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482Y1 -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 - Google Patents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82Y1
KR200214482Y1 KR2020000027054U KR20000027054U KR200214482Y1 KR 200214482 Y1 KR200214482 Y1 KR 200214482Y1 KR 2020000027054 U KR2020000027054 U KR 2020000027054U KR 20000027054 U KR20000027054 U KR 20000027054U KR 200214482 Y1 KR200214482 Y1 KR 200214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ire
flexible conduit
flexible
fir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식
Original Assignee
손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식 filed Critical 손진식
Priority to KR2020000027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82Y1/ko

Links

Landscapes

  • Fire Alarm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화재감지 경보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을 보호하는 가요전선관과, 열감지 캡을 지지하는 베이스가 직접 체결되게 하여 전선의 외부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는 가요전선관의 단부와 체결되는 부분이 없어 베이스에 전선을 접속시킨 후 방치하게 되어 특성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지점측으로 점차 올라가게 되므로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누전 또는 단락과 같은 전기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베이스의 후면 중앙부로부터 소정길이로 원통형 가요전선관 지지대를 돌출·형성하고, 그 내부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가요전선관 커넥터의 수나사부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를 구비하여 가요전선관을 체결하도록 구성하되 가요전선관 지지대의 홀은 전선 통과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커넥터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구성한 것으로, 가요전선관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전선의 노출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전선 노출로 인한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Base of fire sensing and alarm apparatus}
본 고안은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감지 경보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을 보호하는 가요전선관과, 열감지 캡을 지지하는 베이스가 직접 체결되게 하여 전선의 외부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건물의 실내에 부착되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화재감지 경보장치는 건물의 천장에 베이스가 고정 부착되고, 화재발생시의 실온 상승을 감지하는 열감지 캡이 베이스에 결합 지지되는 구조로서, 화재감지수신기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천장을 통과하여 베이스의 전기접점에 각각 접속되고, 열감지 캡의 전기접점이 베이스의 전기접점과 체결·결합되는 것에 의해 열감지 캡이 베이스에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전선(7)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공(2)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1)를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 체결공(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각 전선(7)과 접속되고 후술할 열감지 캡(5)의 전기 접점(6)과 결합되는 전기 접점(4)이 대칭으로 위치되어 있다. 이때, 통공(2)은 전선(7)을 원활히 통과시키기 위해 50㎜이상의 지름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화재감지수신기(미도시)로부터 인출된 전선(7)이 베이스(1)의 통공(2)을 통해 각 전기접점(4)에 접속된 상태에서 열감지 캡(5)이 베이스(1)에 체결되고, 이와 동시에 각 부재의 전기접점(4)(6)이 통전되어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화재감지 경보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면상의 미설명부호 11은 천장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소방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제90조,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06조 3항 및 건축설비표준시방서(건교부 제정)에 의하면,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배선은 다른 전선과 별도의 관, 덕트, 몰드 또는 풀박스 등에 설치하고, 이에 사용되는 가요전선관 및 박스 기타의 부속품은 상호 견고하고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므로 건축물의 화재감지수신기 작업시에는 전선을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노출을 막아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요성의 주름관, 즉 가요전선관(8)을 전선(7)과 함께 인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공사를 하는 사람은 가요전선관(8)의 내부로 전선(7)을 통과시켜 인출하고, 가요전선관(8)의 단부에는 타부재와의 이음을 위해 수나사를 갖는 커넥터(9)를 삽입하며, 그 연결부에 이음대(10)를 둘러 고정하여 마무리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에는 가요전선관의 단부와 체결되는 부분이 없어 시공하는 사람이 가요전선관을 당겨 베이스의 각 전기접점에 전선을 접속시킨 후 아무런 조치없이 방치하고 있으므로 도 2와 같이 가요전선관의 단부가 지지되지 않아 특성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지점측으로 점차 올라가게 되어 이에 해당하는 만큼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러한 노출 부위로 인해 외력 발생시 전선의 피복이 쉽게 손상될 수 있어 누전 또는 단락과 같은 전기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감지 경보장치를 시공하는 업체에서는 자체적으로 가요전선관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가요전선관 연결박스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럴 경우 자재비 및 노무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베이스의 후면으로 일정길이의 원통형 가요전선관 지지대를 돌출·형성하고, 그 내부에 가요전선관의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를 구비하여 가요전선관을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의 전기접점과 접속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누전 또는 단락과 같은 전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견지로는, 베이스의 중앙부홀을 전선 통과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축소하고 이로부터 가요전선관 지지대를 돌출·형성하여 표준규격인 가요전선관의 커넥터와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 구성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 구성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베이스 102 : 가요전선관 지지대
103 : 암나사 104 : 가요전선관
105 : 커넥터 106 : 수나사
107 : 천장 108 : 열감지 캡
109 : 전선 110 : 베이스의 전기접점
111 : 이음대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을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1)의 후면 중앙부로부터 약 30㎜정도의 원통형 가요전선관 지지대(102)를 돌출·형성하고, 그 내부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12㎜ 정도의 길이로 가요전선관(104) 커넥터(105)의 수나사(106)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103)를 구비한 것이며, 베이스(1)의 홀, 즉 가요전선관 지지대(102)의 홀은 전선 통과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커넥터(105)의 표준규격인 16㎜정도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16㎜의 내경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감지 경보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베이스(101)를 천장(107)에 부착하고, 이 베이스(101)에 열감지 캡(108)을 체결·고정하면 되는데, 베이스(101)를 천장(107)에 부착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스크류 체결방법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고, 베이스(101)에 별도의 지지구를 형성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그런데, 베이스(101)를 천장에 부착하기에 앞서 천장의 상부로부터 가요전선관(104)을 당겨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101)의 가요전선관 지지대(102)에 체결함과 동시에 가요전선관(104) 내부의 전선(109)을 베이스(101)의 전기접점(110)에 접속시키게 되며, 이런 상태에서 베이스(101)를 천장(107)에 부착하는 것으로, 가요전선관(104)을 천장(107) 상부로부터 원활하게 인출하기 위해서는 가요전선관(104)에 커넥터(105)를 연결·지지하는 이음대(111)의 폭인 33㎜보다는 큰 직경으로 천장(107)을 오픈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요전선관(104)과 베이스(101)의 실질적인 체결부위는 가요전선관(104)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105)와 베이스(101)의 가요전선관 지지대(102)가 되며, 커넥터(105)의 외경부에는 수나사(106)가 형성되어 있고, 가요전선관 지지대(102)의 내경부에는 암나사(10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를 나합하여 체결하게 되면 가요전선관(104)이 베이스9101)에 체결될 수 있는데, 가요전선관(104)에 연결된 커넥터(105)의 표준규격은 약 16㎜정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베이스(1)의 중앙부홀 크기인 50㎜와는 큰 차이가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101)의 중앙부홀은 그 크기를 커넥터(105)의 규격에 맞추어 16㎜정도로 구성한 것이어서 이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가요전선관 지지대(102)의 중앙부홀 역시 16㎜ 정도가 될 것이므로 상기한 커넥터(105)와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면, 도 4와 같이 화재감지수신기로부터 인출된 전선(109)이 베이스(101)의 각 전기접점(110)에 접속됨은 물론 전선(109)을 보호하는 가요전선관(104) 역시 베이스(101)의 가요전선관 지지대(102)에 체결·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시간이 지나도 가요전선관(104)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전선(109)의 노출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며, 따라서 전선(109) 노출로 인한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베이스의 후면으로 원통형의 가요전선관 지지대를 돌출형성하여 전선과 함께 인출되는 가요전선관을 체결·고정하는 것이므로 가요전선관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전선의 노출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전선 노출로 인한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화재감지수신기로부터 가요전선관에 감싸인 상태로 인출된 전선이 천장을 통과하여 상기 천장에 고정된 베이스의 전기접점에 각각 접속되고, 열감지 캡의 전기접점이 상기 베이스의 전기접점과 체결·결합되는 것에 의해 열감지 캡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화재감지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후면 중앙부로부터 소정길이로 원통형 가요전선관 지지대를 돌출·형성하고, 그 내부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상기 가요전선관 커넥터의 수나사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를 구비하여 상기 가요전선관을 체결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가요전선관 지지대의 홀은 전선 통과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상기 커넥터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
KR2020000027054U 2000-09-27 2000-09-27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 KR200214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054U KR200214482Y1 (ko) 2000-09-27 2000-09-27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054U KR200214482Y1 (ko) 2000-09-27 2000-09-27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482Y1 true KR200214482Y1 (ko) 2001-02-15

Family

ID=7308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054U KR200214482Y1 (ko) 2000-09-27 2000-09-27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8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515B1 (ko) * 2014-08-13 2016-01-28 장원 소방기구용 플렉시블튜브 커넥터
KR20220153855A (ko)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화재감지기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시공방법
KR102618131B1 (ko) * 2022-10-20 2023-12-27 주식회사 지투기술 화재 감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515B1 (ko) * 2014-08-13 2016-01-28 장원 소방기구용 플렉시블튜브 커넥터
KR20220153855A (ko)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화재감지기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시공방법
KR102618131B1 (ko) * 2022-10-20 2023-12-27 주식회사 지투기술 화재 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3832A (en) Apparatus for affixing a strain wire into the wiring of flexible electric conduit
US7183483B1 (en) Cover for surface mounted alarm unit
US7901256B1 (en) Bonding and grounding clamp/connector for electrode conductors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200214482Y1 (ko) 화재감지 경보장치의 베이스
WO2017065001A1 (ja) コネクタ
WO2024066817A1 (zh) 继电器
JP2018156943A (ja) ケーブルハーネスプラグ
US7033212B1 (en) Power disconnect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ppliance supported by a secondary support
KR10219382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JP2008234945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構造
KR102576078B1 (ko) 스트랩 확장형 밴드 케이블
CN207705696U (zh) 一种线束护板结构
JPS585570B2 (ja) 電気用配線ボックスのケ−ブル接続方法
JP2957984B2 (ja) 電装部品の保護装置
JPH09153387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KR100375990B1 (ko) 콘센트 고정장치
JP3224543U (ja) スイッチ配線装置に用いる保護カバー構造
JP7295738B2 (ja) 嵌合構造、外装部材、ワイヤハーネス、及び電気接続箱
KR20180009994A (ko) 케이블 단자 보호 캡
JP3303117B2 (ja) 電気配線用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20150005792A (ko) 점퍼 지지장치
JP2016123225A (ja) ケーブル固定構造
KR100332963B1 (ko) 건물배선용 리셉터클
JP2590214Y2 (ja) 警報器用ユニットケ―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