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517Y1 -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 - Google Patents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517Y1
KR200214517Y1 KR2019980014909U KR19980014909U KR200214517Y1 KR 200214517 Y1 KR200214517 Y1 KR 200214517Y1 KR 2019980014909 U KR2019980014909 U KR 2019980014909U KR 19980014909 U KR19980014909 U KR 19980014909U KR 200214517 Y1 KR200214517 Y1 KR 200214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taples
synthetic resin
waterproof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186U (ko
Inventor
전인기
Original Assignee
전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기 filed Critical 전인기
Priority to KR2019980014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51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1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5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specially adapted for sweaty feet; waterproof
    • A43B17/107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specially adapted for sweaty feet; waterproof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창의 가운데층에 방수성을 나타내는 합성수지층을 삽입시켜 구성된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은, 적어도 20 내지 50중량%의 저융점의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을 천연섬유의 스테이플과 30 내지 70 : 70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섬유성분을 통상의 제지방법에 따라 가열압착하고, 건조시켜 박판상으로 성형한 원지를 사용한 원지층(1)(2)들을 역시 박판상으로 성형한 합성수지층(3)을 중심으로 상하로 적층하고 10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압착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신발을 구성하는 외피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중창에 의하여 방수되어 중창 또는 중창의 상방에 위치하는 안창과 접촉하는 발이 물에 젖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
본 고안은 운동화나 구두 등의 신발에 사용되는 신발용 중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창의 가운데층에 방수성을 나타내는 합성수지층을 삽입시켜 구성된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운동화나 구두 등의 신발은 밑창, 중창, 안창 및 발을 감싸고 있는 외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안창이 생략되고 직접 중창이 발 또는 발에 신고있는 양말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밑창은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서 내마모성이 우수하여야 하며, 또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탄력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중창 및 안창은 상기 밑창과 발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탄성을 가져야 하며, 또한 발의 위생을 위하여 통상 땀과 같은 수분의 흡수력 및 발산력을 가지며 통풍을 위한 적절한 통기성 등을 가져야 한다.
특히, 상기 중창은 안창의 유무에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밑창과 발 사이에 위치하는 주요 부재로서, 신발 전체의 형상유지 및 충격완화, 밑창 파손시의 발의 보호, 완충작용 및 탄성에 의한 발의 보호 등 기능적인 면에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 아니할 수 없다.
종래의 신발용 중창은 주로 천연펄프 또는 천연섬유와 화학섬유의 폐사를 가공한 보드 등을 소재로 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천연펄트 및 섬유폐사가 획득 및 처리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천연소재 자체에 기인하는 통기성 및 착용감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용 중창은 단지 천연섬유와 합성섬유를 혼합하여 단일층으로 성형하여 제조하였었기 때문에 물과 장시간 접촉하는 경우 섬유질간의 접착상태의 해교가 일어나면서 쉽게 풀어져서 중창 자체의 기계적성질을 유지하지 못하고, 결국, 신발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발을 구성하는 외피의 손상시 직접 물이 발과 접촉하는 중창 또는 중창 위의 안창에까지 스며들어 발을 적시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을 구성하는 밑창의 손상시에도 충분히 방수기능을 나타내어 중창 또는 중차의 상방에 위치하는 안창과 접촉하는 발이 젖지 않도록 하는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원지층 3 : 합성수지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은, 적어도 20 내지 50중량%의 저융점의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을 천연섬유의 스테이플과 30 내지 70 : 70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섬유성분을 통상의 제지방법에 따라 가열압착하고, 건조시켜 박판상으로 성형한 원지를 사용한 원지층들을 역시 박판상으로 성형한 합성수지층을 중심으로 상하로 적층하고 10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 압착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은, 천연섬유의 스테이플과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된 원지를 원지층(1)(2)으로 사용하여 이를 방수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합성수지층(3)의 상하에 위치하도록 하여 적층한 후, 가열압착하여 일체화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지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의 저융점의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을 천연섬유의 스테이플과 30 내지 70 : 70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섬유성분을 통상의 제지방법에 따라 가열압착하여 성형된 것이다. 이러한 원지를 사용한 원지층(1)(2)은 신발에 적용시킴에 있어 적절한 흡수성, 탄력성 및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적성질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적층되어 형성된 중창에 있어서, 합성수지의 상방에 위치하는 원지층(1)이 합성수지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지층(2)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완성된 신발에서 외피의 손상 등으로 인하여 상기 합성수지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지층(2)이 일단 물과 접촉하여 섬유질간의 접착상태의 해교에 의하여 풀어져서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에도 상기 합성수지의 상방에 위치하는 원지층(1) 만으로도 상기한 바와 같은 소정의 흡수성, 탄력성 및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적성질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지에서의 섬유성분은 적어도 20 내지 50중량%의 저융점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을 천연섬유의 스테이플과 30 내지 70 : 70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서 수득되는 것으로서, 상기 저융점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이 상기 합성섬유의 스테이플과 천연섬유의 스테이플들을 서로 결합 및 수득된 원지층과 합성수지층 사이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특히 가열압착 동안에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상기와 같은 접착성을 나타낸다. 상기 저융점의 합성섬유로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천연섬유의 스테이플은 면이나 셀룰로오스 등의 천연산물로서의 섬유질 성분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또한 상용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합성섬유의 스테이플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레이온 등 합성섬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들이 역시 본 고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지층(1)(2)들과 함께 적층되어 방수성을 나타내는 합성수지층(3) 역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의 범용 합성수지등 일반적으로 방수성을 나타내는 모든 종류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중창이 적용되는 신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상기 중창은 원지층(1)(2)들을 상기 합성수지층(3)의 상,하에 위치하도록 적층하여 가열압착된 후의 두께가 1 내지 3.5mm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이 비록 신발용 중창에 관하여만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중창은 또한 가방지와 같이 외기에 노출되는 가죽제품 등의 보강재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신발을 구성하는 외피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중창에 의하여 방수되어 중창 또는 중창의 상방에 위치하는 안창과 접촉하는 발이 물에 젖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20 내지 50중량%의 저융점의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합성섬유의 스테이플을 천연섬유의 스테이플과 30 내지 70 : 70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섬유성분을 통상의 제지방법에 따라 가열압착하고, 건조시켜 박판상으로 성형한 원지를 사용한 원지층들을 역시 박판상으로 성형한 합성수지층을 중심으로 상하로 적층하고 10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압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상방에 위치하는 원지층이 합성수지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지층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의 상,하에 위치하는 원지층들이 적층되어 가열압착된 후의 두께가 1 내지 3.5mm의 범위 이내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
KR2019980014909U 1998-08-07 1998-08-07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 KR200214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909U KR200214517Y1 (ko) 1998-08-07 1998-08-07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909U KR200214517Y1 (ko) 1998-08-07 1998-08-07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186U KR19980065186U (ko) 1998-11-25
KR200214517Y1 true KR200214517Y1 (ko) 2001-03-02

Family

ID=4216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909U KR200214517Y1 (ko) 1998-08-07 1998-08-07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5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0119A2 (en) * 2008-05-10 2009-11-19 Tracy Glover Shoe p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078B1 (ko) * 2002-09-09 2005-09-22 (주)풍전티.티 종이 형태로 가공할수 있는 포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0119A2 (en) * 2008-05-10 2009-11-19 Tracy Glover Shoe pad
WO2009140119A3 (en) * 2008-05-10 2010-02-18 Tracy Glover Shoe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186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9903A (en) Protective waterproof shoe
US3835558A (en) Insole
JP4008349B2 (ja) 靴の防水・通気性底革用間底およびこの間底を備えてなる防水・通気性底革
US4602442A (en) Shoe insole and the manufacture thereof
CA1102114A (en) Sheet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cushioning insoles
US2391564A (en) Shoe and outsole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14061454A (ja) 靴底複合材、それにより構成された靴製品およびそのような靴製品の製造方法
GB2311204A (en) Sole-shaped sweat-absorbing disposable hygenic insert
US6665955B1 (en) Footwear sol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3906570A (en) Method of making an insole
KR200214517Y1 (ko) 방수가능한 신발용 중창
EP2386217B1 (en) Coun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hoe by using counter
GB2306392A (en) Waterproof insole material
US325785A (en) Fabric for shoe-soles and other purposes
KR200214518Y1 (ko) 웰트처리가능한 신발용 중창
KR100707344B1 (ko) 재생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열융합 신발중창의 제조방법
KR200361965Y1 (ko) 활성탄소가 첨가된 코이어판이 삽입된 기능성 발포체안창
RU2160025C2 (ru) Обувная стелька с модельной вставкой
CN214710840U (zh) 鞋垫
KR0142121B1 (ko) 신발깔창재 및 이 신발깔창재로 되는 신발깔창
EP0155248A1 (en) Sole for use as a loose inner sole or as an insole
JPS5927130Y2 (ja) 射出成形靴
KR100820979B1 (ko) 신발 안창 제조 방법
JPS6126361B2 (ko)
JPH04115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