A 2019-09-06 2019-09-06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KR102247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17A KR102247906B1 (ko) 2019-09-06 2019-09-06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17A KR102247906B1 (ko) 2019-09-06 2019-09-06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460A KR20210029460A (ko) 2021-03-16
KR102247906B1 true KR102247906B1 (ko) 2021-05-04

Family

ID=7522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717A KR102247906B1 (ko) 2019-09-06 2019-09-06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9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1637B2 (ja) * 1995-05-19 2004-12-15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器用水タンク
KR100668762B1 (ko) * 2004-06-15 2007-02-07 주식회사 피코그램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KR200360715Y1 (ko) 2004-06-15 2004-09-01 주식회사 피코그램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460A (ko)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142B2 (en) Flow quantity regulator
KR200463219Y1 (ko) 스텐관 연결 이음쇠
KR102247906B1 (ko)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RU2461763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KR200452369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102315271B1 (ko) 지수기능을 갖는 비데의 필터 연결장치
KR20150066743A (ko) 보일러 연료관의 배관밸브
KR200409417Y1 (ko) 수전 배관연결 밸브
JP2001324069A (ja) 弁装置の管接続構造
KR100278579B1 (ko) 밸브기능을 갖는 관체 연결구
KR200182941Y1 (ko) 수도꼭지 어셈블리의 유동호스 결합구조
KR200167013Y1 (ko) 세탁기 급수호스의 체결장치
KR101021884B1 (ko) 워터햄머 흡수기용 밸브조립체
KR200478638Y1 (ko) 튜빙관 중간 연결체
KR200304125Y1 (ko) 세탁기의 급수호스 연결용 어댑터
KR200294275Y1 (ko) 세탁기용 호스 연결구
KR0134506Y1 (ko) 수전기에 부착사용하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지수장치기
KR100432396B1 (ko) 자동호스의 제작 방법
KR200390670Y1 (ko) 일체형 배관용 어댑터
KR200440774Y1 (ko)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213122Y1 (ko) 호스 연결구가 구비된 수도꼭지
KR200180778Y1 (ko) 세탁기전용 수도꼭지
KR200360559Y1 (ko) 스프링쿨러 헤드용 결합부재
KR200297534Y1 (ko) 수도꼭지 토출구의 구조
KR100609888B1 (ko) 수도계량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