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385Y1 -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난방용 밸브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난방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385Y1
KR200215385Y1 KR2019980020050U KR19980020050U KR200215385Y1 KR 200215385 Y1 KR200215385 Y1 KR 200215385Y1 KR 2019980020050 U KR2019980020050 U KR 2019980020050U KR 19980020050 U KR19980020050 U KR 19980020050U KR 200215385 Y1 KR200215385 Y1 KR 200215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acking
heating
inle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373U (ko
Inventor
정욱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80020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38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3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385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난방용 밸브에 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밸브 패킹을 개량하여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더 나가서 난방기 전체의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한 밸브 하우징의 속에 내장하되, 밸브 피스톤의 하단에 고정된 채, 유입구의 안착부에 접할 수 있는 패킹, 상기한 밸브 피스톤의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밀폐를 위한 실링부재로 이루어진 난방용 밸브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그 하단의 모서리를 면취부로 처리함과 동시에 그 윗단에 환테홈을 형성하여 유입구의 틈새가 좁아졌을 때, 냉각수의 흐름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난방용 밸브
본 고안은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난방용 밸브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난방용 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밸브가 열고 닫히는 순간에 진동 및 소음이 예방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난방장치는 엔진 냉각수의 흐름을 난방용 히터로 우회시키므로서 냉각수의 열을 이용하는 바, 필요에 따라 냉각수가 방열기로 유입되게하고, 또 냉방을 할 때는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조작하는 것이 난방용 밸브이다.
이러한 종래의 난방용 밸브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구(11)과 유출구(12)을 가지는 밸브 하우징(1)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11)을 차단할 수 있는 패킹(2)을 내장하되, 상기 패킹(2)은 밸브 피스톤(16)의 끝단에 축착된 채 실링부재(15) 및 가이드부재(14)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밸브 피스톤(16)의 상단에 연결되는 콘트롤 케이블(17)로써, 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패킹(2)은 원통형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유입구(11)의 안착부(13)에 접촉하여 냉각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어 있는 바, 종래의 패킹(2)은 그 하단의 형상이 통상적인 라운드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피스톤(16)을 하강시켜 밸브가 거의 닫히는 시점에서 밸브에 유입되는 냉각수의 흐름이 달라지기 때문에 패킹(2)에 작용하는 유압과 밸브 피스톤(16)을 잡고 있는 콘트롤 케이블(17)의 장력이 거의 동일해지는데 따라서 밸브 피스톤(16)이 균일한 압력을 받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진동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 진동이 난방기 전체에 전달되어 진동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밸브 패킹을 개량하여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더 나가서 난방기 전체의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한 밸브 하우징의 속에 내장하되, 밸브 피스톤의 하단에 고정된 채, 유입구의 안착부에 접할 수 있는 패킹, 상기한 밸브 피스톤의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밀폐를 위한 실링부재로 이루어진 난방용 밸브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그 하단의 모서리를 면취부로 처리함과 동시에 그 윗단에 환테홈을 형성하여 유입구의 틈새가 좁아졌을 때, 냉각수의 흐름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밸브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밸브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브 하우징 2 : 패킹
11 : 유입구 12 : 유출구
13 : 안착부 14 : 가이드부재
15 : 실링부재 16 : 밸브 피스톤
17 : 케이블 18 : 회동부재
21 : 환테홈 22 : 면취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난방용 밸브의 단면도로서, 내부 구성을 볼 수 있다.
즉, 밸브는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가지는 밸브 하우징(1)과, 상기한 밸브 하우징의 속에 내장하되, 밸브 피스톤(16)의 하단에 고정된 채, 유입구(11)의 안착부(13)에 접할 수 있는 패킹(2)과, 상기한 밸브 피스톤(16)의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4)와, 밀폐를 위한 실링부재(1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밸브 피스톤(16)은 그 상단에 연결한 회동부재(18)를 케이블(17)로 연결하여, 상기 케이블(17)을 당기면 위로 열리고, 놓으면 아래로 닫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패킹(2)의 형상을 개선한 것으로, 그 하단의 모서리를 모떼기 형태로 혹은 라운드 형태로 하는 면취부(22)로 처리함과 동시에 그 윗단에 환테홈(21)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난방용 밸브는 냉각수가 유입구(11)로부터 유출구(12)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운전자가 운전석의 노브를 ON조작하여 케이블(17)을 당기면, 밸브 피스톤(16)이 상승하여 유입구(11)가 열리고, 노브를 OFF조작하여 케이블(17)을 늦추면, 밸브 피스톤(16)이 하강하여 유입구(11)가 닫히는 것인 바, 이는 종래의 작동과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패킹(2)에는 환테홈(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피스톤(16) 즉, 패킹(2)이 하강하여 유입구(11)를 차단할 시점이 되면 유입구(11)의 틈새가 좁아지더라도 유입구(11)로 흐르는 냉각수가 패킹(2)의 환테홈(21)에 부딪혀 운동방향 및 운동량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그 일부가 밸브를 여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게 되고, 따라서 밸브의 피스톤을 늦추어 가고 있는 케이블(17)의 힘을 어느정도 보상하게 되며, 케이블(17)의 인장력이 더 큰힘을 가지게 되므로 밸브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패킹(2)의 하단부에 환테홈(21)을 형성하여, 난방용 밸브속을 흐르는 냉각수의 운동량에 변화를 주고, 이 변화를 이용하여 진동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밸브의 차폐에 따른 진동이 예방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난방기구 전체의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가지는 밸브 하우징(1)과, 상기한 밸브 하우징의 속에 내장하되, 밸브 피스톤(16)의 하단에 고정된 채, 유입구(11)의 안착부(13)에 접할 수 있는 패킹(2)과, 상기한 밸브 피스톤(16)의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4)와, 밀폐를 위한 실링부재(15)로 이루어진 난방용 밸브에 있어서,
    상기 패킹(2)은 그 하단의 모서리를 면취부(22)로 처리함과 동시에 그 윗단에 환테홈(21)을 형성하여 유입구(11)의 틈새가 좁아졌을 때, 냉각수의 흐름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난방용 밸브.
KR2019980020050U 1998-10-20 1998-10-20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난방용 밸브 KR200215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50U KR200215385Y1 (ko) 1998-10-20 1998-10-20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난방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50U KR200215385Y1 (ko) 1998-10-20 1998-10-20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난방용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73U KR20000008373U (ko) 2000-05-15
KR200215385Y1 true KR200215385Y1 (ko) 2002-05-09

Family

ID=6952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050U KR200215385Y1 (ko) 1998-10-20 1998-10-20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난방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3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73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1953A (ko) 비례 압력 조절 밸브
CN110741144A (zh) 用于废气涡轮增压机的调节设备
KR102634448B1 (ko) 차량의 가변형 배기밸브
US5511531A (en) EGR valve with force balanced pintle
KR950009037A (ko) 수압밸브
CA2282037A1 (en) Valve control system
KR20110092271A (ko) 내연 엔진 구동 차량을 위한 온도 조절 밸브 장치 및 냉각 시스템
KR200215385Y1 (ko)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난방용 밸브
US2844352A (en) Thermoplastic valve
US5675969A (en) Exhaust gas control devic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87000204A (ko) 자동차에 있어서의 미끄럼 제어되는 액압 브레이크장치를 위한 전자조작밸브(An Electromagnetic Control Valve for Sliping Controlled Hydraulic Brake System in Automobile)
US11408513B2 (en) Aviation valve with status indicator
KR0134618B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09469758A (zh) 用于控制流体的阀
US20170115041A1 (en) Valve mechanism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CA1078703A (en) Valve for controlling liquid flow
KR100998510B1 (ko) 밸브의 냉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252246B1 (ko) 자동차엔진용실린더헤드개스킷
KR100328231B1 (ko) 유압제동장치의 솔레노이드 밸브
KR200176669Y1 (ko) 플랜지형 유체밸브
JP2003027904A (ja) 蒸気弁
KR100372105B1 (ko) 차량의 서모스탯용 지글밸브
KR200149379Y1 (ko) 자동차용 엔진의 흡기밸브
KR900003760Y1 (ko) 압력 조정 밸브
KR100756941B1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