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807Y1 - 자동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807Y1
KR200215807Y1 KR2020000027473U KR20000027473U KR200215807Y1 KR 200215807 Y1 KR200215807 Y1 KR 200215807Y1 KR 2020000027473 U KR2020000027473 U KR 2020000027473U KR 20000027473 U KR20000027473 U KR 20000027473U KR 200215807 Y1 KR200215807 Y1 KR 200215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draulic pressure
hydraulic
couple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2020000027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807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의 낭비를 최소화 하도록 하는 자동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직경이 서로다른 3개의 변(弁)을 가지며, 3개의 변중 어느 하나의 변이 수전금구에 결합되어 물을 공급받고 다른 하나의 변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욕조쪽에 직수하도록 된 직수고정금구; 직경이 가장 작은 다른 하나의 변에 결합되어 직수고정금구 내의 수압을 전달하는 수압전달수단; 수압전달수단에 결합되며 욕조의 수위에 따라 수압로를 개방 및 폐쇄하여 수압의 기밀을 해제 또는 유지시키는 수위감지작동수단; 직수고정금구 내부에 설치되며 수위감지작동수단의 기밀유지 및 해제에 따른 수압에 의해서 욕조쪽을 향해 직수하는 변쪽으로 이동 또는 원위치하여 직수유로를 차단, 개방하여 주는 직수유로차단수단; 직수고정금구의 작동간결합구에 결합되며 직수유로가 폐쇄되었을 때, 눌림작용에 의해 직수유로차단수단을 원위치시켜 직수유로를 개방시키는 유로초기화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욕조 이외에 부피가 작은 여러 용도의 탱크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하여 확실한 절수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절수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WATER SAVING}
본 고안은 가정, 일반 숙박업소 및 호텔 등의 욕조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조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욕조 내의 수위가 소망한 수위에 도달하였을 때 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물의 낭비를 최대한 억제시키고 또한 구조의 간략화와 소망한 수위조절의 용이성을 양립하도록 하는 자동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의 발달로 공동주택 및 숙박업소가 대량으로 늘어나면서 주거형태는 물론 화장실 및 목욕문화도 변화하고 있으며, 따라서 가정, 일반 숙박업소 및 호텔 등의 욕실에서 물의 소비량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일반 가정 또는 숙박업소 및 호텔 등의 샤워실에서 목욕을 하고자 할 경우, 또는 일반 가정의 욕실에서 목욕 이외에 이불 및 담요 등을 세탁하기 위해서는 욕조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 욕조를 이용하여 목욕 또는 세탁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대다수가 수도관을 통해 연결된 냉, 온수 급수장치를 직접 열어 욕조에 물을 받은 후에 목욕을 하거나 또는 세탁을 하게 되는데, 이때 욕조에 소망하는 수위까지 물을 채우기 위해서는 장시간 욕조 옆에 대기하였다가 소망하는 수위에 도달하였을 경우 냉수 및 온수밸브를 막아 주어야만이 절수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 온수 급수장치를 통해 욕조에 소망하는 수위로 물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욕조 옆에 장시간 대기하여야 하는 지루함이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냉, 온수 급수장치를 막아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시간 낭비가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때로는 물을 틀어 놓은 상태에서 잠깐 자리를 비우거나 또는 잊어버린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물이 한 없이 욕조위로 넘쳐 흘러 물의 낭비가 심하게 발생되는 폐단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수위에 따라 물을 공급 및 차단하는 자동 급수장치를 이용하는 것인데, 상기 자동 급수장치의 대부분은 가정 또는 일반 숙박업소의 화장실의 보충수 탱크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장실의 보충수 탱크에 설치되어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키기 위한 자동 급수장치는 보충수 탱크 내로 공급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일정 수위가 되면 급수관을 막아주는 부이용 볼과 작동레버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절수효과를 얻기 위한 종래의 자동급수 장치는 수위에 따라 급수관의 급수구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해서 부이용 볼과 작동간, 작동로드 및 고무밸브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제작하기가 까다롭고, 이것에 의해 자즌 고장과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탱크에 설치 시에 설치하는 면적을 많이 차지함으로써, 탱크자체의 부피가 커지게 될 뿐 아니라 설치 시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 있다.
또한, 탱크 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간을 구부려 주어야 하거나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작동간의 길이를 조절해 주어야 하는 난이성과 불편함이 있으며, 이때문에 대부분의 가정 및 숙박업소에서 수위조절을 통해 물을 절약하기 위해 상기 탱크 내에 벽돌 등을 넣어 수위를 조절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치유하면서도 비용 면에서는 저가의 자동 절수장치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보다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욕조 또는 화장실의 보충수 탱크 등에 간단히 설치하여 확실한 절수효과를 얻도록 하는 자동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욕조 또는 보충수 탱크 내의 수위가 소망한 수위에 도달하였을 때 물의 공급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여 절수효과를 얻도록 하는 자동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절수장치는 욕조 또는 보충수 탱크 등에 설치되어 수전금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과 욕조 또는 보충수 탱크 내의 수위에 따른 물의 부력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물을 지속적 공급 또는 자동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를 아주 간편하게 하면서도 수위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자동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자동 절수장치는 통상의 수전금구에 간단한 도구를 통해 바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전금구와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부피가 큰 욕조 또는 화장실의 보충수 탱크 이외에 물을 소망하는 수위로 받아 사용하는 부피가 작은 여러 용도의 탱크에 설치하여 절수효과를 얻도록 하는 자동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절수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자동 절수장치가 수전금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수위가 설정수위에 미달될 때의 초기작동 상태도이고,
도 2는 상기 자동 절수장치가 수전금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하였을 때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상기 자동 절수장치가 수전금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공급된 물을 배출하고 초기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대응되는 도 1 내지 도 3의 자동 절수장치에서 수위감지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A부를 보다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절수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9는 수전금구와 일체로 된 자동 절수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자동 절수장치에서 수위감지장치를 생략하여 보인 확대도로서,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자동 절수장치를 욕조에 설치하여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작동봉 21 : 기밀유지패킹
22 : 수압공급편 23 : 그물망
24 : 수압공급결합편 25 : 고무패킹
26 : 고정클램핑 30 : 초기화버튼
31 : 작동간 32 : 복원스프링
33 : 플랜지 34 : 작동수용편
40 : 수압가속관 41 : 제1 연결캡
42 : 고무링 43 : 수압관
50 : 수용관 51 : 플로우트부재
52 : 회동레버 53 : 수압지지판
54 : 토출관 56 : 피스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자동 절수장치는, 수전금구에 결합되어 냉,온수조절레버의 조작에 따라 욕조에 물을 공급 및 차단하는 샤워헤드를 갖는 급수장치에 있어서:
(1) 적어도 직경이 서로다른 3개의 변(弁)을 가지며, 상기 3개의 변(弁)중 어느 하나의 변이 상기 수전금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물을 공급받고 상기 다른 하나의 변이 내부로 유입된 상기의 물을 욕조에 대해 토출하도록 형성되며 또 내부에는 대략 환형상의 분할벽에 의해서 토출공간부와 수용부가 분할되어져 형성된 직수고정금구; (2) 상기 3개의 변중에서 직경이 가장 작으며 상기 욕조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다른 하나의 변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고 수직하향 결합되어 상기 직수고정금구 내의 수압을 상기 욕조쪽으로 전달하는 수압전달수단; (3) 소망하는 수위에 맞게 욕조 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압전달수단의 단부에 수직하향 결합되어 상기 욕조 내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해 자체의 수압로를 개방, 폐쇄하여 상기 수압의 기밀을 해제 또는 유지시키는 수위감지작동수단; (4) 적어도 소정의 거리만큼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위감지작동수단의 기밀유지 및 해제에 따른 수압의 유,무에 의해서 욕조쪽을 향해 물을 토출하는 상기 변쪽으로 이동 또는 원위치 복귀하여 상기 토출공간부를 차단 또는 개방하여 주는 직수유로차단수단; (5) 상기 직수유로 차단수단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간결합구에 수평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토출공간부가 폐쇄되었을 때, 눌림작용에 의해서 상기 직수유로차단수단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토출공간부를 개방시켜 주는 유로초기화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내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상기 직수유로차단수단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타측 단부에 수압차단캡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압전달수단은 길이방향으로 입광출협(入廣出狹) 형상의 내경을 가지고 상기 직경이 가장 작은 변에 결합되는 수압가속관; 일단부가 상기 수압가속관의 하단부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상기 수위감지작동수단에 결합된 일정 길이를 갖는 수압관; 및 상기 수압관과 상기 수압가속관의 결합부위를 고무링에 의해 기밀을 유지시키면서 안정되게 감쌓 나사 결합해 주는 제1 연결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위감지작동수단은 상기 수압전달수단의 수압관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욕조 내에 위치하는 원형상의 수용관; 길이방향으로 입협출광(入狹出廣) 형상의 내경을 가지고 상기 수용관의 내부로 관통한 수압관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토출관; 상기 수압관과 상기 토출관의 결합부위를 고무링으로 기밀을 유지시키면서 안정되게 감쌓아 나사 결합해 주는 제2 연결캡; 상기 길이방향으로 입광출협 형상의 내경을 가지고 상기 토출관의 하부단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 수압지지판; 상기 수압지지판의 내경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관을 통해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수압지지판의 좁은 출구를 고무패킹과 접동돌기를 통해 밀폐 및 개방하여 주는 피스톤; 대략 중심부위가 상기 수압지지판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축핀으로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의 접동돌기에 접촉되면서 상기 수압지지판의 좁은 수압로로 상기 접동돌기를 인입 또는 토출되도록 하는 회동레버; 및 일단부가 상기 회동레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관의 구멍을 통해 유입된 물의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회동레버를 상기 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플로우트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직수유로차단수단은,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수용부에 수평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일측 면의 중심부에는 제1 작동안내구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1 볼트부가, 상기 중심부의 근사하는 위치에는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수압을 상기 수압전달수단으로 보내기 위한 직경이 아주 작은 수압인입구가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수압공급편; 외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압공급편의 외주면에 억지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수용부 내주면에 탄력 접촉하여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수압전달수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원형상의 기밀유지패킹; 일측 면에는 제1 너트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압공급편의 제1 볼트부에 결합되며 타측 면에는 제1 작동안내구의 직경 보다 큰 제2 작동안내구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2 볼트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내에서 수평이동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수압공급결합편; 상기 수압공급편과 상기 수압공급결합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물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원통형의 그물망; 상기 제2볼트부의 외주면에 억지끼워져 상기 수압공급결합편의 타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수압 유지 및 해제에 따른 수압공급결합편의 수평이동에 의해서 직수고정금구의 분할판에 형성된 환형구를 밀폐 및 개방하는 환형상의 고무패킹; 내주면에 제2 너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의 타측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 볼트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고무패킹과 밀착되지 않은 면에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지지편이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분할판에 형성된 환형구를 중심으로 수평이동 하는 고정클램핑; 선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략 만곡형상을 갖는 걸림턱과 걸림지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작동안내구에 순차 끼워지며 상기 고정클램핑을 통한 후단부가 와셔 및 멈춤링에 끼워져 상기 고정클램핑의 지지편 내주면을 중심으로 수평이동하는 작동봉; 상기 와셔와 상기 제2 볼트부의 제2 작동안내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봉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 및 상기 작동봉의 걸림턱과 걸림지지턱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압전달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제2 작동안내구를 통해 상기 토출공간부로 방출되는 수압의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고무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압공급편에 형성된 제1 볼트부의 제1 작동안내구에 적어도 90도 간격으로 수압배출구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상기 수위감지작동수단에 의해 기밀 유지된 상기 수압을 상기 토출공간부로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로초기화수단은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간결합구에 고무패킹을 통해 기밀을 유지하면서 나사결합되는 중심부에 안내구가 관통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안내구와 일치하도록 나사 결합되며 그 결합부위에는 누수방지용 고무링이 수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작동수용편;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의 안내구와 상기 작동수용편을 관통하여 수평이동하는 작동간; 상기 작동수용편을 관통한 작동간의 일측 단부쪽으로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플랜지의 원주면과 접촉하면서 수평이동하는 원형상의 작동링편; 일측이 밀폐된 대략 원통형상의 내부 중앙에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작동링편을 관통한 작동간의 단부에 고정되며 외부의 압입력에 의해 상기 작동간을 수평이동시키는 초기화버튼;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플랜지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초기화버튼의 고정돌기가 수평이동 하도록 수용하는 작동캡; 상기 작동수용편과 상기 작동링편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초기화버튼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욕조 내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미 도달할 때, 수위감지작동수단의 수압로가 개방되어 직수고정금구 내의 수압이 수압전달수단을 통해 가속화된 후에 상기 수위감지작동수단의 수압로로 배기되며, 이것에 의해 직수유로차단수단이 직수유로를 개방하여 수전금구에서 유입된 물을 토출공간부 및 토출캡을 통해 토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욕조 내의 수위가 점점 상승하여 설정수위에 도달하면 수위감지작동수단이 부력작용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수압로를 밀폐하고, 이것에 의해 직수고정금구 내의 수압이 점점 상승하여 직수유로차단수단을 상기 토출공간부쪽으로 수평이동시켜 직수유로를 차단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욕조 내의 수위에 따라 수전금구에서 공급되는 물을 자동으로 차단 또는 공급하여 줌으로써, 보다 확실한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자동 절수 장치의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설치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욕조 또는 화장실 보충수 탱크 이외에 물을 소망하는 수위로 받아 사용하는 여러 용도의 탱크에 설치하여 보다 확실한 절수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절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동 절수장치로서, 욕조 내에 적용한 예를 고려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절수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절수장치는 도 1, 도 4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을 공급하는 수전금구(70)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수전금구(70)의 외주면에 끼워져 체결볼트(71)로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원형상의 수전결합캡(11)이 기밀 유지되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는 수전결합관(10)과, 일측의 상부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하나의 변(弁)인 유입구(10a)가 형성되어 고무패킹과 함께 수전결합캡(11)의 하단부에 밀착 결합되며 타측의 하부에는 수전금구(70)에서 유입된 물을 욕조(700)에 대해 토출하도록 상기 유입구(10a)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다른 하나의 변으로서의 토수구(14)가, 그리고 토수구(14)와 대향하는 타측에는 이들의 직경 보다 아주 작으며 욕조(700)에 대해 수직하향으로 형성된 또다른 하나의 변으로서의 수압출구(13)가 형성되고 또 내부에는 환형상의 분할벽(100c)에 의해서 토출공간부(100b)와 수용부(100a)가 분할되어져 형성되어 있는 직수고정금구(100)와, 욕조(700)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수압출구(13)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고 수직하향 결합되어 직수고정금구(100) 내에서 발생되는 수압을 가속화하여 욕조(700)쪽으로 전달하는 수압전달부(400)와, 원하는 수위에 맞게 욕조(700) 내의 일측에 위치하며 또 수압전달부(400)의 하단부에 수직하향으로 결합되어 욕조(700) 내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해서 자체의 수압로(53a)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직수고정금구(100) 내의 수압 기밀을 해제 또는 유지시키는 수위감지작동부(500)와, 일정 거리만큼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직수고정금구(100)의 수용부(100a)에 설치되며 또 수위감지작동부(500)의 기밀유지 및 해제에 따른 수압의 유, 무에 의해서 수평이동 또는 원위치 복귀하여 토출공간부(100b)를 차단 또는 개방하여 주는 직수유로차단부(200)와, 직수유로 차단부(20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직수고정금구(100)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간결합구(15)에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또한 직수고정금구(100)의 토출공간부(100b)가 폐쇄되었을 때, 사용자의 눌림작용에 의해서 직수유로차단부(20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토출공간부(100b)를 개방시켜 주는 유로초기화부(300)와, 직수고정금구(100)의 내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직수유로차단부(200)를 수용부(100a)에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직수고정금구(100)의 일측 단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수압차단캡(12)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수압전달부(400)는 길이방향으로 입광출협의 내경을 가지며 또 직수고정금구(100)의 수압출구(13)에 나사결합되어 직수고정금구(100) 내의 수압을 가속화시켜 배출하는 수압가속관(40)과, 일단부가 수압가속관(40)의 하단부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수위감지작동부(500)에 결합되어 상기 가속화된 수압을 하향으로 배출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수압관(43)과, 수압가속관(40)과 수압관(43)의 결합부위를 고무링(42)에 의해 기밀을 유지시키면서 안정되게 감쌓 나사 결합해 주는 제1 연결캡(41)으로 구성된다.
또한 수위감지작동부(500)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에 지장없이 욕조(700) 내의 일측에 위치하며 또한 수압전달부(400)의 수압관(43) 단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하부에 다수의 유입공(50a)이 형성된 원형상의 수용관(50)과, 길이방향으로 입협출광의 내경을 가지며 수용관(50)의 내부로 관통한 수압관(43)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된 토출관(54)과, 수압관(43)과 토출관(54)의 결합부위를 고무링(55a)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감쌓아 나사 결합해 주는 제2 연결캡(55)과, 길이방향으로 입광출협의 내경을 가지며 토출관(54)의 하부단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 수압지지판(53)과, 수압지지판(53)의 내경에 삽입되어 토출관(54)을 통해 유입되는 가속수압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여 수압지지판(53)의 좁은 수압로(53a)를 고무패킹(58)과 접동돌기(57)를 통해 밀폐 및 개방하여 주는 피스톤(56)과, 중심부위가 수압지지판(53)의 하단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축핀(59)으로 결합되어 욕조(700) 내의 수위 및 직수고정금구(100) 내의 수압에 따라 피스톤(56)의 접동돌기(57)에 접촉되면서 수압지지판(53)의 좁은 수압로(53a)로 접동돌기(57)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회동레버(52)와, 일단부가 회동레버(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수용관(50)의 구멍을 통해 유입된 물의 부력에 의해서 승강 및 하강하여 회동레버(52)를 축핀(59)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주는 공간이 비어 있는 플로우트부재(51)로 구성된다.
또한, 직수유로차단부(20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수고정금구(100)의 수용부(100a)에 수평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일측 면의 중심부에는 제1 작동안내구(22c) 및 수압배출구(22d)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1 볼트부(22b)가, 그리고 중심부의 근사하는 위치에는 수용부(100a)로 유입된 수압을 수압전달부(400)로 보내기 위한 직경이 아주 작은 수압인입구(22a)가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수압공급편(22)과, 외향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수압공급편(22)의 외주면에 억지끼워져 결합되며 직수고정금구(100)의 수용부(100a) 내주 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수용부(100a)로 유입된 물이 수압전달부(400)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원형상의 기밀유지패킹(21)과, 일측 면에는 제1 너트부(24a)가 돌출 형성되어 수압공급편(22)의 제1 볼트부(22b)에 결합되며 또한 타측 면에는 제1 작동안내구(22c)의 직경 보다 큰 제2 작동안내구(24c)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2 볼트부(24b)가 돌출 형성되어 수용부(100b) 내에서 수평이동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수압공급결합편(24)과, 수압공급편(22)과 수압공급결합편(24)의 사이에 개재되어 직수고정금구(1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원통형의 그물망(23)과, 제2 볼트부(24b)의 외주면에 억지끼워져 수압공급결합편(24)의 타측면에 밀착되며 수위감지작동부(500)의 수압 유지 및 해제에 의한 수압공급결합편(24)의 수평 이동에 의해서 직수고정금구(100)의 분할벽(100c)에 형성된 환형구를 밀폐 및 개방하는 환형상의 고무패킹(25)과, 내주면에 제2 너트부(26b)가 형성되어 고무패킹(25)의 타측 면에 밀착되도록 제2 볼트부(24b)에 끼워져 결합되며 고무패킹(25)과 밀착되지 않은 면에는 4개의 지지편(26a)이 대략 90도의 간격으로 돌출되어 직수고정금구(100)의 분할벽(100c)에 형성된 환형구를 중심으로 수평이동 하는 고정클램핑(26)과, 선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략 만곡형상을 갖는 걸림턱(20a)과 걸림지지턱(20b)이 형성되어 제1, 제2 작동안내구(22c)(24c)에 순차 끼워지며 고정클램핑(26)을 통한 단부가 와셔(27) 및 멈춤링(28)에 끼워져 고정클램핑(26)의 지지편(27) 내면을 중심으로 수평이동하는 작동봉(20)과, 와셔(27)와 제2 볼트부(24b)의 제2 작동안내구(24c) 사이에 개재되어 작동봉(20)을 원위치로 수평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25a)과, 작동봉(20)의 걸림턱(20a)과 걸림지지턱(20b) 사이에 개재되어 수압전달부(400)로부터 제1, 제2 작동안내구(22c)(24c)를 통해 토출공간부(100b)로 역방출되는 수압의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고무링(29)으로 구성된다.
또한, 유로초기화부(300)는 직수고정금구(100)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간결합구(15)에 고무패킹(36)을 통해 기밀을 유지하면서 나사결합되는 중심부에 안내구가 관통된 플랜지(33)와, 플랜지(33)의 안내구와 일치되게 나사 결합되며 그 결합부위에는 누수방지용 고무링(35)이 수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작동수용편(34)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직수유로차단부(200)의 작동봉(20)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플랜지(33)의 안내구와 작동수용편(34)을 관통하여 직수유로차단부(200)의 작동봉(20)을 수평이동시키는 작동간(31)과, 작동수용편(34)을 관통한 작동간(31)의 일측 단부쪽으로 끼워져 고정된 후 플랜지(33)의 원주면과 접촉하면서 수평이동하는 원형상의 작동링편(37)과, 일측이 밀폐된 대략 원통형상의 내부 중앙에 고정돌기(30b)가 돌출 형성되어 작동링편(37)을 관통한 작동간(31)의 단부에 고정된 후 외부의 압입력에 의해 작동간(31)을 수평이동시키는 초기화버튼(30)과,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며 플랜지(33)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초기화버튼(30)의 고정돌기(30b)가 수평이동되도록 수용하여 주는 작동캡(30a)과, 작동수용편(34)과 작동링편(37)의 사이에 개재되어 초기화버튼(3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3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8 및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욕조(700) 내에 설치되는 수위감지 작동부(500)의 수압지지판(53) 수압로(53a)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욕조(700) 내에 원하는 수위로 물을 공급받기 위해 수전금구(70)의 냉, 온수조절 레버(도면에 미도시)를 열개되면, 수전금구(70)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수전결합관(10)과 수전결합캡(11)을 순차 통하고 또한 하나의 변(弁)인 직수고정금구(100)의 유입구(10a)를 통해서 수용부(100a)로 유입된다.
이때, 직수고정금구(100)의 수용부(100a)에 공급된 물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후에 설명될 직수유로차단부(200)의 고무패킹(25)이 분할벽(100c)에 의해 분할되어진 토출공간부(100b)의 유로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 즉 다시 말해, 직수고정금구(100) 내에 형성된 분할벽(100c)의 환형구가 개방된 상태에 있음으로 인하여 수용부(100a)로 유입된 물이 분할벽(100c)의 환형구와 직수유로차단부(200)에 구성된 고정클램핑(26)의 지지편(26a)들과의 사이, 토출공간부(100b) 및 하나의 변(弁)으로서의 토수구(14) 및 토수캡(16)을 차례로 거친 후에 욕조(700)로 토출 공급된다.
이와 함께 직수고정금구(100) 내에서 발생된 수압은 직수유로차단부(200)의 그물망(23)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직경이 아주 협소한 수압공급편(22)의 수압인입구(22a)를 통한 후에 또다른 하나의 변(弁)인 수압출구(13)에 결합되어진 수압전달부(400)의 수압가속관(40)으로 배출된다. 이때 수압전달부(400)에 구성되는 수압가속관(40)의 내경이 입광 출협 형상을 가지므로, 즉 입구쪽은 넓고 출구쪽이 아주 협소함으로 인하여, 이것에 의해 수압출구(13)에서 공급되는 수압이 수압가속관(40)의 내경을 통해 가속되어진다.
상기 가속되어진 수압은 고무링(42)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고 또한 제1 연결캡(41)에 의해서 수압가속관(40)과 연결되어진 수압전달부(400)의 수압관(43)을 통하여 수위감지작동부(500)의 수용관(50) 내에 위치한 토출관(54)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토출관(54)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링(55a)에 의해 기밀유지된 상태이고 제2 연결캡(55)에 의해 수압관(43)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그의 내경이 입협출광 형상, 즉 입구쪽은 좁고 출구쪽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된 가속 수압은 토출관(54)에 의해서 보다 넓게 분사되어 수압지지판(53)에 형성된 수압로(53a)로 보다 빠르게 배기된다.
이때, 수압지지판(53)의 수압로(53a)는 축핀(59)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레버(52)의 면에 수압로(53a)의 직경보다 작은 접동돌기(57)가 맞닿아 지지되고 있으므로 인하여 피스톤(56)이 수압에 의해서 하향 이동하지 않는다. 즉 다시 말해, 욕조에 공급되는 물이 원하는 수위까지 도달하지 못했을 때, 도 4에서와 같이, 수위감지작동부(500)의 플로우트부재(51)가 하강하게 되고, 이 플로우트부재(51)가 하강하면 회동레버(52)가 축핀(5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피스톤(56)의 접동돌기(57)를 수압지지판(53)의 수압로(53a)에 대해 들어올려 주게 되므로 수압로(53a)가 회동레버(52)에 의해서 계속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되며, 이것에 의해 토출관(54)에서 유입되는 수압이 수압지지편(53)의 수압로(53a)와 접동돌기(57)의 사이로 보다 빠르게 배출되어 진다.
이와 같이 수압이 수위감지작동부(500)의 수압지지판(53)을 통해 배출되고, 또한 직수고정금구(100)의 토수캡(16)을 통해 계속 물이 토출되어 욕조(700)내의 수위가 점점 상승하여 수위감지작동부(500)에 구성되는 수용함(50)의 유입공(50a)으로 물이 유입되면 수위감지작동부(500)의 플로우트부재(51)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게 되며, 플로우트부재(51)가 상승하면 회동레버(52)가 축핀(59)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접동돌기(57)를 밀고있던 그의 단부가 접동돌기(57)로부터 서서히 이탈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욕조(700)에 원하는 수위까지 물이 공급되었을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동작에 의해서 회동레버(52)가 접동돌기(57)로부터 완전하게 이탈하게 된다.
이때, 직수고정금구(100) 내의 수압은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계속 수압전달부(400)의 수압관(43) 및 수위감지작동부(500)의 토출관(54)을 통해 유입되므로써, 수압지지판(53)의 피스톤(56)과 접동돌기(57)가 상기 수압에 의해서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56)이 하향 이동하면 그의 하부에 결합된 고무패킹(58)도 같이 하향 이동하여 수압지지판(53)의 출구(53a)를 도 6에서와 같이, 완전하게 밀폐하여 수압배출경로를 막아줌으로써, 수압지지판(53)과 수압전달부(400)의 수압관(43) 및 수용부(100a) 내의 수압이 점점 상승하게 된다.
수압이 상승하면 이 상승된 수압에 의해서 직수유로차단부(200)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00a) 내에서 우측방향으로 순간 수평 이동한다.
즉 다시 말해, 도 8과 같이 직수유로차단부(200)의 수압공급편(22) 외주면에 억지끼워지며 수용부(100a)의 내주 면에 탄력있게 접촉되어 있는 기밀유지패킹(21)의 기밀유지에 의해서 상기 상승된 수압이 직수고정금구(100)의 토출공간부(100b)로 배출되지 못하고 수압공급편(22)을 도 2를 기준하여 우측방향으로 밀게 되며, 이것에 의해 수압공급편(22)과 그물망(23) 및 수압공급결합편(24), 작동봉(20)이 함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고정클램핑(26)의 지지편(26a)들이 분할벽(100c)의 환형구를 통해 수평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압공급결합편(24)과 고정클램핑(26)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고무패킹(25)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판(100c)의 환형구를 완전하게 밀폐하여 수전금구(70)에서 공급되어 토출공간부(100b) 및 토수캡(16)을 통해 토출되는 유로를 완전하게 차단하여 주게 된다.
여기서, 작동봉(20)의 걸림턱(20a)과 걸림지지턱(20b)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고무링(29)은 욕조(700) 내에 물이 원하는 수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승된 수압이 수압공급편(22)의 제1 작동안내구(22c), 수압공급결합편(24)의 제2 작동안내구(24c)를 통해 토출공간부(100b)로 배기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수유로차단부(200)가 전술한 수압전달부(400) 및 수위감지작동부(500) 내의 강한 수압에 의해 직수고정금구(100)의 분할벽(100c)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구를 계속 밀폐하여 욕조(700)에 대해 물의 토출을 중단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욕조(700) 내의 물을 전부 배수시키고 다시 원하는 수위까지 물을 받아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압전달부(400) 및 수위감지작동부(500) 내의 수압을 배기시킨 다음 직수유로차단부(200)를 초기 상태로, 즉 도 1과 같은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 욕조(700) 내의 물이 전부 배수되었을 때에도 회동레버(52)의 단부에 결합된 수위감지작동부(500)의 플로우트부재(5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압지지판(53)의 수압로(53a)로 돌출한 피스톤(56)의 접동돌기(57)에 걸려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 그 이유는 전술한 직수고정금구(100) 내의 수용부(100a)와 수압지지판(53) 및 수압전달부(400)의 수압관(43) 내부에 남아있는 강한 수압에 의해 피스톤(56)이 계속 하향 압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로우트부재(51)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수용부(100a), 수압전달부(400)의 수압관(43) 및 수압지지판(53) 내의 수압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전술한 수압전달부(400) 및 수위감지작동부(500) 내의 수압을 배기시키고 직수유로차단부(200)를 도 1과 같이 초기위치 상태로 복귀시켜 주기 위해서는, 먼저 유로초기화부(300)의 초기화버튼(30)을 도 3과 같이 눌러 주어야 한다. 초기화버튼(30)을 누르게 되면 고정돌기(30b)가 작동캡(30b)을 중심으로 좌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며, 아울러 또한 초기화버튼(30) 내의 고정돌기(30b)에 고정되어 있는 작동간(31)이 작동링편(37)과 작동수용편(34)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복원스프링(32)을 압축하면서 좌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직수유로차단부(200)의 작동봉(20)을 도 3을 기준하여 좌측으로 밀게 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직수유로차단부(200)의 작동봉(20)이 작동간(31)에 의해 와셔(27)와 수압공급결합편(24)의 제2 볼트부(24b)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복원스프링(25a)을 압축 하면서 좌측방향으로 약간 수평 이동을 하고, 이것에 의해 작동봉(20)에 고정되어 수압공급편(22)의 제1 작동안내구(22c) 선단부를 막고 있던 고무링(29)이 그 선단부로부터 약간 이탈됨으로써, 수압전달부(400) 및 수위감지작동부(500)에 남아 있던 수압이 제1 작동안내구(22c)의 선단부로 유입된 후 제1 작동안내구(22c)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압배출구(22d) 및 제1 작동안내구(22C)의 직경보다 큰 제2 작동안내구(24c)를 통해서 토출공간부(100b)로 순간적으로 빠르게 배출되어진다. 여기서 수압배출구(22d)는 제1 작동안내구(22c)에 대해 9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속해서, 이와 같이하여 수용부(100a)와 수압전달부(400) 및 수위감지작동부(500) 내의 수압이 모두 배출되고 나면 수위감지작동부(500)의 회동레버(52)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플로우트부재(51)가 자중에 의해서 도 4에서와 같이, 축핀(5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하강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회동레버(52)의 타단부가 피스톤(56)의 접동돌기(57)를 밀어올려 도 1과 같이, 수압지지판(53)의 출구(53a)를 개방하여 주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누고있던 초기화버튼(30)을 조금 더 눌러주게 되면 이때에는 직수유로차단부(200)의 전체가 도 3을 기준하여 좌측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됨으로써, 고무패킹(25)에 의해서 분할벽(100c)의 환형구가 밀폐되어 있던 것이 도 1과 같이 개방되어 수전금구(70)로부터의 물이 전술한 분할벽(100c)의 환형구와 토출공간부(100b) 및 토수캡(16)을 통해 욕조(700)로 토출 공급된다.
그리고 초기화버튼(30)으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복원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서 유로초기화부(300)는 도 1과 같이 원위치로 복원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절수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절수장치에 있어서는,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수도관과 결합할 수 있는 수전결합구(81)가 형성되며 또 냉수 및 온수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냉온수조절레버(80)를 가지는 통상의 수전금구(101)와 전술한 직수고정금구(100)를 일체로 형성하여 통상의 분수직수선택부(600)의 선택에 의해서 호스관(91) 및 샤워헤드(90)를 통해 분사하도록 하고, 또한 직수고정금구(100)를 통해 욕조(700)에 물을 직수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샤워를 하기 위해 수전금구(101)와 직수고정금구(100) 사이에 결합된 분수직수선택부(600)의 유로선택레버(60)를 잡아당기면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수전금구(101)와 직수유로차단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단부에 고무패킹(63)이 개재되어 분수출구(101a)를 막고 있는 이동간(62)이 작동지지간(61)을 중심으로 수직 상향 이동함으로써, 분수출구(101a)가 개방되고 아울러 직수고정금구(100)쪽의 유로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직수고정금구(100)쪽으로의 물의 공급은 차단되고 고무패킹(92) 및 헤드결합캡(101b)에 의해 분수출구(101a)와 기밀유지 결합되어 있는 호스관(91)을 통해서 샤워헤드(90)로 물이 분사된다.
그리고 욕조(700)에 물을 받아 사용하기 위해 유로선택레버(60)를 하향으로 밀면 분수직수선택부(600)의 이동간(62)이 작동지지간(61)을 중심으로 수직 하향 이동함으로써, 직수고정금구(100)쪽의 유로가 개방되어 욕조(700) 내로 물이 토출 공급되고, 아울러 분수출구(101a)는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이동간(62)의 고무패킹(63)에 의해서 밀폐됨으로써 샤워헤드(90)로의 물의 분사가 차단된다.
상기에서 욕조(700)내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본 고안의 자동 절수장치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은 수행하여 절수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보충수 탱크의 절수 효과를 얻기 위해서 공구를 이용하여 보충수 탱크 내에 설치된 작동간의 길이를 조절해 주거나 또는 보충수 탱크 내에 벽돌 등을 넣어 수위를 조절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욕조 내의 수위가 상승하여 설정수위에 도달하면 수위감지작동수단이 부력작용에 의해 상승하여 개방하고 있던 수압로를 밀폐하고, 이것에 의해 직수고정금구 내의 수압이 상승하여 수용부 내의 직수유로차단수단을 토출공간부쪽으로 이동시켜 욕조에 대해 물의 토출을 차단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 의해서, 본 고안에 의하면 욕조 이외에 부피가 작은 여러 용도의 탱크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하여 확실한 절수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자동 절수장치에 의하면, 수전금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과 욕조 또는 보충수 탱크 내의 수위에 따른 물의 부력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물을 지속적 공급 또는 자동 차단하여 줌으로써, 보다 확실한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부피가 큰 욕조 및 화장실 보충수 탱크 이외에 물을 소망하는 수위로 받아 사용하는 부피가 작은 여러 용도의 탱크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수전금구에 결합되어 레버의 조작에 개폐되어 물을 공급 및 차단하는 샤워헤드를 갖는 급수장치에 있어서:
    (1) 직경이 서로다른 3개의 변(弁)을 가지며 상기 3개의 변중 어느 하나의 변이 상기 수전금구에 결합되어 물을 공급받고 상기 다른 하나의 변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욕조에 대해 토출하도록 형성되며 또 내부에는 분할벽에 의해서 토출공간부와 수용부가 분할되어져 형성된 직수고정금구;
    (2) 상기 3개의 변중에 직경이 가장 작으며 상기 욕조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다른 하나의 변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고 수직하향 결합되어 상기 직수고정금구 내의 수압을 전달하는 수압전달수단;
    (3) 상기 수압전달수단의 단부에 수직하향 결합되며 상기 욕조 내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해 자체의 수압로를 개방 및 폐쇄하여 상기 전달된 수압의 기밀을 해제 또는 유지시키는 수위감지작동수단;
    (4) 적어도 소정의 거리만큼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위감지작동수단의 기밀유지 및 해제에 따른 수압의 유무에 의해서 욕조쪽을 향해 직수하는 상기 변쪽으로 이동 또는 원위치 복귀하여 상기 토출공간부를 차단 또는 개방하여 주는 직수유로차단수단; 및
    (5) 상기 직수유로차단수단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일측 단에 형성된 작동간결합구에 수평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토출공간부가 폐쇄되었을 때, 눌림작용에 의해서 상기 직수유로차단수단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토출공간부를 개방시켜 주는 유로초기화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압전달수단은,
    (1) 길이방향으로 입광출협(入廣出狹) 형상의 내경을 가지고 상기 직경이 가장 작은 변에 결합되는 수압가속관;
    (2) 일단부가 상기 수압가속관의 하단부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상기 수위감지작동수단에 결합된 일정 길이를 갖는 수압관; 및
    (3) 상기 수압관과 상기 수압가속관의 결합부위를 고무링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감쌓 나사 결합해 주는 제1 연결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작동수단은,
    (1) 상기 수압전달수단의 수압관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욕조 내에 위치하는 수용관;
    (2) 길이방향으로 입협출광(入狹出廣) 형상의 내경을 가지고 상기 수용관의 내부로 관통한 수압관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토출관;
    (3) 상기 수압관과 상기 토출관의 결합부위를 고무링으로 기밀을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감쌓아 나사 결합해 주는 제2 연결캡;
    (4) 길이방향으로 입광출협 형상의 내경을 가지고 상기 토출관의 하단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 수압지지판;
    (5) 상기 수압지지판의 내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관을 통해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수압지지판의 좁은 수압로를 고무패킹과 접동돌기를 통해 밀폐 및 개방하여 주는 피스톤;
    (6) 대략 중심부위가 상기 수압지지판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축핀으로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의 접동돌기에 접촉되면서 상기 수압지지판의 좁은 수압로로 인입 또는 토출되도록 하는 회동레버; 및
    (7) 일단부가 상기 회동레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관의 다수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물의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회동레버를 상기 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플로우트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수유로차단수단은,
    (1)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수용부에 수평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일측 중심부에는 제1 작동안내구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1 볼트부가, 상기 중심부의 근사하는 위치에는 수압을 상기 수압전달수단으로 보내기 위한 직경이 아주 작은 수압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압공급편;
    (2) 상기 수압공급편의 외주면에 억지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수용부 내주면에 탄력 접촉하여 상기 유입된 물이 상기 수압전달수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밀유지패킹;
    (3) 일측 면에는 제1 너트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압공급편의 제1 볼트부에 결합되며 타측 면에는 상기 제1 작동안내구의 직경보다 큰 제2 작동안내구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2 볼트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내에서 수평이동하는 수압공급결합편;
    (4) 상기 수압공급편과 상기 수압공급결합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물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그물망;
    (5) 상기 제2볼트부의 외주면에 억지끼워져 상기 수압공급결합편의 타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수압 유지 및 해제에 따른 상기 수압공급결합편의 수평이동에 의해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분할벽에 형성된 환형구를 밀폐 및 개방하는 고무패킹;
    (6) 내주면에 제2 너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의 타측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 볼트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고무패킹과 밀착되지 않은 면에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지지편이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분할벽의 환형구를 중심으로 수평이동 하는 고정클램핑;
    (7) 선단부에 대략 만곡형상을 갖는 걸림턱과 걸림지지턱이 대향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작동안내구에 순차 끼워지며 상기 고정클램핑을 통한 후단부가 와셔 및 멈춤링에 끼워져 상기 고정클램핑의 지지편 내주면을 중심으로 수평이동하는 작동봉;
    (8)상기 와셔와 상기 제2 볼트부의 제2 작동안내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봉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 및
    (9) 상기 작동봉의 걸림턱과 걸림지지턱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압전달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제2 작동안내구를 통해 상기 토출공간부로 방출되는 수압의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고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압공급편에 형성된 제1 작동안내구에 적어도 90도 간격으로 수압배출구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하여 상기 수위감지작동수단에 의해 기밀 유지된 상기 수압을 상기 토출공간부로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초기화수단은,
    (1)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간결합구에 고무패킹을 통해 기밀을 유지하면서 나사결합되는 중심부에 안내구가 형성된 플랜지;
    (2) 상기 플랜지의 안내구와 일치하도록 나사 결합되며 그 결합부위에는 누수방지용 고무링이 수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작동수용편;
    (3)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의 안내구와 상기 작동수용편을 관통하여 수평이동하는 작동간;
    (4) 상기 작동수용편을 관통한 작동간의 일측 단부쪽으로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수평이동하는 원형상의 작동링편;
    (5) 일측이 밀폐된 내부의 중앙에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작동링편을 관통한 상기 작동간의 단부에 고정되며 외부의 압입력에 의해 상기 작동간을 수평 이동시키는 초기화버튼;
    (6) 상기 플랜지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초기화버튼의 고정돌기가 수평 이동되게 수용하는 작동캡; 및
    (7) 상기 작동수용편과 상기 작동링편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초기화버튼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내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상기 직수유로차단수단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직수고정금구의 타측 단부에 수압차단캡을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수장치.
KR2020000027473U 2000-10-02 2000-10-02 자동 절수장치 KR200215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473U KR200215807Y1 (ko) 2000-10-02 2000-10-02 자동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473U KR200215807Y1 (ko) 2000-10-02 2000-10-02 자동 절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788A Division KR100550437B1 (ko) 2000-10-02 2000-10-02 자동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807Y1 true KR200215807Y1 (ko) 2001-03-15

Family

ID=7305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473U KR200215807Y1 (ko) 2000-10-02 2000-10-02 자동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8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06Y1 (ko) 2009-04-23 2011-05-06 김동수 절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06Y1 (ko) 2009-04-23 2011-05-06 김동수 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504176A (ja) 水消費の少ない洗浄機構
CN101343890A (zh) 用于分配清洁材料的装置和方法
JPS5928707B2 (ja) 水洗便器
AU2012380146B2 (en) Water-saving toilet bowl
KR200215807Y1 (ko) 자동 절수장치
KR100408076B1 (ko) 절수용 변기
EA038271B1 (ru) Сливной узел,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й узел, и способ промывки чаши такого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изделия
KR100550437B1 (ko) 자동 절수장치
KR100363230B1 (ko) 수전금구용 자폐식 절수장치
WO1985001537A1 (en) A flush system
US20100212081A1 (en) sanitation
KR102085963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100453128B1 (ko)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KR20010077633A (ko) 다기능 수도꼭지
CN214743507U (zh) 一种灵活自动排水装置
JP2003003536A (ja) バルブ装置
KR200241216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KR20190111524A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CN221034044U (zh) 一种防臭闭合阀
JPH07180203A (ja) 水洗式便器における凍結防止構造
KR100475248B1 (ko) 유체를 차단하는 밸브의 응용 방법
KR200229713Y1 (ko) 수세식 변기의 내장형 절수장치
KR200362932Y1 (ko) 좌식 샤워기
RU2271419C2 (ru) Смеситель
KR200338662Y1 (ko) 수도꼭지 개폐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