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057Y1 - 고려 잣나무 베개 - Google Patents

고려 잣나무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057Y1
KR200216057Y1 KR2020000014340U KR20000014340U KR200216057Y1 KR 200216057 Y1 KR200216057 Y1 KR 200216057Y1 KR 2020000014340 U KR2020000014340 U KR 2020000014340U KR 20000014340 U KR20000014340 U KR 20000014340U KR 200216057 Y1 KR200216057 Y1 KR 200216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pillow
kinds
head
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
Original Assignee
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 filed Critical 노영
Priority to KR2020000014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057Y1/ko

Link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베개는 잣나무로 만들어 딱딱한 나무 베개를 목 부분(경추 3-4번)에 대고 자는 것으로 목 부분은 머리와 몸통이 연결되는 곳일 뿐 아니라 뇌신경과 척추신경의 중계소이기 때문에 딱딱한 나무 베게에 의해서 목 부분을 바르게 하고 뒷통수의 뼈를 강화시키며 목 부위 만곡을 해부학적으로 정상적인 상태로 돌려놓게 되는 바 즉 경추의 교정이 가능해져 두통이나 어깨가 뻣뻣하고 저린데, 목 부위의 신경통, 두통, 치통, 팔의 통증과 손의 저린 증상, 어깨결림, 귀·눈·코 및 손의 질병까지도 치유될 뿐 아니라 치아, 갑상선, 심장, 폐위 등의 건강과 머리 부분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특히 32개종의 한약재를 베개 속에 넣음으로써 이 베개를 베고 자면 100일이 지나면 몸에 윤기가 나고 병이 잘 생기지도 않고 눈과 귀가 맑고 밝아진다. 단오절이나 7월 7석 날에 깊은 산 속의 잣나무를 베어 반으로 쪼개어 반원으로 만들어 가운데는 속을 비게 하며 통침으로 짜서 그 속은 서랍식으로 여닫을 수 있게 하고 베고 자는 윗 부분에(목이 닿는 부분) 세줄로 40개의 구멍을(목이 닿는 부분 중 중앙중심) 1cm간격으로 뚫고 서랍 속엔 32가지 한약재를 넣는다. 이 베개를 목덜미의 움푹 들어간 곳(경추 3-4)에 대고 위를 보고 자면 된다. 오두, 부자, 여로, 조협, 망초, 반석, 반하, 세신등 8가지 한약재를 먼저 각각 한량(37.5g)씩 썰어 넣고 그 위쪽에 나머지 아래와 같은 24가지 약재를 넣는다.
24가지 약재명은 건강, 계피, 고본, 관동화, 길경, 당귀, 두충, 목향, 무이, 방풍, 백미, 백복령, 백실, 백지, 백출, 백렴, 신이, 육종용, 의이, 인삼, 진초, 천궁, 천초, 형실 등이다.

Description

고려 잣나무 베개{Korea Pine-Nuts Tree Pillow}
고안의 목적은 한약재를 넣은 베개를 장기간 베고 잠을 잠으로써 몸에 윤기가 나고 몸에 병기 없고 향기가 나며 이가 좋아지고 눈과 귀가 맑고 밝아지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 사람들은 베개가 인간의 건강 유지에 상당히 중요하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그러나 좋은 베개는 인체의 건강을 유지할 뿐 아니라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베개가 생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베개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또한 몇몇 베개에 대한 연구는 베개의 통기성, 흡수성, 방열성, 탄력성 등의 베개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어 왔다.
본 고안은 한약재를 넣어 건강을 증진시키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베개는 잣나무로 만들어 딱딱한 나무 베개를 목 부분(경추 3-4번)에 대고 잠으로써(목 부분은 머리와 몸통이 연결되는 곳일 뿐 아니라 뇌신경과 척추신경의 중계소이기 때문에) 딱딱한 나무 베개에 의해서 목 부분을 바르게 하고 뒷통수의 뼈를 강화시키며 목 부위만곡을 해부학적으로 정상적인 상태로 돌려놓게 되는 바 즉 경추의 교정이 가능해져 두통이나 어깨가 뻣뻣하고 저린데, 목 부위의 신경통, 두통, 치통, 팔의 통증과 손의 저린 증상, 어깨 결림, 귀·눈·코 및 손의 질병까지도 치유될 뿐 아니라 치아, 갑상선, 심장, 폐위 등의 건강과 머리 부분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잠을 자는 것은 최대의 휴식이며 건전지의 충전과 같다고 하겠다. 보통 부드러운 베개는 후두부의 돌출된 부분에 대지만 딱딱한 나무 베개를 목에 베고 자면 폐나 심장 부위가 부자유스러운 압박을 받지 않게 해줄뿐 아니라 기능을 촉진시켜 주고 피부기능과 혈액의 순환을 양호하게 함으로 쾌면은 물론 충전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목 부분의 휘어진 부분에 딱딱한 나무베게를 베고 자면 그 휘어진 것을 바르게 유지시켜 준다. 평소 흔히 사용하는 부드러운 베개는 머리 뒷부분(뒷통수)에 베고 자기 때문에 목 부분 강화 효과는 전혀 기대할 수 없다. 특히 목이 굽은 사람은 경추에 고장이 있는 사람이며 그런 사람은 경추부분 정맥이 부풀어올라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목이 휘어져 있으면 자세가 나빠지며 바른 자세를 유지하려면 딱딱한 베개를 사용해야 한다.
딱딱한 나무베개는 베개의 압박에 의해서 혈관의 횡단 면적이 반으로 줄며 흐름의 속도는 배가 되고 혈류의 속도에 가속도가 붙는다. 그러므로 혈관 내에 끼어 있던 불순물이 씻겨 나가서 머리가 가벼워진다.
목과 머리의 혈액순환이 잘되고 목을 튼튼하게 해줄 뿐 아니라 미주 신경기능을 좋게 하여 뇌의 피로를 회복시켜주고 또한 갑상선 호르몬선의 기능을 강화시켜주며 오장 육부의 기능을 튼튼하게 한다. 그리고 어깨가 뻣뻣하거나 목 부위의 신경통, 두통, 치통에 효과가 있으며 경추의 부탈구가 교정되어 경부의 동통, 팔의 통증이나 저린 증상 등을 낫게 한다.
* A형, B형, C형, D형을 구분한 이유(4개형의 필요성)본 베개는 목 뒤쪽에 대는 것으로 사람의 체형(비만, 외소형), 연령 등에 따라 각기 적당한 높·낮음을 알맞게 하기 위한 것으로 높이와 폭을 4가지로 구분함.* 4가지 유형의 구분(높이 : 폭)- A형(65Cm : 11Cm)- B형(70Cm : 12Cm)- C형(75Cm : 13Cm)- D형(80Cm : 14Cm)
(가)는 본고안의 투시도
(나)는 본고안의 평면도 축척 ⅓
(다)는 정면도 축척 ⅓
(라)는 측면도 축척 ⅓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본 고안의 투시도(가)에는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이 표기되어 있음.(1) 서랍: 한약재 투입구(한약재 적재함)(2) 구멍: 한약 적재함에서 상단부로 연결된 약기운 순환 통로(서랍에 넣은 약기운이 목부위에 전달되도록 함)(3) 통침: 나무를 쪼개 붙여 만들지 않고 잣나무의 통나무로 만듬(4) 베개높이: 하단부와 상단부까지의 높이 A형 65Cm, B형 70Cm, C형 75Cm, D형 80Cm(5) 베개폭: A형 11Cm, B형 12Cm, C형 13Cm, D형 14Cm
단오절이나 7월 7석 날에 깊은 산 속의 잣나무를 베어 반으로 쪼개 반원으로 만들어 가운데는 속을 비게 하여 통침(3)으로 짜서 그 속을 서랍(1) 식으로 여닫을 수 있게 하고 베고 자는 윗부분 뚜껑엔 세줄로 40개의 구멍(2)을(윗부분 중앙을 중심으로) 1cm 간격으로 좁쌀 만하게 뚫는다. 그리고 서랍(1) 속엔 다음의 32가지의 한약재를 넣는다. 베개를 비는 방법은 상기의 잣나무 베개를 목덜미의 움푹 들어간 곳에 댄다. 정확히 경추 3-4번에 대고 똑바로 위를 보고 자면 된다.
약재는 오두(烏頭), 부자(附子), 여로(黎蘆), 조협(莢), 망초(莽草), 반석(礬石), 반하(半夏), 세신(細辛) 등 8가지 약재를 먼저 각각 한량(37.5g)씩 썰어 넣고 그 위에 나머지 다음과 같은 24가지 약재를 넣는다. 24가지 약재명은 건강(乾薑), 계피(桂皮), 고본(藁本), 관동화(款冬花), 길경(桔梗), 당귀(當歸), 두충(杜沖), 목향(), 무이(無荑), 방풍(防風), 백미(白薇), 백복령(百茯), 백실(柏實), 백지(白芷), 백출(白朮), 백렴(白), 신이(辛夷), 육종용(肉蓉), 의이(薏苡), 인삼(人蔘), 진초(秦椒), 천궁(川芎), 천초(川椒), 형실( 實)이다.
목 부분은 머리와 몸통이 연결되는 곳이며 뇌신경과 척추신경의 중계소이기 때문에 딱딱한 베개에 의해서 목부분을 바르게 고칠 수 있다. 딱딱한 나무베개를 경추 3~4번(목 부분)에 대고 반듯이 누음으로써 뒤통수의 뼈를 강화시키고 목 부위의 만곡을 해부학적으로 정상적인 상태로 돌려놓는다. 즉 경추의 교정으로 두통, 어깨가 뻣뻣하거나 저린데, 목 부위의 신경통, 두통, 치통, 팔의 통증이나 저린 증상, 어깨 결림, 손·귀·눈·코의 질병이 말끔히 치유되고 치아, 갑상선, 심장 폐위 등의 건강과 머리 부분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특히 32개종의 한약재를 베개 속에 넣음으로써 이 베개를 비고 자면 100여 일이 지나면 몸에 윤기가 나고 병이 생기지 않을 뿐 아니라 몸에선 향기가 나고 눈과 귀가 맑고 밝아진다.

Claims (1)

  1. 잣나무를 베어 반으로 쪼개어 반원으로 만들어 가운데는 속을 비게하며 통침(3)으로 짜서 그 속은 서랍식으로 여닫을 수 있게 하고 베고 자는 윗부분에 세줄로 40개의 구멍(2)을 1cm 간격으로 뚫고 서랍(1) 속엔 32가지의 한약재를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려잣나무 베개.
KR2020000014340U 2000-05-20 2000-05-20 고려 잣나무 베개 KR200216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340U KR200216057Y1 (ko) 2000-05-20 2000-05-20 고려 잣나무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340U KR200216057Y1 (ko) 2000-05-20 2000-05-20 고려 잣나무 베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543A Division KR20010106680A (ko) 2000-05-22 2000-05-22 고려 잣나무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057Y1 true KR200216057Y1 (ko) 2001-03-15

Family

ID=7305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340U KR200216057Y1 (ko) 2000-05-20 2000-05-20 고려 잣나무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0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278B1 (ko) 2007-07-26 2008-10-15 이은영 기능성 지승 경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278B1 (ko) 2007-07-26 2008-10-15 이은영 기능성 지승 경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Ling Shu: or the spiritual pivot
KR20010106680A (ko) 고려 잣나무 베개
KR200216057Y1 (ko) 고려 잣나무 베개
WO2014194720A1 (zh) 一种符合不同体型人生理曲度的全能颈椎养护修复枕头
Lo Tracking the Pain: Jue a, b, c and the formation of a theory of circulating qi d through the channels
CN107126031A (zh) 一种颈椎养护保健枕
CN201135679Y (zh) 医用治疗失眠枕
CN204378668U (zh) 一种保健枕头
CN104586165B (zh) 一种新型茶香醒目枕
CN204970594U (zh) 一种新型颈椎保健枕
CN201523906U (zh) 舒柔护颈枕
CN201414638Y (zh) 一种五腔连体保健枕芯
CN206006723U (zh) 一种具有保护颈椎的保健枕头
CN201332905Y (zh) 一种保健药枕
KR200162500Y1 (ko) 척추교정겸용 베개
CN2415689Y (zh) 头颈矫治器
CN206836713U (zh) 一种中草药颈椎曲度保健枕
CN106724518A (zh) 一种中草药颈椎曲度保健枕
CN203059133U (zh) 一种保健枕头
CN201171555Y (zh) 一种枕头
CN211536201U (zh) 中药保健午睡枕
CN204862330U (zh) 新型保健枕
CN208552169U (zh) 保健枕及颈椎治疗组件
CN207236575U (zh) 一种组合保健耳枕
CN2532764Y (zh) 健康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