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278B1 - 기능성 지승 경침 - Google Patents

기능성 지승 경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278B1
KR100863278B1 KR1020070075230A KR20070075230A KR100863278B1 KR 100863278 B1 KR100863278 B1 KR 100863278B1 KR 1020070075230 A KR1020070075230 A KR 1020070075230A KR 20070075230 A KR20070075230 A KR 20070075230A KR 100863278 B1 KR100863278 B1 KR 10086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korean
pillow
ligh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이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영 filed Critical 이은영
Priority to KR102007007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능성 지승 경침은 외주면에 가로줄과 세로줄을 교차시켜 직조함으로써 규칙 또는 불규칙한 돌출부위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위는 사용자에게 자연적인 지압효과를 줄 수 있으며, 그 외부면을 옻칠로 도포하여 방충 및 항균효과를 가져옴에 따라 제품의 기능성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성재료로 천연제품만을 사용함으로써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호르몬의 차단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70075230
경침부, 통공, 표층부, 가로줄, 세로줄, 돌출부, 측면 마감재, 코팅층, 방향제

Description

기능성 지승 경침{A multi-functional korean pillow}
본 발명은 기능성 지승 경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주로 목뼈를 바로 잡아주기 위해 사용되는 경침에 부가적으로 피로회복 및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지압효과와 방충 및 항균효과를 겸비한 기능성 지승 경침에 관한 것이다.
경침이라 함은 오동나무나 버드나무 등를 원통형으로 가공하여 만든 베개류를 말하며, 예로부터 수면 중에 어긋난 목뼈를 바로 잡아주기 위한 기능성 제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경침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약지 길이 정도까지 올라오도록 하고, 사용자가 누었을 때 목덜미의 움푹 들어간 곳을 받쳐 주어 목뼈를 C형으로 만들어 경추 3번과 4번을 바로 잡아 주도록 하며, 주로 푹신한 침대보다는 딱딱한 평상에 사용하였을 경우 그 효과가 최대한 발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침의 효과로는 목뼈가 어긋남으로써 생길 수 있는 목 디스크, 갑상선질환, 팔 저림, 기억력 저하, 두통 등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학생 및 직장인들의 경우 불규칙한 자세로 인하여 경추가 제 위치를 이탈하게 되어 디스크를 유발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상기한 경침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경침은 주로 경추의 자세교정에 관한 효과만 갖고 있을 뿐 그 외 다른 기능성 효과, 예를 들어 현대사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압과 같은 효과는 갖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 경침은 장기간 사용시 사용자 두피 등의 피부로부터 방출되는 각종 유기물들이 경침의 표면 및 그 내부로 축적이 되어 지저분해지는 미관상 불쾌감을 일으키게 되고, 심지어는 경침의 표면 및 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피부로부터 방출된 유기물 등의 노폐물을 분해시키기 위한 미생물(세균) 등의 번식으로 인하여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목뼈를 바로 잡아주는 효과 뿐만 아니라 피로회복 및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지압효과와 방충 및 항균효과를 겸비한 기능성 지승 경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나무 또는 지관 등으로 가공되어 내부에서 받침의 기능을 하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경침부와; 상기 경침부의 외주면을 따라 지승노끈으로 이루어진 각각 한겹 이상의 가로줄 및 세로줄을 서로 교차하며 연속적으로 직조시켜 규칙 또는 불규칙한 돌출부를 갖는 표층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승 경침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층부는 옻칠을 통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승 경침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내부에서 받침의 기능을 하는 경침부는 외부와 관통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표층부를 통하여 외기와 통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승 경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경침부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공간부 내에는 소정의 향기발산제 또는 천연방부제 등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능성 지승 경침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지승 경침은 외주면에 가로줄과 세로줄을 교차시켜 직조함으로써 규칙 또는 불규칙한 돌출부위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위는 사용자에게 자연적인 지압효과를 줄 수 있으며, 그 외부면을 옻칠로 도포하여 방충 및 항균효과를 가져옴에 따라 제품의 기능성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성재료로 천연제품만을 사용함으로써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호르몬의 차단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이라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침을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침은 오동나무, 버드나무, 향나무, 참나무, 대나무 등의 나무를 가공하거나, 종이를 가공하여 지관의 형태로 제작된 경침부(10)와, 상기 경침부(10)의 외주면에 지승공예에 의해 제작된 가로줄(21) 및 세로줄(22)을 서로 교차하며 직조하여 형성된 표층부(2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경침부(10)는 종래 경침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베게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형상으로, 주로 원통형이 경침이 많이 사용되기는 하나, 이러한 원통형 뿐만 아니라, 직육면체, 반원통형, 육각기둥형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반드시 도면의 도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경침부(10)는 목재의 중량감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그 내부는 빈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부(20)는 소정의 굵기와 길이를 갖는 한겹 이상의 가로줄(21)과 세로줄(22)을 경침부(1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교차하면서 연속적으로 직조하여 형성되며, 상기 가로줄(21)과 세로줄(22)은 한지를 좁다랗고 길게 절단한 다음 두개 이상을 서로 비벼 꼬아 만든 우리나라 전통방식의 지승노끈이 사용된다.
이러한 가로줄(21)과 세로줄(22)의 직조방식에 따라 표층부(20)는 규칙 또는 불규칙한 돌출부(25)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돌출부(25)는 본 발명의 경침을 사용시 사용자의 신체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피로회복 및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지압효과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좀 더 이해를 돕고자, 한겹의 가로줄(21)에 대하여 두겹의 세로줄(22)을 서로 교차하여 직조하는 것을 하나의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 세로줄(22a)은 제1 가로줄(21a)의 하단을 지나 제2 가로줄(21b)의 상단과 제3 가로줄(221c)의 하단을 번갈아 가며 지나도록 하고, 제2 세로줄(22b)은 반대로 제1 가로줄(21a)의 상단을 지나 제2 가로줄(21b)의 하단과 제3 가로줄(221c)의 상단을 번갈아 가며 지나도록 하되, 상기 제1 세로줄(22a)과 제2 세로줄(22b)은 각 가로줄(21a,21b,21c)에 대하여 좌·우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번갈아가면서 꼬아 ∞형으로 교차시켜 직조시킨다. 이를 통하여 한겹의 세로줄(22)에 두겹의 가로줄(21)을 서로 교차하여 직조할 경우 직조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방법으로 직조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직조함에 따라, 각각의 가로줄(21a,21b,21c) 및 세로줄(22a,22b)이 서로 교차하며 만나는 부분은 다른 비교차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외부로 더 돌출되면서 돌출부(25)를 자연스럽게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층부(20)의 돌출부(25)에 의한 지압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각각의 가로줄(21a,21b,21c) 및 세로줄(22a,22b)에 사용되는 지승공예 노끈이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다른 굵기를 갖는 것을 제공한다.
이는 서로 교차 직교되는 각각의 가로줄(21a,21b,21c)과 세로줄(22a,22b,22c)에 사용되는 지승공예 노끈의 굵기를 달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굵기를 갖는 노끈은 그 굵기에 의해 돌출부(25)가 더 높아지도록 하며, 반대로 상대적으로 작은 굵기를 갖는 노끈은 상기 돌출부(25)를 더욱 도드라지게 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직조방법에 적용하여 설명하자면, 제1,3 가로줄(21a,21c) 및 제2 세로줄(22b)은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의 지승노끈을 사용하고, 제2 가로줄(21b) 및 제1 세로줄(22a)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지승노끈을 사용하게 되면, 제1,3 가로줄(21a,21c)과 제2 세로줄(22b)이 만나는 부분은 동일한 직경의 지승노끈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훨씬 높은 돌출부(25)를 형성하게 되고, 제2 가로줄(21b)과 제1 세로줄(22a)이 만나는 부분은 동일한 직경의 지승노끈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그 높이가 훨씬 낮아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돌출부(25)의 높이는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 가로줄(21a,21b,21c)과 세로줄(22a,22b)에 사용되는 지승노끈을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돌출부(25)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지승노끈의 평균직경은 1.5~3㎜로서, 이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노끈을 사용한다.
다만, 전술한 직조방식에 의해 가로줄(21a,21b,21c)에 대하여 각각의 세로줄(22a,22b)을 서로 규칙적으로 교차시켜 돌출부(25)가 일정한 패턴을 갖고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일 뿐, 다른 예시로서 가로줄(21a,21b,21c)에 대하여 각각의 세로줄(22a,22b)을 임의적인 순서로 교차시켜 그 돌출부(25)를 불규칙하게 형성하거나, 가로줄(21a,21b,21c)과 세로줄(22a,22b)에 사용되는 지승노끈을 모두 한겹 또는 모두 두겹으로 하여 직조할 수 있음은 물론, 지승공예에 사용되는 모든 방법들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경침부(10)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색깔이나 문양을 갖는 측면 마감재(30)를 부착하여 표층부(20)로부터 빠져나온 가로줄(21)과 세로줄(22)을 마감처리하여 외향적으로도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침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의 구성을 갖는 경침에 있어서, 상기 표층부(20)의 외주면에 옻칠을 통한 코팅층(40)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옻칠의 주원료가 되는 옻나무 수액은 예로부터 사용되는 전통도료로서 방수효과는 물론 방충 및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코팅층(40)에 적용함에 따라 경침 내에 곰팡이 등과 같은 유해한 미생물이 서식 및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제품을 제공하며, 옻칠 특유의 색감과 광택으로 인하여 그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코팅층(30)에 사용되는 옻칠도료는 불순물 및 수분을 제거한 옻칠도료에 용제로서 송정유(생송진)를 8:2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이와 같이 제조된 옻칠도료를 표층부(20)의 상면에 골고루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시킨 뒤 30℃의 온도와 80%의 습도를 갖는 건조실에서 24시간 건조함으로써 코팅층(30)을 형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침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구성을 갖는 경침에 있어서, 상기 경침부(10)에 외부와 관통된 통공(11)을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아울러 경침부(10)의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소정의 방향제(50)를 내장 또는 충진시킨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먼저, 이와 같이 경침부(10)에 형성된 통공(11)은 외부 공기의 유입과 내부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외부의 시원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경침과 사용자 신체의 밀착부위에 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경침부(10)의 내부 공간부에 향기발산물질 또는 천연방부물질을 포함하는 방향제(50)를 내장시킴으로써, 방향제에서 발산되는 향 성분에 의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숙면에 도움을 줄 수도 있고 방부효과로 인한 주는 재료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방향제(50)로는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체에 유익한 방향제 성분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아로마, 로즈마리, 모카골드, 페퍼민트, 쟈스민, 아네톨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 한약재로서 그 향이 좋거나 방부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박하, 용뇌, 당귀, 백지, 정향, 목향, 곽향, 팔각향, 자단향, 천궁, 모과, 인진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경침은 우리나라 전통제품인 지승노끈을 가로 및 세로로 서로 교차시켜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돌출부를 갖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자연적인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외부면을 옻칠로 도포하여 방충 및 항균효과를 가져옴에 따라 제품의 기능성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성재료로 천연제품만을 사용함으로써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호르몬의 차단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침을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침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침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경침부
11 : 통공
20 : 표층부
21 : 가로줄 22 : 세로줄
25 : 돌출부
30 : 측면 마감재
40 : 코팅층
50 : 방향제

Claims (5)

  1. 나무 또는 지관을 가공하여 내부에서 받침의 기능을 갖도록 제작된 경침부와;
    상기 경침부의 외주면을 따라 지승노끈으로 이루어진 각각 한겹 이상의 가로줄 및 세로줄을 서로 교차하며 연속적으로 직조시켜 규칙 또는 불규칙한 돌출부를 갖는 표층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승 경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층부를 구성하는 가로줄 및 세로줄에 사용되는 지승공예 노끈이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다른 굵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승 경침.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층부에는 옻칠을 통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승 경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침부에는 외부와의 통기를 위하여 관통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승 경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침부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공간부 내에는 소정의 향기발산제 또는 천연방부제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승 경침.
KR1020070075230A 2007-07-26 2007-07-26 기능성 지승 경침 KR100863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230A KR100863278B1 (ko) 2007-07-26 2007-07-26 기능성 지승 경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230A KR100863278B1 (ko) 2007-07-26 2007-07-26 기능성 지승 경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278B1 true KR100863278B1 (ko) 2008-10-15

Family

ID=4015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230A KR100863278B1 (ko) 2007-07-26 2007-07-26 기능성 지승 경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23Y1 (ko) * 2009-08-31 2012-05-29 김재성 목베개
CN104545163A (zh) * 2015-01-27 2015-04-29 紫罗兰家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仿藤席科技包裹纸和绳子的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057Y1 (ko) 2000-05-20 2001-03-15 노영 고려 잣나무 베개
JP2003319859A (ja) * 2002-04-30 2003-11-11 Kimura:Kk 木製健康枕
KR200387384Y1 (ko) 2005-03-21 2005-06-17 박경자 베개 구조체
KR200394735Y1 (ko) 2005-06-18 2005-09-05 안순식 통대나무 맛사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057Y1 (ko) 2000-05-20 2001-03-15 노영 고려 잣나무 베개
JP2003319859A (ja) * 2002-04-30 2003-11-11 Kimura:Kk 木製健康枕
KR200387384Y1 (ko) 2005-03-21 2005-06-17 박경자 베개 구조체
KR200394735Y1 (ko) 2005-06-18 2005-09-05 안순식 통대나무 맛사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23Y1 (ko) * 2009-08-31 2012-05-29 김재성 목베개
CN104545163A (zh) * 2015-01-27 2015-04-29 紫罗兰家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仿藤席科技包裹纸和绳子的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278B1 (ko) 기능성 지승 경침
KR100846165B1 (ko) 건강 베개
JP4796912B2 (ja) 両面カット模様付木板材
CN205306516U (zh) 一种保健理疗坐垫
CN201157520Y (zh) 一种按摩垫
KR100798888B1 (ko) 황토 흙을 이용한 실내장식품 및 그 이용방법
CN204048956U (zh) 一种香薰蚕丝被
KR20140003148U (ko) 피톤치드 베개
JP2019217181A (ja) 杉材利用の健康用具
DE2007860A1 (de) Strumpf, insbesondere Medizinaistrumpf
CN109316002A (zh) 枕头用药用木材填充材料及包含该填充材料的枕头
KR200402627Y1 (ko) 목침
KR200389629Y1 (ko) 건강베개
CN204970620U (zh) 罗布麻枕芯
KR200197593Y1 (ko) 천연옥이 부설된 안대
KR200334906Y1 (ko) 건강베개
KR20000006987A (ko) 침구류
KR200438557Y1 (ko) 해충퇴치기능을 가진 침대용 매트리스
CN208105748U (zh) 一种多层防水复合地板的结构
KR102176627B1 (ko) 라텍스 요
KR200307076Y1 (ko) 토르마린이 함유된 침구류 커버부재를 이용한 침구
DE10119259B4 (de) Massagemütze
CN1188626A (zh) 一种生态保健被
TWM645242U (zh) 天然香草複方精油貼片
KR20080006257U (ko) 편백나무원목을 재료로 한 편백나무원목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