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463Y1 - 종이 넥타이 - Google Patents
종이 넥타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5463Y1 KR200215463Y1 KR2020000025205U KR20000025205U KR200215463Y1 KR 200215463 Y1 KR200215463 Y1 KR 200215463Y1 KR 2020000025205 U KR2020000025205 U KR 2020000025205U KR 20000025205 U KR20000025205 U KR 20000025205U KR 200215463 Y1 KR200215463 Y1 KR 20021546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piece
- knot
- tie
- extend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고안의 목적은 필요시에 즉시 구입하여 사용하고, 부담없이 버릴 수 있는 일회용 넥타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상기 일회용 넥타이를 종이로 만들어 제작이 용이하면서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종이 넥타이는 통상의 넥타이 모양을 가지는 본체부(10)와 매듭부(20)로 이루어진 표면지(A), 상기 표면지와 동일하게 본체부(10)와 매듭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의 둘레에 형성한 접착편(12)을 이용하여 표면지와 접착시킨 이면지(B), 상기 표면지 및 이면지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매듭부(20)의 속에 넣어 매듭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보강부재(30)와, 상기 매듭부(20)의 속으로 넣어 좌우로 관통시킨 목걸이줄(40)로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종이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넥타이가 준비되지 못한 상태에서 넥타이를 포함하는 정장 차림을 할 필요가 있을 때, 1∼2회에 한하여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라 하면 와이셔츠를 입고 그 위에 정장스타일의 양복을 입었을 때, 셔츠의 목부분과 앞섶을 가려주면서 장신 효과를 높이고자 목에 둘러 묶는 띠를 말한다.
이와 같은 통상의 넥타이는 실크, 울, 면 등의 섬유재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고, 유행에 따라 혹은 입는 양복에 따라 각양 각색의 형태 및 모양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한편, 넥타이를 많이 매는 중, 장년층의 남자들이 직장에 근무를 한다든지 외출을 하는 등 여러 가지 일상생활을 하면서 항상 정장의 상태로 생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여름철에는 셔츠만 입은 채 넥타이를 매지 않는 간편한 복장으로 생활할 때가 많다.
그러나 때때로 넥타이를 매지 않은 상태로 외출 해 있다가 불시에 정장스타일로 넥타이를 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예컨데 사진을 찍어야 한다든지, 중요한 만남을 가져야 한다든지, 상가에 조문을 가야 한다든지 하는 일이 그런 일들이며, 이러한 경우 길어야 1~2시간 정도 매고 있다가 다시 풀게 된다.
상기 예와 같은 경우에 불편한 점은 넥타이를 갑자기 구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긴급히 하나를 구입하려고 해도 마음에 꼭 들지도 않는 제품을 비싸게 구입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며, 더구나 이러한 넥타이는 그 순간 잠깐만 착용하고 다시 풀어 버릴 것이기 때문에 1회 사용이 낭비에 가까운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목적은 필요시에 즉시 구입하여 착용하고, 부담없이 버릴 수 있는 일회용 넥타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상기 일회용 넥타이를 종이로 만들어 제작이 용이하면서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종이 넥타이는 통상의 넥타이 모양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하되, 중앙편과, 상기 중앙편의 좌, 우 양측으로 연장한 연장편과, 상기 중앙편의 상측으로 연장한 덮개편을 포함하는 매듭부로 이루어진 표면지와, 상기 표면지와 동일하게 본체부와 중앙편과, 상기 중앙편의 좌, 우 양측으로 연장한 연장편과, 상기 중앙편의 상측으로 연장한 덮개편을 포함하는 매듭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의 둘레에 형성한 접착편을 이용하여 표면지와 접착시킨 이면지와, 상기 표면지 및 이면지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매듭부의 속에 넣어 매듭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중앙의 역삼각편과, 그 역삼각편으로부터 연장한 좌, 우 양측의 측면판과, 좌, 우 양측 측면판으로부터 연장한 좌, 우 중첩편을 접어서 형성한 보강부재와, 상기 매듭부의 덮개편 속으로 넣어 좌우로 관통시킨 목걸이줄로 구성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완성품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개도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중첩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전개도
도 7은 본 고안의 목걸이줄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본체부 11 : 중첩부
12 : 접착편 20 : 매듭부
21 : 중앙편 22,23 : 좌,우 연장편
24 : 덮개편 30 : 보강부재
31 : 역삼각편 32,33 : 좌, 우 측면판
34,35 : 중첩편 40 : 목걸이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종이 넥타이는 표면지(A)와 이면지(B)를 중첩하여 본체부(10)와 매듭부(20)를 만들고, 매듭부(20)에 보강부재(30)를 넣고, 가로로 목걸이줄(40)을 꿰어 완성시킨다.
즉, 통상의 넥타이 모양을 가지는 본체부(10a)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하되, 중앙편(21a)과, 상기 중앙편의 좌, 우 양측으로 연장한 연장편(22a)(23a)과, 상기 중앙편의 상측으로 연장한 덮개편(24a)을 포함하는 매듭부(20a)로 표면지(A)를 만들고, 상기 표면지와 동일하게 본체부(10b)와 중앙편(21b)과, 상기 중앙편의 좌, 우 양측으로 연장한 연장편(22b)(23b)과, 상기 중앙편의 상측으로 연장한 덮개편(24b)을 포함하는 매듭부(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b)의 둘레에 형성한 접착편(11b)을 갖도록 이면지(B)를 만든다.
이와 같이 만든 이면지(B)의 접착편(11b)들을 안쪽으로 접은 후, 그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표면지(A)를 붙이면 본체부(10)가 완성된다.
한편, 보강부재(30)는 중앙의 역삼각편(31)과, 그 역삼각편으로부터 연장한 좌, 우 양측의 측면판(32)(33)과, 좌, 우 양측 측면판으로부터 연장한 좌, 우 중첩편(34)(35)을 가지도록 재단한 후, 역삼각편(31)으로부터 좌, 우 양측의 측면판(32)(33)을 꺾어 세우고 안쪽으로 좌, 우 중첩편(34)(35)을 접어서 입체가 되도록 완성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보강부재(30)를 도 4에서 보듯이 매듭부(20)의 중앙편(21)에 밀착시킨 후, 좌, 우 양측의 연장편(22)(23)들을 안쪽으로 접어 누르고, 그 뒷편으로 덮개편(24)을 꺾어 덮으면 매듭부(20)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덮개편(24)의 밑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목걸이줄(40)을 개입시켜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편(21)과 이어지는 본체부(10)의 상단에 중첩부(11)를 만들어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도록 하면 넥타이로서의 사실감이 높아진다.
특히, 목걸이줄(4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단에 매듭기구(41)를 가지고 그 끝단에 휴대전화기(50)용 체결기구(42)를 가지는 목걸이줄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전화기용 목걸이줄을 사용하면 목걸이줄과 휴대용전화기용 줄을 중복하여 걸고 다니는 일이 배제된다.
한편, 본 고안의 종이 넥타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지(A)와 이면지(B)를 각각의 덮개편(24a)(24b) 끝단이 맞닿는 상태로 일체가 되도록 재단한 후, 그 경계부분을 접어서 완성시킬 수도 있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지(A)와 이면지(B)를 좌, 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같이 재단한 후, 중첩시켜 만들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종이 넥타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듭부(20)에 관통되도록 꿰어진 고무줄 재질의 목걸이줄(40)을 목어 걸어 착용할 수 있으며, 또 상기 목걸이줄(40)을 벗어 버리므로써 풀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종이 넥타이는 제작이 매우 간편하고, 제조원가가 낮기 때문에 제품 가격이 저렴하여 1회용으로써 구입하기에 부담이 없는 장점이 있고, 시중의 편의점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갑자기 넥타이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목걸이줄을 휴대전화기용 줄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줄을 제외한 넥타이만을 판매 또는 구입할 수 있어 경제적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 통상의 넥타이 모양을 가지는 본체부(10a)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하되, 중앙편(21a)과, 상기 중앙편의 좌, 우 양측으로 연장한 연장편(22a)(23a)과, 상기 중앙편의 상측으로 연장한 덮개편(24a)을 포함하는 매듭부(20a)로 이루어진 표면지(A)와,상기 표면지와 동일하게 본체부(10b)와 중앙편(21b)과, 상기 중앙편의 좌, 우 양측으로 연장한 연장편(22b)(23b)과, 상기 중앙편의 상측으로 연장한 덮개편(24b)을 포함하는 매듭부(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b)의 둘레에 형성한 접착편(12)을 이용하여 표면지와 접착시킨 이면지(B)와,상기 표면지 및 이면지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매듭부(20)의 속에 넣어 매듭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중앙의 역삼각편(31)과, 그 역삼각편으로부터 연장한 좌, 우 양측의 측면판(32)(33)과, 좌, 우 양측 측면판으로부터 연장한 좌, 우 중첩편(34)(35)을 접어서 형성한 보강부재(30)와,상기 매듭부(20)의 덮개편(24) 속으로 넣어 좌우로 관통시킨 목걸이줄(40)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넥타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한 표면지(A)와 이면지(B)는 각각의 덮개편(24a)(24b) 끝단이 맞닿는 상태로 일체가 되도록 재단한 후, 그 경계부분을 접어서 접착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넥타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한 본체부(10)는 매듭부(20)의 중앙편(21)과 이어지는 부분에 중첩부(11)를 형성하여 이 중첩부(11)가 매듭부(20)의 속으로 들어가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넥타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한 목걸이줄(40)은 중단에 매듭기구(41)를 가지고 그 끝단에 휴대전화기용 체결기구(42)를 가지는 목걸이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넥타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5205U KR200215463Y1 (ko) | 2000-09-05 | 2000-09-05 | 종이 넥타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5205U KR200215463Y1 (ko) | 2000-09-05 | 2000-09-05 | 종이 넥타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5463Y1 true KR200215463Y1 (ko) | 2001-03-15 |
Family
ID=7308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5205U KR200215463Y1 (ko) | 2000-09-05 | 2000-09-05 | 종이 넥타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5463Y1 (ko) |
-
2000
- 2000-09-05 KR KR2020000025205U patent/KR200215463Y1/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637034A (en) | Collar protector | |
KR200215463Y1 (ko) | 종이 넥타이 | |
JP4147332B1 (ja) | 新しい軽装帯 | |
US20060254085A1 (en) | Thong sandal accessory | |
JP3175830U (ja) | 鞄用持ち手 | |
US2444761A (en) | Emergency rain garment | |
US4613992A (en) | 9/1 necktie | |
KR101588756B1 (ko) | 외형이 유지되는 모자 | |
JP3119969U (ja) | ニューアスコットタイ | |
US2426565A (en) | Garment | |
JPS5846089Y2 (ja) | 帯枕 | |
JP2003013308A (ja) | 簡易着物 | |
US2153066A (en) | Automatic collar-attaching necktie | |
KR200291455Y1 (ko) | 넥타이 | |
JP3129734U (ja) | 襟芯 | |
KR200254557Y1 (ko) | 조립 넥타이의 매듭부 | |
JP3658576B2 (ja) | 簡易帯 | |
KR200240356Y1 (ko) | 스카프 | |
JPH0118589Y2 (ko) | ||
KR200158613Y1 (ko) | 매듭없는 넥타이 | |
KR200231791Y1 (ko) | 끈 달린 모피 목도리 | |
JP3105047U (ja) | 止着部付き顔カバー | |
JP2005113289A (ja) | 肩掛け衣服 | |
KR940002685Y1 (ko) | 넥타이 | |
KR200327781Y1 (ko) | 유아용 셔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