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828Y1 - 양변기의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828Y1
KR200215828Y1 KR2020000028099U KR20000028099U KR200215828Y1 KR 200215828 Y1 KR200215828 Y1 KR 200215828Y1 KR 2020000028099 U KR2020000028099 U KR 2020000028099U KR 20000028099 U KR20000028099 U KR 20000028099U KR 200215828 Y1 KR200215828 Y1 KR 200215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pper
urine
toile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하
Original Assignee
이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하 filed Critical 이진하
Priority to KR2020000028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828Y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수조에 장치하여 소변시에 적은양으로 물로써 세척할 수 있는 양변기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조내부에 마개(2)와 대변레버(4)로 구성된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지주봉(6)에 상하로 승하강되는 유동구(7)를 장치하고 걸림구(11)에 의하여 유동구(7)가 상부에서 걸려지지되고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마개(2)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절수장치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소변시 적은양의 물로써 세척이 가능하며, 대.소변시 버튼의 조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절수장치{WATER SAVING DECIVE OF A CHAMBER POT}
본 고안은 양변기의 수조에 장치하여 수조내의 세척수를 변기내로 유출시켜 용변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소변시에 소량의 세척수만을 유출되게 하여 절수효과가 있도록 한 양변기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재래식 양변기는 수조의 하단에 위치된 유출구를 개폐 할 수 있도록된 마개와, 수조상부 외측에 장치되고 상기 마개와 당김줄에 의하여 연결된 작동레버로 구성하여서, 작동레버를 조작하면 마개가 상승되어 유출구가 개방되면서 수조내의 세척수가 변기 내의 용변을 세척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재래식 양변기의 슈조는 소변시에도 수조내부의 세척수가 전량 유출되므로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가 있었다.
즉, 소변시에는 소량의 세척수만으로도 변기 내부를 세척할 수 있으나, 하나의 작동레버에 의하여 대소변 구분없이 수조내의 세척수가 전량유출되므로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초래하였다.
근래에는, 대·소변에 따라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높이가 낮은 유출구와, 높이가 높은 유출구를 각각 구성하고 대변시에는 높이가 유출구로 수조내의 세척수 전량이 유출되며, 소변시에는 높이가 높은 유출구로 세척수가 유출되므로 소변시에 유출구의 수위 하방에 위치되는 세척수는 유출되지 않고 수조내에 잔존되게 하므로서 절수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소변시에 높게 위치된 유출구를 통하여 세척수가 유출되므로 소량이 유출되기는 하나 변기내로 유출될때에 충분한 수압이 작용되지 못하여 세척효과가 미흡하였다. 즉 변기 내벽에 묻어있는 소변을 세척하기 위하여는 세척수가 변기로 유입될때에 일정한 수압이 작용되어야 하나 높게 위치된 유출구를 통하여 수위에 근접된 위치의 세척수만이 유출되므로 충분한 수압이 작용되지 못하므로서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된 대·소변레버가 각각 좌우방향으로 조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향을 오인하거나 습관적으로 대변레버만을 조작하게되므로 실효성이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대·소변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세척수의 유출을 조작하여 소변시에 적은양의 세척수만으로 변기내부를 세척하므로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대변레버에 소변레버를 누름식으로 장치하여 사용자가 소변레버를 정확하게 선택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마개 3 : 대변레버 6 : 지지봉 7 : 유동구
11 : 걸림구 23 : 방향전환레버 24, 25 : 당김줄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랄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W)의 하방에 유출구(1)를 개폐하는 마개(2)가 지축(3)을 지점으로 유동되게 장치하고 수조(W)의 상부에 장치된 대변레버(4)에 연결된 당김끈(5)의 하단부를 마개(2)에 연결한다.
또한, 수조(W) 내부에 상하길이방향으로 장치된 지주봉(6)의 상부측에 유동구(7)을 상하로 이동되게 장치하고 유동구(7)의 상하이동되는 위치에 정지구(8)를 고정하며, 유동구(7)의 하방에 가압봉(10)을 고정한다.
그리고, 지주봉(4)의 상부측에 걸림구(11)를 유동되게 장치하고 걸림구(11)의 하방에 형성된 걸림돌기(11a)를 유동되게 장치하여 상기 유동구(7)의 끝단부에 걸림돌기(11a)가 걸려지지되도록 장치한다.
상기 대변레버(4)의 내측에 스프링(21)에 의하여 탄동되는 소변버튼(22)을 장치하고 소변버튼(22)의 끝단부에 연결된 방향전환레버(23)에 마개당김줄(24)과 걸림구당김줄(25)을 각각 연결하여 마개당김줄(24)의 끝단부를 상기 마개(2)에 연결하고 걸림구당김줄(25)의 끝단부를 상기 걸림구(11)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대변레버(4)를 작동시키면 마개(2)가 상부로 이동되어 유출구(1)가 개방되므로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소변버튼(22)을 누르면 마개당김줄(24)과 걸림구당김줄(25)이 상부로 당겨지면서 마개(2)가 개방됨과 동시에 걸림구(11)가 상부로 이동되어 걸림돌기(11a)가 유동구(7)로부터 이탈되므로 유동구(7)가 하강되는 수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며, 가압봉(10)이 마개(2)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마개(2)가 닫히는 것이다. 즉, 수면의 하강에 따라 가압봉(10)이 마개(2)를 신속하게 하강시키므로 수조(W)내부에 물이 잔존된 상태에서 유출구(1)가 차단되는 것으로, 잔존선 물이 절약되는 것이다.
하부로 이동되는 유동구(7)는 정지구(8)에 의하여 더이상의 하강이 제지된다.
수조(W)내에 물이 복귀되면 수면을 따라 유동구(7)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자종에 의하여 정위치된 걸림구(11)의 걸림돌기(11a)를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정위치에 놓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변시에도 대변시와 같은 동일한 수압으로 물이 유출되므로 적은양으로 세척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소변버튼을 사용하기 때문에 대·소변의 구열을 명확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소변시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방지하므로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수조내부에 마개(2)와 대변레버(4)로 구성된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지주봉(6)에 상하로 승하강되는 유동구(7)를 장치하고 걸림구(11)에 의하여 유동구(7)가 상부에서 걸려지지되고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마개(2)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식 양변기 수조.
  2. 대변레버(4)가 장치된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스프링에 의하여 탄동되는 소변버튼(4)을 상기 대변레버(4)의 중앙에 장치하고 소변버튼(4)의 끝단부에 방향전환레버(23)를 장치하여 각각의 당김줄(24)(25)을 마개(2)와 걸림구(11)에 각각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식 양변기 수조.
KR2020000028099U 2000-10-09 2000-10-09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215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099U KR200215828Y1 (ko) 2000-10-09 2000-10-09 양변기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099U KR200215828Y1 (ko) 2000-10-09 2000-10-09 양변기의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828Y1 true KR200215828Y1 (ko) 2001-03-15

Family

ID=7308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099U KR200215828Y1 (ko) 2000-10-09 2000-10-09 양변기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8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5148B1 (en) Water-saving device for a toilet having a sink with a float-operated drain valve
JP2010531399A (ja)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KR200215828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191298Y1 (ko) 절수변기
KR200206147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100945394B1 (ko) 세면대 배출구
KR101010343B1 (ko) 양변기
KR200206146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251243Y1 (ko) 양변기의 배수량조절장치
KR101009369B1 (ko)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KR200287466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CN212715211U (zh) 坐便器
CN109881751B (zh) 一种预存水马桶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JP4304817B2 (ja) 便器洗浄用給水装置
KR101108715B1 (ko)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CN109881752B (zh) 一种预存水马桶
KR100897560B1 (ko) 양변기의 물탱크를 개폐하는 물덮개
KR200262721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11536Y1 (ko) 양변기 절수장치
KR200331938Y1 (ko) 절수형 양변기
KR19990036029U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301112Y1 (ko) 절수용 사이폰
KR200243363Y1 (ko) 중수를 이용한 절수형 양변기
JP2002021145A (ja) 中水仕様の洗浄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