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677Y1 - 재단칼 - Google Patents

재단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677Y1
KR200215677Y1 KR2020000026149U KR20000026149U KR200215677Y1 KR 200215677 Y1 KR200215677 Y1 KR 200215677Y1 KR 2020000026149 U KR2020000026149 U KR 2020000026149U KR 20000026149 U KR20000026149 U KR 20000026149U KR 200215677 Y1 KR200215677 Y1 KR 200215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ting knife
hollow
bush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만호
Original Assignee
손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만호 filed Critical 손만호
Priority to KR2020000026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6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677Y1/ko

Links

Landscapes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단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재단칼(2)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선단에 나사 결합된 결합부재(20)와; 상기 결합부재(20)내에 삽입되어 구비된 캡부재(30)와; 상기 캡부재(30)내에 압입된 안내부재(34)와; 상기 캡부재(30)의 일단에 압입된 부시(36)와; 상기 부시(36)의 일단에 압입되어 구비된 고정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50)내에 삽입된 탄성부재(48)와; 상기 탄성부재(48)내에 삽입되어 구비된 인출부재(40)와; 상기 인출부재(40)의 일단에 압입된 수용부재(60)와; 상기 수용부재(60)의 일단에 압입된 덮개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다수의 칼날부재(80)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칼날부재(80)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칼날부재(80)가 회전되어 곡선등과 같은 재단선을 용이하게 재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단칼{Cutting Knife}
본 고안은 재단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단칼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칼날부재가 회전되어 곡선등과 같은 재단선을 따라 용이하게 재단할 수 있도록 된 재단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원고안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87-24260호와, 제 89-1835호, 제 89-1962호의 재단칼을 개량 고안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다수의 칼날부재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구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칼날부재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칼날부재가 회전되어 곡선등과 같은 재단선을 따라 용이하게 재단할 수 있도록 된 재단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단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재단칼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재단칼을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칼날부재의 사용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도 4a는 칼날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칼날부재가 유동할 수 있도록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재단칼 10: 케이스
12: 나사부 14: 단턱부
16: 주름부재 20: 결합부재
22: 나사부 24: 단턱부
30: 캡부재 32: 후크부
34: 안내부재 36: 부시
40: 인출부재 42: 절개부
44: 경사면 46: 돌출부
48: 탄성부재 50: 고정부재
52: 걸림턱 60: 수용부재
70: 덮개부재 80: 칼날부재
82: 절개홈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재단칼에 있어서, 상기 재단칼의 외형을 이루며, 그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단턱부와 주름부재가 구비된 중공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 단턱부를 갖는 중공의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내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그 일측에는 결합부재의 단턱부가 밀착되어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된 후크부를 갖는 중공의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내에 압입되어 칼날부재를 안내하도록 구비된 중공의 안내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일단에 압입되어 구비된 부시와; 상기 부시의 일단에 그 선단이 압입되어 고정되며,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이 케이스내의 단턱부에 걸림되어 구비된 중공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내에 삽입되어 구비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내에 삽입되어 칼날부재를 파지하여 고정시킴과 아울러 인출시키도록 그 선단에 종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는 그 자체에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부재내에 삽입되며, 이 절개부의 외주면에는 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된 경사면이 형성되고, 후단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일단에 걸림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의 일단에 그 선단이 압입되어 구비되며, 그 내부에 다수의 칼날부재를 수용하도록 된 중공의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일단에 압입되어 구비된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단칼에는 출입자재한 칼날부재가 구비되되, 이 칼날부재의 일면에는 그 일측을 잘라낼 수 있도록 안내부재의 선단부에 대응하게 경사진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 사이의 단위개체 칼날의 형상이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단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재단칼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재단칼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칼날부재의 사용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도 4a는 칼날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칼날부재가 유동할 수 있도록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칼(2)에는 이의 외형을 이루는 중공의 케이스(10)가 구비되는 바, 상기 케이스(10)의 내주면 일측에는 단턱진 단턱부(14)가 형성되고, 내주면 선단에는 나사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재단칼(2)을 사용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주름부재(1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케이스(10)의 선단에는 중공의 결합부재(20)가 구비되되, 이 결합부재(20)는 그 일단 외주면에 케이스(10)의 나사부(12)에 나사 결합되도록 된 나사부(22)가 형성되고, 내주면 일측에는 단턱진 단턱부(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결합부재(20)내에는 중공의 캡부재(30)가 구비되되, 이 캡부재(30)는 그 외주면 일측에 자체 탄성력을 갖는 후크부(3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후크부(32)는 결합부재(20)의 단턱부(24) 일단에 걸림되게 되는 바, 이 후크부(32)는 첨부도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0)의 단턱부(24)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결합부재(20)를 케이스(10)로부터 소정량 풀어내면, 결합부재(20)와 캡부재(30)는 이격된 상태가 되어 결합부재(20)내에서 캡부재(30)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캡부재(30)내에는 인출 또는 인입되는 칼날부재(80)를 안내하도록 된 중공의 안내부재(34)가 압입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안내부재(34)는 그 선단이 칼날부재(80)에 대응하게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캡부재(30)의 일단에는 중공의 부시(36)가 압입되어 구비되고, 이 부시(36)의 일단에는 그 선단이 압입되어 고정된 중공의 고정부재(50)가 구비되되, 이 고정부재(50)는 그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52)이 케이스(10)내의 단턱부(14)에 걸림되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0)내에 구비된 고정부재(50)의 내측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48)가 삽입되어 구비되고, 이 탄성부재(48)내에는 칼날부재(80)를 파지하도록 된 인출부재(40)가 삽입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인출부재(40)는 그 선단에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칼날부재(80)를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절개부(42)가 형성되어 고정부재(50)내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한 절개부(42)는 그 자체에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부여되고, 그 외주면에는 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된 경사면(44)이 형성되며, 후단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부(46)가 형성되어 탄성부재(48)의 일단에 걸림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인출부재(40)는 그 선단의 절개부(42)가 고정부재(50)로부터 인출되게 되면, 이 절개부(42)가 칼날부재(80)를 파지한 상태로 인출되면서 절개부(42)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44)에 의해 점차적으로 벌어져 칼날부재(80)를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인출부재(40)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부(46)가 탄성부재(48)의 일단에 걸림되어 있어, 이 돌출부(46)에 의해서 탄성부재(4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인출부재(40)의 일단에는 그 내부에 다수의 칼날부재(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중공의 수용부재(60)가 구비되는 바, 이 수용부재(60)는 그 일단이 인출부재(40)의 일단에 압입되어 돌출부(46)에 접하게 되고, 타단에는 덮개부재(70)가 압입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덮개부재(70)는 수용부재(60)의 내부를 밀폐시켜 수용부재(60)내에 수용된 칼날부재(8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재단칼(2)에는 출입자재한 칼날부재(80)가 구비되되, 이 칼날부재(80)의 일면에는 그 일측을 잘라낼 수 있도록 안내부재(34)의 선단부에 대응하게 경사진 절개홈(8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82) 사이의 단위개체 칼날의 형상이 ''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절개홈(82)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부재(80)의 전폭길이에 대해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어 파손된 단위개체의 칼날부위를 간편하게 잘라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재단칼(2)의 사용시는 먼저, 사용자가 재단칼(2)내에 구비된 칼날부재(80)를 사용할 만큼 인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사용자는 재단칼(2)의 케이스(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 케이스(10)의 상단부에 구비된 덮개부재(70)를 누르게 되고, 상기와 같이 눌린 덮개부재(70)에 의해서 수용부재(60)와, 인출부재(40)가 고정부재(50)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인출부재(40)는 그 후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46)에 의해서 스프링의 탄성부재(48)를 압축시키며 이동하게 되고, 또한 인출부재(40) 선단의 절개부(42)는 고정부재(50)의 선단부로부터 빠져나와 부시(36) 내부로 인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인출되는 인출부재(40)의 절개부(42)는 그 자체의 벌어지려는 탄성력과, 외주면상에 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된 경사면(44)에 의해서 고정부재(50)로부터 인출되면서 벌어져 확장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인출부재(40)의 절개부(42)에 의해서 칼날부재(80)는 절개부(42)에 파지된 상태로 절개부(42)의 인출량만큼 이동되어 안내부재(34)로부터 인출되게 되고, 절개부(42)가 고정부재(50)로부터 인출되어 확장될 시에는 절개부(42)로부터의 파지된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후, 상기한 덮개부재(7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한 덮개부재(70)와, 수용부재(60), 인출부재(40)가 스프링의 탄성부재(48)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복귀된다.
이때, 상기한 칼날부재(80)는 인출부재(40)의 절개부(42)로부터 해제된 상태이므로 칼날부재(80)는 이동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인출부재(40)의 절개부(42)는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부재(50)내로 삽입되는 바, 상기한 절개부(42)는 외주면상의 경사면(44)에 의해서 벌어져 확장되어 있던 직경이 축소되면서 고정부재(50)내로 삽입되어 인입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50)내로 인입되는 인출부재(40)의 절개부(42)는 다시 칼날부재(80)를 파지하여 고정시키게 되므로써 상기한 재단칼(2)을 사용함에 있어 칼날부재(80)가 케이스(10)내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재단칼(2)은 직선의 재단선을 따라 재단할 경우에는 결합부재(20)의 나사부(22)를 케이스(10)의 나사부(12)에 완전히 체결하여 결합부재(20)의 단턱부(24) 일단을 캡부재(30)의 후크부(32) 일단에 완전히 밀착시켜 압압시킴으로써 캡부재(30)를 결합부재(20)를 매개로 케이스(10)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재단칼(2)로서 곡선의 재단선을 따라 재단할 경우에는 결합부재(20)를 케이스(10)로부터 소정량 풀어내어 결합부재(20)의 단턱부(24)를 캡부재(30)의 후크부(32)로부터 첨부도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시켜 구비하면, 케이스(10)에 고정된 결합부재(20)로부터 캡부재(30)가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이 캡부재(30)가 칼날부재(80)를 구비한 상태로 케이스(10)내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재단칼(2)을 잡고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캡부재(30)와 칼날부재(80)가 회전되면서 상기한 칼날부재(80)의 날부위가 재단선을 따라 회전되어 위치하게 되므로써 곡선의 재단시 사용자에게 보다 간편함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재단칼(2)을 사용하다가 칼날부재(80)의 단위개체의 칼날 일측이 파손된 경우에는 칼날부재(80)의 절개홈(82)을 안내부재(34)의 선단부에 동일한 위치로 구비시킨 후, 상기와 같이 인출된 단위개체의 칼날을 책상등과 같은 단단한 면에 접촉시켜 기울인 상태에서 힘을 가하면, 안내부재(34)의 외측으로 인출된 단위개체의 칼날이 절개홈(82)을 따라 잘려지게 되므로써 칼날부재(80)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재단칼은 다수의 칼날부재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구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칼날부재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칼날부재가 회전되어 곡선등과 같은 재단선을 용이하게 재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재단칼(2)에 있어서,
    상기 재단칼(2)의 외형을 이루며, 그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단턱부(14)와 주름부재(16)가 구비된 중공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 단턱부(24)를 갖는 중공의 결합부재(20)와;
    상기 결합부재(20)내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그 일측에는 결합부재(20)의 단턱부(24)가 밀착되어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된 후크부(32)를 갖는 중공의 캡부재(30)와;
    상기 캡부재(30)내에 압입되어 칼날부재(80)를 안내하도록 구비된 중공의 안내부재(34)와;
    상기 캡부재(30)의 일단에 압입되어 구비된 부시(36)와;
    상기 부시(36)의 일단에 그 선단이 압입되어 고정되며,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52)이 케이스(10)내의 단턱부(14)에 걸림되어 구비된 중공의 고정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50)내에 삽입되어 구비된 탄성부재(48)와;
    상기 탄성부재(48)내에 삽입되어 칼날부재(80)를 파지하여 고정시킴과 아울러 인출시키도록 그 선단에 종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42)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42)는 그 자체에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부재(50)내에 삽입되며, 이 절개부(42)의 외주면에는 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된 경사면(44)이 형성되고, 후단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부(46)가 형성되어 탄성부재(48)의 일단에 걸림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 인출부재(40)와;
    상기 인출부재(40)의 일단에 그 선단이 압입되어 구비되며, 그 내부에 다수의 칼날부재(80)를 수용하도록 된 중공의 수용부재(60)와;
    상기 수용부재(60)의 일단에 압입되어 구비된 덮개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칼(2)에는 출입자재한 칼날부재(80)가 구비되되, 이 칼날부재(80)의 일면에는 그 일측을 잘라낼 수 있도록 안내부재(34)의 선단부에 대응하게 경사진 절개홈(8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82) 사이의 단위개체 칼날의 형상이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칼.
KR2020000026149U 2000-09-18 2000-09-18 재단칼 KR200215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149U KR200215677Y1 (ko) 2000-09-18 2000-09-18 재단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149U KR200215677Y1 (ko) 2000-09-18 2000-09-18 재단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677Y1 true KR200215677Y1 (ko) 2001-03-15

Family

ID=7305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149U KR200215677Y1 (ko) 2000-09-18 2000-09-18 재단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6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0088A (en) Allen wrench handle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KR19990088206A (ko) 스위치드릴럭턴스기기용라미네이션세트
CN212445326U (zh) 工具刀
KR19990088210A (ko) 플라이어를포함하는다기능휴대용공구
US6151992A (en) Cork extractor
KR200215677Y1 (ko) 재단칼
US4928342A (en) Mop holder
JPS61116598A (ja) 芯削り器兼用ノツクボタン
CZ2003727A3 (cs) Držák obušku
KR200261344Y1 (ko) 삽지식 필기구
JPS64807Y2 (ko)
KR200220247Y1 (ko) 오토 매니큐어
JPH0231109Y2 (ko)
KR200331464Y1 (ko) 샤프펜슬
KR200270880Y1 (ko) 지팡이 손잡이의 회전구조
KR101611068B1 (ko) 화장용 도구
KR200406858Y1 (ko) 귀이개가 내장된 손톱깍이
KR200343701Y1 (ko)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JP2595758Y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
KR101922480B1 (ko) 딸깍이 결합형 음료용기
JPS635652Y2 (ko)
JP3086145U (ja) 高所枝鋏の補助握り
KR970001909Y1 (ko) 직선자가 부설된 필통
KR200217495Y1 (ko) 산개장치를 가지는 응원용 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