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051Y1 -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051Y1
KR200214051Y1 KR2019970043215U KR19970043215U KR200214051Y1 KR 200214051 Y1 KR200214051 Y1 KR 200214051Y1 KR 2019970043215 U KR2019970043215 U KR 2019970043215U KR 19970043215 U KR19970043215 U KR 19970043215U KR 200214051 Y1 KR200214051 Y1 KR 200214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er
damping
arm
insertion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523U (ko
Inventor
반종성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2019970043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05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05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5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0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issipating material type, e.g. elastomer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오토 텐셔너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견고하게 접촉되어 댐핑을 발생시키는 댐핑 밴드를 실린더 블록이 있는 방향의 텐셔너 베이스(또는 텐셔너 브래킷) 내측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댐핑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고 진동을 감소시켜 댐핑 밴드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제 2 텐셔너 암(12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23)과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33)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삽입홈(123,133)에 토션 스프링(140)이 장착되고,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의 돌출부(121)에 형성된 함입부(122)의 일측 외주면부상에는 댐핑 슈(150)가 설치되며, 댐핑 슈(150)의 외주면부와 토션 스프링(140)의 내주면부 사이에 끼워지는 댐핑 밴드(160)의 일측면부는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33)의 내측에 당접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오토 텐셔너(AUTO TENSIONER)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견고하게 접촉되어 댐핑을 발생시키는 댐핑 밴드를 실린더 블록이 있는 방향의 텐셔너 베이스(또는 텐셔너 브래킷) 내측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댐핑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고 진동을 감소시켜 댐핑 밴드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연기관의 벨트 구동식이나 체인 구동식에서 사용되는 타이밍 벨트나 체인이 늘어지게 되면 실린더 밸브의 개폐시기가 어긋나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유압이나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벨트나 체인의 장력이 팽배해지도록 타이밍 벨트나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셔너를 장착하여 실린더 밸브의 개폐를 정확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텐셔너는 벨트나 체인이 회전할 경우에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벨트 또는 체인 가이드를 스프링의 반력을 이용하여 바깥쪽에서 푸슁(PUSHING)하는 타입과 안쪽에서 풀링(PULLING)하는 타입이 있으며, 이러한 텐셔너를 오토 텐셔너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실린더 블록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오토 텐셔너의 측단면도서, 상기 오토 텐셔너는 일측면부가 개방되고 타측면부가 폐쇄된 원통형 텐셔너 베이스(10)와 텐셔너 암(20,22)이 피봇 볼트(60)에 의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텐셔너 암(20)은 텐셔너 풀리 암(30)과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폐쇄되어 있는 상기 원통형 텐셔너 베이스(10)의 타측면부의 내면부상에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원기둥형 돌출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원기둥형 돌출부(11)의 중앙부에는 내주면부상에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형 돌출부(11)의 외주면부와 상기 텐셔너 베이스(10)의 내주면부 사이에는 만입부(13)가 형성되며;
상기 텐셔너 암(20,22)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2 텐셔너 암(20)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텐셔너 암(2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텐셔너 암(20)의 전면 하부와 상기 제 2 텐셔너 암(20)의 배면 상부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텐셔너 암(20)의 중앙부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 삽입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텐셔너 암(22)의 중앙부분에는 풀리 볼트(40)에 의해 텐셔너 풀리 암(30)이 힌지결합될 수 있는 볼트 삽입홈(2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텐셔너 풀리 암(30)을 장착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 2 텐셔너 암(20)을 원통형 텐셔너 베이스(10)에 끼운 후, 피봇 볼트(60)를 제 2 텐셔너 암(20)의 볼트 삽입홈(21)과 원통형 텐셔너 베이스(10)의 볼트 삽입홈(12)을 통해 삽입시키면, 상기 피봇 볼트(60)의 외주면부는 상기 제 2 텐셔너 암(20)과 힌지결합되며, 피봇 볼트(60)의 단부는 원통형 텐셔너 베이스(10)와 서로 체결된다. 이 때, 원기둥형 돌출부(11)의 전면부에 제 2 텐셔너 암(20)의 배면부가 근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원통형 텐셔너 베이스(10)는 일반적으로 실린더 블록(도면상에 미도시됨)에 장착되어 진다.
한편, 상기 제 1 텐셔너 암(22)과 텐셔너 풀리 암(30)을 서로 체결시키는데 있어서, 텐셔너 풀리암(30)의 중앙부상에 체결되는 풀리볼트(20)는 상기 제 1 텐셔너 암(22)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 삽입홈(23)을 통해 삽입된 후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체결되는 텐셔너 암(20,22)과 원통형 텐셔너 베이스(10)에 있어서, 상기 제 2 텐셔너 암(20)의 외주면부와 상기 원통형 텐셔너 베이스(10)의 내주면부 사이에는 상기 만입부(13)와 연통되는 중공부(90)가 형성되는데, 이 중공부(90)에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91)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 2 텐셔너 암(20)의 외주면상에는 댐핑 슈(DAMPING SHOE)(80)가 끼워지고, 이 댐핑 슈(80)에 상기 토션 스프링(91)이 안착되고, 상기 댐핑 슈(80)의 외주면부상에는 댐핑 밴드(DAMPING BAND)(81)가 끼워진다. 이 댐핑 밴드(81)의 외주면부상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91)의 내주면부가 견고하게 접촉된다.
또한, 제 2 텐셔너 암(20)의 볼트 삽입홈(21)에 끼워지는 피봇 볼트(60)의 외주면상에는 피봇 부슁(70)이 끼워지며, 상기 텐셔너 풀리 암(30)과 힌지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텐셔너 암(22)과 체결되는 풀리 볼트(40)의 외주면부상에는 더스트 시일드(DUST SHIELD)(50)를 장착시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풀리 암(30)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체결되어 차량의 타이밍 벨트 등에 장착되는 오토 텐셔너, 즉 텐셔너 풀리 암(30)의 외주면부상에 벨트(도면상에 미도시됨)의 내측면부 또는 외측면부가 당접되어 벨트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면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공부(90)에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91)의 탄성력에 의해서 벨트의 장력의 정도에 따라 텐셔너 암(20,22), 즉 텐셔너 풀리 암(30)이 소정각도(이 각도는 아주 미소한 각도이다)로 비틀려 회전되면서 가변(또는 위치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벨트의 장력은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조절된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서 오토 텐셔너라고 한다.
상기와 같이 토션 스프링(91)이 비트림 작동하는 과정에서 댐핑 밴드(81)의 외주면부상에 견고하게 접촉(또는 당접)되어 있는 토션 스프링(91)과 댐핑 밴드(81)는 서로 마찰을 일으키게 되면서 댐핑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댐핑 밴드(81)와 토션 스프링(91) 사이의 댐핑 작용에 의해서 토션 스프링(91)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저지시킬 뿐만 아니라, 비틀림의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오토 텐셔너에 설치되는 종래의 댐핑 밴드는 원통형 베이스측 보다는 오히려 텐셔너 암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텐셔너 풀리 암이 그 만큼 하중이 가중되고, 텐셔너 암의 밸런스을 불균형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벨트의 진동에 의해 텐셔너 암이 진동을 받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의 마찰에 의한 댐핑 밴드의 마모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사정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오토 텐셔너(AUTO TENSIONER)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견고하게 접촉되어 댐핑을 발생시키는 댐핑 밴드를 실린더 블록이 있는 방향의 텐셔너 베이스(또는 텐셔너 브래킷) 내측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댐핑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고 진동을 감소시켜 댐핑 밴드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의 구체적인 수단은 일측면부상에 텐셔너 풀리 암(100)이 장착되는 제 1 텐셔너 암(110)의 타측면부는 제 2 텐셔너 암(120)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은 일측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텐셔너 암(120)의 내부에는 내측단면부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일측단면부의 중앙부에 함입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외주면부와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의 내주면부 사이에는 스프링 삽입홈(123)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내부에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볼트 삽입홈(124)이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과 서로 체결되는 텐셔너 베이스(130)는 일측면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의 내부에는 내측단면부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1)의 내부에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볼트 삽입홈(132)이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1)의 외주면부와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의 내주면부 사이에는 스프링 삽입홈(133)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의 볼트 삽입홈(124)을 통해 삽입되는 피봇 볼트(170)가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피봇 볼트(170)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121)에 형성된 함입부(122)에 끼워지는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된 돌출부(131)의 볼트 삽입홈(132)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과 서로 체결되며;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23)과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33)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삽입홈(123,133)에 토션 스프링(140)이 장착되고,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의 돌출부(121)에 형성된 함입부(122)의 일측 외주면부상에는 댐핑 슈(150)가 설치되며, 상기 댐핑 슈(150)의 외주면부와 토션 스프링(140)의 내주면부 사이에 끼워지는 댐핑 밴드(160)의 일측면부는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33)의 내측에 당접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댐핑 밴드가 설치된 오토 텐셔너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댐핑 밴드가 설치된 오토 텐셔너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텐셔너 풀리 암 110 : 제 1 텐셔너 암
120 : 제 2 텐셔너 암 121 : 돌출부
122 : 함입부 123 : 스프링 삽입홈
130 : 텐셔너 베이스 131 : 돌출부
133 : 스프링 삽입홈 140 : 토션 스프링
150 : 댐핑 슈 160 : 댐핑 밴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면부상에 텐셔너 풀리 암(100)이 장착되는 제 1 텐셔너 암(110)의 타측면부는 제 2 텐셔너 암(120)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은 일측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텐셔너 암(120)의 내부에는 내측단면부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일측단면부의 중앙부에 함입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외주면부와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의 내주면부 사이에는 스프링 삽입홈(123)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내부에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볼트 삽입홈(124)이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과 서로 체결되는 텐셔너 베이스(130)는 일측면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의 내부에는 내측단면부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1)의 내부에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볼트 삽입홈(132)이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1)의 외주면부와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의 내주면부 사이에는 스프링 삽입홈(133)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의 볼트 삽입홈(124)을 통해 삽입되는 피봇 볼트(170)가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피봇 볼트(170)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121)에 형성된 함입부(122)에 끼워지는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된 돌출부(131)의 볼트 삽입홈(132)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과 서로 체결된다.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23)과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33)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삽입홈(123,133)에 토션 스프링(140)이 장착되고,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의 돌출부(121)에 형성된 함입부(122)의 일측 외주면부상에는 댐핑 슈(150)가 설치되며, 상기 댐핑 슈(150)의 외주면부와 토션 스프링(140)의 내주면부 사이에 끼워지는 댐핑 밴드(160)의 일측면부는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33)의 내측에 당접되어 구성된다.
또한, 제 2 텐셔너 암(120)의 볼트 삽입홈(124)에 끼워지는 피봇 볼트(170)의 외주면부상에는 피봇 부슁(PIVOT BUSHING)(125)을 설치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는 하기와 같이 작용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토 텐셔너는 차량의 타이밍 벨트상에 장착되는데, 이 때 벨트의 내측면부 또는 외측면부에 텐셔너 풀리 암(100)의 외주면부가 당접되어 벨트를 밀거나 당기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제 2 텐셔너 암(120) 및 텐셔너 베이스(130)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토션 스프링(140)이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또는 피봇 볼트) 방향으로 비틀려지면서 제 2 텐셔너 암(120)이 비틀려지게 된다. 벨트가 너무 팽팽하게 걸려 있으면 토션 스프링(140)이 비틀려져서 벨트의 장력을 약간 느슨하게 만들어 주며, 벨트가 너무 느슨하게 걸려 있으면 토션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벨트를 당겨주기 때문에, 벨트의 장력은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토션 스프링(140)이 비틀리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140)의 내주면부와 댐핑 밴드(160)의 외주면부가 서로 견고하게 접촉되어 마찰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마찰이 토션 스프링(140)의 비틀림의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댐핑 밴드(160)가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삽입홈(133)의 내측, 즉 실린더 블록에 부착되는 텐셔너 베이스(130)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벨트의 회전에 따른 텐셔너 풀리 암(100)의 진동을 적게 받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댐핑 밴드(160)의 설치의 견고성 내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140)과 댐핑 밴드(160) 사이의 마찰에 의한 댐핑 밴드(160)의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댐핑 밴드(160)가 텐셔너 베이스(130)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텐셔너 풀리 암(100)의 하중을 감소시켜 오토 텐셔너의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는 토션 스프링과 마찰을 일으키는 댐핑 밴드를 텐셔너 베이스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텐셔너 풀리 암의 진동으로부터 멀리 배치되어 토션 스프링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댐핑 밴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텐셔너 풀리 암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오토 텐셔너 전체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차량의 타이밍 벨트상에 장착되는 오토 텐셔너 내부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의 내주면부 하부에 위치한 댐핑 밴드를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일측면부상에 텐셔너 풀리 암(100)이 장착되는 제 1 텐셔너 암(110)의 타측면부는 제 2 텐셔너 암(120)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은 일측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텐셔너 암(120)의 내부에는 내측단면부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일측단면부의 중앙부에 함입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외주면부와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의 내주면부 사이에는 스프링 삽입홈(123)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내부에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볼트 삽입홈(124)이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과 서로 체결되는 텐셔너 베이스(130)는 일측면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의 내부에는 내측단면부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1)의 내부에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볼트 삽입홈(132)이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1)의 외주면부와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의 내주면부 사이에는 스프링 삽입홈(133)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의 볼트 삽입홈(124)을 통해 삽입되는 피봇 볼트(170)가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피봇 볼트(170)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121)에 형성된 함입부(122)에 끼워지는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된 돌출부(131)의 볼트 삽입홈(132)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과 서로 체결되며;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23)과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33)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삽입홈(123,133)에 토션 스프링(140)이 장착되고, 상기 제 2 텐셔너 암(120)의 돌출부(121)에 형성된 함입부(122)의 일측 외주면부상에는 댐핑 슈(150)가 설치되며, 상기 댐핑 슈(150)의 외주면부와 토션 스프링(140)의 내주면부 사이에 끼워지는 댐핑 밴드(160)의 일측면부는 상기 텐셔너 베이스(13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33)의 내측에 당접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KR2019970043215U 1997-12-30 1997-12-30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KR200214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215U KR200214051Y1 (ko) 1997-12-30 1997-12-30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215U KR200214051Y1 (ko) 1997-12-30 1997-12-30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523U KR19990030523U (ko) 1999-07-26
KR200214051Y1 true KR200214051Y1 (ko) 2001-09-25

Family

ID=5389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215U KR200214051Y1 (ko) 1997-12-30 1997-12-30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0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069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차량용 벨트 텐셔너
KR100482507B1 (ko) * 2002-11-26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오토텐셔너의 기밀형 베어링
KR101273873B1 (ko) * 2011-10-27 2013-06-11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타원형의 내부를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는 오토 텐셔너
US10883575B2 (en) * 2018-01-03 2021-01-05 Gates Corporation Tens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523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9107A (en) Belt tensioner for motor vehicle
US5518459A (en) Autotensioner
US4813915A (en) Tensioning device for belts and the like, in particular on motor vehicle engines
CZ253592A3 (en) Flexible adjustable tightening device for belts or chains
KR20070112420A (ko) 재설치 형상부를 갖는 인장 장치
EP0190336A1 (en) TAPE TENSIONER.
GB2302158A (en) Belt Tensioner
JPH0289839A (ja) 自動緊張装置
KR20060135634A (ko) 보조 기계 구동용 벨트의 장력 조정 장치
US11371591B2 (en) Tensioner lever
KR200214051Y1 (ko)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KR200214050Y1 (ko) 댐핑성이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JPH084862A (ja) オートテンショナユニット
US20040200447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engine timing chain
KR19990030525U (ko) 내구성이 양호한 오토 텐셔너 풀리
JP3629350B2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JP3586528B2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KR0135206Y1 (ko) 자동차의 소음저감형 오토텐셔너 구조
GB2328728A (en) Belt tensioner with resin damping member
JPH09229149A (ja) テンショナ
KR100412618B1 (ko) 체인가이드의 댐핑장치
KR200293045Y1 (ko) 오토텐셔너
KR200158959Y1 (ko) 자동차 타이밍 벨트용 텐셔너의 구조
KR0135205Y1 (ko) 자동차의 소음저감형 오토텐셔너 구조
JP2601683Y2 (ja) オートテンショナ用ダン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