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197Y1 - 주차기의 프레임구조 - Google Patents
주차기의 프레임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5197Y1 KR200215197Y1 KR2020000025742U KR20000025742U KR200215197Y1 KR 200215197 Y1 KR200215197 Y1 KR 200215197Y1 KR 2020000025742 U KR2020000025742 U KR 2020000025742U KR 20000025742 U KR20000025742 U KR 20000025742U KR 200215197 Y1 KR200215197 Y1 KR 2002151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member
- fixing
- pallet
- column
- column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기의 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컬럼부재(10)와; 이 컬럼부재(10)에 횡방향으로 교차 고정되는 레일부재(20)와; 이 레일부재(20)의 안내로 탑재된 차량을 이동시키는 파렛(30)과; 상기 레일부재(20)를 컬럼부재(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40)으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레일부재(20)의 하측으로 고정앵글(41)을 부착 설치하고, 이 고정앵글(41)의 상부에 레일부재(20)의 수직면(21)이 컬럼부재(10) 외측에 위치되도록 레일부재(20)를 볼트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비교적 길고 무거운 레일부재(20)의 설치위치를 감안하여 고정앵글(41)을 우선 컬럼부재(10)에 설치한 후 그 상부에 레일부재(20)를 얹쳐 고정시키므로써 레일부재(20)를 들어 올리기 위한 인력이나 체인블록과 같은 리프팅도구가 필요없어 설치 고정작업이 용이하다.
또 볼트고정용 구멍위치가 일치되도록 하는 수정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파렛(30)의 무거운 하중을 지지하는 위치로 레일부재(20)의 수직면이 위치되므로 토션 작용으로 레일부재(20)가 비틀려 파렛(30) 롤러와 낌이나 이상 구동에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동력의 손실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주차기의 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차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조립성 및 강성과 내구성이 향상되고 설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여러대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주차공간에 주차기 승강대를 구비하고, 보관실을 다층으로 설치 사용하고 있다.
즉, 주차장치는 전면이 개구되어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승강장치에 의해 승하강 됨과 동시에 일측으로 회전되는 케이지가 설치되며 좌우 양측에는 운전자통로가 형성된 입고실과, 상기 입고실로 입고된 차량을 순차적으로 격납시키도록 하는 수개의 격납고와, 상기 격납고로 차량이 보관되도록 함과 동시에 격납고에 보관중인 차량이 케이지로 안내되도록 하는 파렛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출입구를 통해 케이지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파렛트에 차량이 위치되도록 입고실로 입고되면, 상기 파렛트가 승강장치에 의해 상부로 승강되면서 차량이 주차되어야 할 격납고 위치까지 승강되고, 상기 파렛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파렛트가 격납고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격납고에 수개의 차량을 격납 시켜 가면서 주차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주차장치는 주로 'I'형강 내지 'ㄷ'형강등을 종/횡으로 배치하여 용접 내지 볼팅으로 서로 죠인트시켜 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종래 주차장치의 프레임구조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컬럼부재(10)에 레일부재(20)가 횡으로 교차되도록 배치한 후 그 교차부분을 볼트로 볼팅하게 되는데, 컬럼부재(10)는 주로 'I'형강을 이용하구 그 일측에 'ㄷ'형상의 레일부재(20)를 위치시켜 볼팅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주차기의 프레임구조는, 수직한 컬럼부재(10)에 일정높이로 레일부재(20)를 위치시킨 상태로 볼팅하는 과정에서 레일부재(20)를 들어 올려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거나 또는 체인블록같은 기구를 이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조립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이나 도구 동원으로 인해 작업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승용차가 탑재되는 파렛(30)이 레일부재(20)를 따라 이동될 때 그 하중이 'ㄷ'형상으로 된 레일부재(20)의 얇은 끝단부에 집중 작용된다.
그러므로, 레일부재(20)가 파렛(30)의 하중으로 토션이 발생되어 파렛롤러와 낌현상이 발생되어 정상 구동을 방해하거나, 소음이 발생되고 동력손실이 커지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컬럼부재(10)가 'I'형강으로 이루어져 취급이 불편하여 현장반입 및 설치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그 단면계수가 비교적 작으므로써 큰 하중을 견디지 못하는 등의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컬럼부재에 교차 설치되는 레일부재가 일정 설치 높이에서 받쳐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이 용이하고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주차기의 프레임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렛 하중에 의한 토션발생을 방지하여 보다 내구성과 정숙성 및 동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주차기의 프레임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컬럼부재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현장반입 및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주차기의 프레임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주차기의 프레임구조 및 동력 구동부를 보인 장치도
도 5는 구동부의 스프라켓이 컬럼 외측에서 샤프트를 지지하는 두 베어링의 사이 내측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도
도 6과 도 7은 동력 구동부가 전체 주차기의 하측 바닥에 위치되는 것을 도시한 장치도
도 8은 본 고안의 레일부재 수직면이 컬럼부재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고정앵글로 받쳐서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10은 구동부가 지면 하측에 설치되는 실시 상태를 도시한 장치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컬럼부재 20 - 레일부재
21 - 수직면 30 - 파렛
40 - 고정수단 41 - 고정앵글
42 - 볼트 50 - 동력구동부
53 - 베어링 54 - 스프라켓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컬럼부재(10)와;
이 컬럼부재(10)에 횡방향으로 교차 고정되는 레일부재(20)와;
이 레일부재(20)의 안내로 탑재된 차량을 이동시키는 파렛(30)과;
상기 레일부재(20)를 컬럼부재(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40)으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레일부재(20)의 하측으로 고정앵글(41)을 부착 설치하고, 이 고정앵글(41)의 상부에 레일부재(20)의 수직면(21)이 컬럼부재(10) 외측에 위치되도록 레일부재(20)를 볼트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비교적 길고 무거운 레일부재(20)의 설치위치를 감안하여 고정앵글(41)을 우선 컬럼부재(10)에 설치한 후 그 상부에 레일부재(20)를 얹쳐 고정시키므로써 레일부재(20)를 들어 올리기 위한 인력이나 체인블록과 같은 리프팅 도구가 필요없어 설치 고정작업이 용이하다.
또 볼트고정용 구멍위치가 일치되도록 하는 수정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파렛(30)의 무거운 하중을 지지하는 위치로 레일부재(20)의 수직면이 위치되므로 토션 작용으로 레일부재(20)가 비틀려 파렛(30) 롤러와 낌이나 이상 구동에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동력의 손실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주차기의 프레임구조 및 구동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동력 구동부의 스프라켓이 컬럼 외측에서 샤프트(52)를 지지하는 두 베어링(53)의 사이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보이고, 도 6과 도 7은 동력 구동부가 전체 주차기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에 의해 레일부재(20)의 수직면(21)이 컬럼부재(10)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하고 고정앵글(41)에 의해 받쳐지는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9는 도 8의 요부를 확대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동력 구동부가 지면 하측에 설치되는 실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컬럼부재(10)는 전체 주차기를 구성하는 프레임 중에서 특히 기둥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며, 이 컬럼부재(10)에 횡방향으로는 레일부재(20)들이 교차되게 고정 설치된다.
이 레일부재(20)는 차량이 탑재된 파렛(30)이 횡으로 이동가능 하게 레일 역할을 수행하며 파렛(30)에는 구름 바퀴역할을 위해 파렛롤러(31)들이 레일부재(20)상부에서 회전 자유롭게 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재(20)는 컬럼부재(10)와 교차되는 부분에서 고정수단(40)으로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레일부재(20)와 컬럼부재(10)의 고정수단(40)은 레일부재(20)의 하측으로 고정앵글(41)을 부착 설치하고, 이 고정앵글(41)의 상부에 레일부재(20)의 수직면(21)이 컬럼부재(10) 외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레일부재(20)와 고정앵글(41)을 볼트(42)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 고정앵글(41)은 대략 컬럼부재(10)의 폭보다 같거나 다소 긴 길이로 레일부재(20)가 얹혀지는 높이를 감안하여 미리 각 컬럼부재(10)마다 볼트(4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레일부재(20)가 설치될 위치에 미리 레일부재(20)가 얹혀질 수 있도록 고정앵글(4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지 레일부재(20)를 들어 얹혀놓은 다음 드릴공구로 볼트(42)가 통과될 수 있는 볼트공을 뚫은 후 볼트(42)로 각각 나사 체결하는 것에 의해 레일부재(20)와 컬럼부재(10)가 고정앵글(41)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고정앵글(41)을 이용하게 될 경우 정확한 설치위치로 무거운 레일부재(20)를 들어 올린후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없게 되므로, 볼트(42)체결을 위한 구멍일치작업 내지 수정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성이 개선되는 것이다.
한편, 'ㄷ'형 단면으로 된 상기 레일부재(20)를 고정앵글(41)에 고정시킬 때 수직면(21)을 컬럼부재(10)에 직접 접촉시키기 않고 외측으로 떨어진 상태로 도 9에서와 같이 고정앵글(41)에 설치하므로써, 파렛(30)의 하중에 의한 토션이 작용되는 부위를 보다 보강하는 결과로 레일부재(20)의 비틀림이나 변형 염려가 없다.
따라서, 토션 작용으로 레일부재(20)가 비틀려 파렛(30) 롤러와 낌이나 이상구동에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동력의 손실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컬럼부재(10)를 종래 'I'형 단면에서 사각파이프형상으로 설치하는 경우 제품의 경량화로 현장 반입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원가 절감면에서 효과적이다.
한편, 주차 승강대를 승하강 시키는 동력 구동부(50)가 설치되는데, 이 동력 구동부(50)의 스프라켓(54)이 종래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샤프트(52)를 지지하는 두 베어링(53)의 외측단에 치우쳐 설치되므로써, 구동력의 균형이 어긋나 샤프트(52) 및 이를 지지하는 베어링(53)의 크기를 크게 설계해야 한다.
이에 반하여 도 5에서와 같이 동력 구동부(50)의 스프라켓(54)을 두 베어링(53)의 사이에 오도록 배치할 경우 감속기(51)에서 횡이송용 샤프트(52)로 전달되는 구동 회전력이 베어링(53)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므로써 안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베어링(53)과 샤프트(52)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동력 구동부(50)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설치가 난해하고 주차기 설치공간에서 구동부(50) 설치면적이 추가로 필요하다.
그러나, 도 6 및 도 7,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동력 구동부(50)를 지하 바닥면에 설치할 경우 설치가 용이하고 파렛(30) 밑면 여유공간을 이용하므로써 전체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비교적 길고 무거운 레일부재(20)의 설치위치를 감안하여 고정앵글(41)을 우선 컬럼부재(10)에 설치한 후 그 상부에 레일부재(20)를 얹쳐 고정시키므로써 레일부재(20)를 들어 올리기 위한 인력이나 체인블록과 같은 리프팅도구가 필요없어 설치 고정작업이 용이하다.
또 볼트고정용 구멍위치가 일치되도록 하는 수정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파렛(30)의 무거운 하중을 지지하는 위치로 레일부재(20)의 수직면이 위치되므로 토션 작용으로 레일부재(20)가 비틀려 파렛(30) 롤러와 낌이나 이상 구동에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동력의 손실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 수직으로 세워지는 컬럼부재(10)와;이 컬럼부재(10)에 횡방향으로 교차 고정되는 레일부재(20)와;이 레일부재(20)의 안내로 탑재된 차량을 이동시키는 파렛(30)과;상기 레일부재(20)를 컬럼부재(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40)으로 된 것에 있어서;상기 고정수단(40)은 레일부재(20)의 하측으로 고정앵글(41)을 부착 설치하고, 이 고정앵글(41)의 상부에 레일부재(20)의 수직면(21)이 컬럼부재(10) 외측에 위치되도록 레일부재(20)를 볼트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기의 프레임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럼부재(10)는 사각단면형상의 사각파이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기의 프레임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5742U KR200215197Y1 (ko) | 2000-09-08 | 2000-09-08 | 주차기의 프레임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5742U KR200215197Y1 (ko) | 2000-09-08 | 2000-09-08 | 주차기의 프레임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5197Y1 true KR200215197Y1 (ko) | 2001-03-02 |
Family
ID=7308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5742U KR200215197Y1 (ko) | 2000-09-08 | 2000-09-08 | 주차기의 프레임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5197Y1 (ko) |
-
2000
- 2000-09-08 KR KR2020000025742U patent/KR20021519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05086B2 (en) | Attachment lift | |
KR200215197Y1 (ko) | 주차기의 프레임구조 | |
JPH11217950A (ja) | 駐車設備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 |
JPH0776946A (ja) | 二段式立体駐車装置 | |
JP2936471B2 (ja) | 二段駐車装置 | |
KR100295876B1 (ko) | 엘리베이터방식주차설비의턴테이블장치 | |
JP5667825B2 (ja) | ゲート装置 | |
JP3833203B2 (ja) | 機械式駐車装置 | |
JP4620989B2 (ja) | 立体駐車装置 | |
JP3833204B2 (ja) | 機械式駐車装置 | |
JP5647631B2 (ja) | 機械式駐車装置及びその組立工法 | |
JP3684224B2 (ja) | 立体駐車装置 | |
JPH0419158Y2 (ko) | ||
JP4033761B2 (ja) | 機械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駐車棚 | |
JPH05133128A (ja) | 複層式地下駐車設備の据付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据付作業車 | |
KR20240003199A (ko) | 2단식 차량 주차설비 | |
JPH05133129A (ja) | 複層式地下駐車設備の据付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運搬装置 | |
JPH0356598Y2 (ko) | ||
KR100237618B1 (ko) | 승강식 주차설비의 리프트처짐방지장치 | |
JPS6319487Y2 (ko) | ||
JPH0738577Y2 (ja) | 組立自在型2層式駐車装置 | |
JPH09221930A (ja) | 駐車装置 | |
JPH08170437A (ja) | 立体駐車装置 | |
JP2003120063A (ja) | 多段式駐車装置の据付方法 | |
JPH06247509A (ja) |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18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