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787Y1 - 시트 밑에 발 받침판을 내장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시트 밑에 발 받침판을 내장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787Y1
KR200215787Y1 KR2020000027271U KR20000027271U KR200215787Y1 KR 200215787 Y1 KR200215787 Y1 KR 200215787Y1 KR 2020000027271 U KR2020000027271 U KR 2020000027271U KR 20000027271 U KR20000027271 U KR 20000027271U KR 200215787 Y1 KR200215787 Y1 KR 200215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plate
foo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장욱
Original Assignee
류장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장욱 filed Critical 류장욱
Priority to KR2020000027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7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787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의 하부에 발을 얹어 쉴 수 있는 발 받침판과 발 받침판의 지지 및 길이 연장의 역할을 하느 보조판을 내장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리와 무릎의 피로해소 및 이상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의자 자체의 시트 하부에 시트의 길이, 즉 뒤쪽 끝에서 앞쪽 끝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보조판(2)과 시트의 앞쪽 끝에서 지지·회전축 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발받침판(1)을 접철식으로 연결·제공하고, 또 서랍식으로 간편히 인출·사용 및 삽입·내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의자에 앉은채 다리를 뻗고 발을 얹어 쉴 수 있는 의자가 제공된다.
참고로 등받침이 있는 성인용 의자인 경우 시트의 길이가 대략 45에서 55cm 정도, 시트의 앞 끝에서 지지·회전축과의 거리가 대략 24에서 28cm 정도가 된다.

Description

시트 밑에 발 받침판을 내장하는 의자{Chair having Foot resting Board under its seat.}
본 고안은 발 받침판(1)과 보조판(2)을 내장시킨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 자체의 시트 하부에 접철식 발 받침판과 보조판을 내장시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인출하여 다리를 뻗고 발을 얹어 쉴 수 있도록 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에 장시간 앉아 근무를 하거나 공부를 하는 사람, 특히 다리나 무릎에 이상이 있는 사람의 경우, 다리나 무릎이 쉬 피로해 지거나 이상의 정도가 더 심해질 우려가 높다.
이러한 피로나 이상의 해소 및 경감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책상 위에 발을 얹거나 별도의 보조의자를 사용해왔다.
하지만, 별도의 보조의자를 사용하는 것도 추가 구입 비용이 요구될뿐더러 그로 인한 공간의 잠식 및 청소에도 장애가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비록 보조의자의 높이를 낮춰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의자 밑에 넣을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요즘의 사무용 회전의자처럼 여러 개의 바퀴를 갖고 또 의자 시트의 거의 중앙부에 지지·회전축(3)을 갖는 경우에는 바퀴나 지지·회전축에 걸리게 되고 또 발이 얹히는 위치가 엉덩이 위치보다 낮아져서 충분한 휴식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들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시간 의자에 앉아 근무 또는 공부를 하는 사람이 별도의 보조의자를 사용치 않고서도 보조의자를 구입해 사용하는 것보다 비용상 저렴하면서 좀 더 사용이 용이하고, 또 여러모로 효과적인 휴식을 위해 의자 자체, 즉 의자 시트의 하부에 발 받침판 및 보조판을 서랍식으로 내장시켜 간편하게 인출·사용 및 삽입·내장이 가능케 하여, 필요에 따라 의자에 앉은 채로 용이하게 다리를 뻗고 발을 얹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1(A)는 종래의 의자 시트의 하부에 본 고안에 따라 발받침판과 보조판을 장치하여 삽입·내장시킨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1(B)는 도1(A)의 삽입·내장된 발 받침판과 보조판을 인출·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발 받침판과 보조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B)는 발 받침판과 보조판의 내장 및 슬라이드 타잎의 작동을 위한 케이싱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보조판의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발 받침판 2. 보조판
3. 지지·회전축 4. 케이싱
5. U형 홈 6. 가이드 앵글
7. 구멍 8. 로울러
9. 장석 10. S자형 앵글
11. 접시머리 나사못 12. 케이싱 후면 가림판
13. 융기부 14. 돌기
A-A'. 절단선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의자 시트 하부에 장착되어 발 받침판과 보조판을내장하면서 보조판의 삽입과 인출의 가이드 및 지지역할을 해주는 케이싱(4)과, 케이싱내의 가이드 앵글(6)과 결합되어 서랍처럼 슬라이드 타잎으로 삽입·인출되면서 발 받침판(1)과 연결되어 발 받침판의지지 및 길이연장의 역할을 하는 보조판, 그리고 발을 얹을 수 있는 발받침판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실시를 위해서는 의자시트의 하부에 가이드 앵글 또는 가이드 프레임만 장착하여 보조판의 삽입과 인출의 가이드 및 지지 역할을 할 수도 있지만 좀 더 견고하게, 또 내장되는 보조판과 발 받침판의 오염되는 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이드 앵글을 가진 케이싱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싱을 도시한 것으로서 가볍고 강한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 및 판금하여 도2(B)에서와 같은 형태, 즉 U자형 긴 홈(5)을 갖는 요부와 요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수 개의 볼트나 나사못을 위한 구멍(7)을 갖게한 것이다.
U자형 긴 홈은 케이싱을 시트하부에 장착할 때 의자의 지지·회전축(3)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회전축의 지름보다 조금 더 넓은 간격으로 의자 시트의 뒤쪽에 설치될 부분에서부터 거의 중앙부까지 형성시켜 준다. 그리고 요부의 양측면 밑부분에는 보조판과 결합되어 지지 및 가이드 역할을 할 가이드 앵글(6)을 설치하되 뒤쪽에는 앞쪽을 향하여 약간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 받침판과 보조판이 시트하부에 장착된 케이싱에서 인출되므로 가이드 앵글을 통해 인출되는 보조판에 연결된 발 받침판의 위치가 의자시트의 위치보다 낮아지지 않게하기 위한 것이다. 발의 위치가 엉덩이 위치보다 같거나 오히려 조금 높은편이 좀 더 나은 휴식감을 제공할 수 있고, 또 삽입·내장시에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로울러(8)를 부착시켜 보조판이 좀 더 부드럽게 삽입·인출되게 하는 것이 좋다.
케이싱의 너비, 즉 양쪽 날개 끝 사이의 거리는 물론 의자 시트의 폭보다 좁아야 하지만 길이는 의자 시트의 길이, 즉 등받침 쪽에서 의자 앞쪽까지의 거리보다 조금 더 길게 할 수도 있다. 신장이 크거나 또는 하지장이 특히 긴 사람의 경우에도 충분히 다리를 뻗어 발 받침판에 발을 얹게 하기 위해 보조판 및 케이싱의 길이를 외관상 별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의자시트의 길이보다 조금 더 길게, 즉 의자의 뒤쪽으로 조금 더 튀어 나오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싱 후면 가림판(12)을 없애는 것도 고려 할 수 있다.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발 받침판(1)과 보조판(2)을 도시한 것으로 보조판 위에 발 받침판을 접은 상태를 보여준다. 발 받침판은 발을 얹어 쉬게 하는 곳이고 보조판은 다리를 충분히 뻗은 상태에서도 발 받침판 위에 발이 자연스럽게 얹히도록 하기 위해 발 받침판의 길이, 즉 의자시트의 하부에서 인출되는 거리를 연장시켜 주는 역할과 또한 발 받침판과 연결되면서 가이드 앵글(6)과도 결합되어 발 받침판을 지지해 주면서 케이싱(4)에서 슬라이드 타잎으로 인출 및 삽입되게 된다. 보조판과 발 받침판과의 연결은 장석(9)과 같은 힌지류를 사용하여 발 받침판을 접어 보조판 위에 얹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접은 상태에서 케이싱에서 인출하여 펼쳐 사용하고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다시 접은 상태에서 케이싱 속으로 삽입·내장시키면 된다. 보조판과 발 받침판의 재질은 널빤지나 파티클보드, 미장합판 등이 무난하지만 외관상 개선을 위해, 또 의자와의 조화를 위해 피복을 입히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발 받침판의 발과 접하는 면에는 약간의 쿠션을 갖도록 하고, 양 사이드 쪽에는 융기부(13)를 두어 발이 발 받침판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발 받침판의 피복재와 쿠션소재는 발 냄새를 억제하고 땀을 잘 흡수하면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내의 가이드 앵글(6)과 결합되는 보조판에는 양측 가장 자리를 따라 S자형 앵글(10)을 덧대어 주어 강도를 보강하면서 가이드 앵글과 결합 및 작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판의 형태는 그림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처럼 U자형 홈을 갖게하여 의자시트의 지지·회전축에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보조판의 길이는 의자시트의 길이, 즉 의자 등받침이 있는 뒤쪽부터 앞쪽까지의 거리 범위 내에서 최대한 길게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의자 등받침의 두께만큼이나, 아니면 외관상 별 손상이 없는 한 그보다 조금 더 길게 의자 뒤쪽까지 나오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발 받침판의 길이 또한 발 받침판을 보조판 위에 접어서 케이싱에 삽입시킬때 의자의 지지·회전축에 부닺히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길게하는 바람직하다. 발 받침판의 너비는 의자에 앉은 채 양무릎을 조금 넓게 벌린 상태에서 양 무릎 사이를 자연스럽게 통과하여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넓게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의자 시트의 하부에 서랍처럼 삽입·내장 및 인출·사용되는 발 받침판과 발 받침판의 지지 및 길이 연장의 역할을 하는 보조판을 접철식으로 제공하여 의자에 앉은 채 간편하고 용이하게 다리를 뻗고 발을 얹어 휴식을 위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발을 얹는 발 받침판과 발 받침판의 지지 및 길이 연장을 위한 보조판을 접철식으로 연결 및 제공하여 의자시트에 하부에 장착시켜 슬라이드 타잎으로 인출·사용 및 삽입·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2020000027271U 2000-09-25 2000-09-25 시트 밑에 발 받침판을 내장하는 의자 KR200215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271U KR200215787Y1 (ko) 2000-09-25 2000-09-25 시트 밑에 발 받침판을 내장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271U KR200215787Y1 (ko) 2000-09-25 2000-09-25 시트 밑에 발 받침판을 내장하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787Y1 true KR200215787Y1 (ko) 2001-03-15

Family

ID=7308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271U KR200215787Y1 (ko) 2000-09-25 2000-09-25 시트 밑에 발 받침판을 내장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7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38B1 (ko) * 2019-12-26 2020-03-13 전은희 휴대용 발걸이용 방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38B1 (ko) * 2019-12-26 2020-03-13 전은희 휴대용 발걸이용 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338A (en) Lightweight stabilized raising chair
EP1411801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djustable chairs and beds
US5944338A (en) Wheelchair
GB2313303A (en) Bed frame with expandable end section to increase length
KR100835602B1 (ko) 싱크대용 발판
US3848922A (en) Wheelchair footplate cover cushion
KR102038996B1 (ko) 목욕용 의자
KR200215787Y1 (ko) 시트 밑에 발 받침판을 내장하는 의자
KR20110027901A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절첩식 간이침대
KR101058333B1 (ko) 접이식 의자
KR200263326Y1 (ko) 등판시트와 받침시트가 연계 작동하는 의자
KR200431465Y1 (ko) 절첩식 의자
JP4509333B2 (ja) 便器
KR200395547Y1 (ko) 침대겸용 소파
CN211270456U (zh) 一种可调马桶椅
JP3716013B2 (ja) 学習机用の椅子
CN217137309U (zh) 一种折叠踩脚凳
KR0122957Y1 (ko) 책상용 발 받침구
KR102518356B1 (ko) 접이식 목욕의자
JP3176032B2 (ja) 台所用キャビネット装置
EP0369681A1 (en) Toilet screen
KR200237122Y1 (ko) 절첩식 테이블
EP1785078A2 (en) Support frame
JPS6182710A (ja) 椅子
AU2004202055B2 (en) Multipurpose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