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069A - 차량용 벨트 텐셔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벨트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069A
KR20010059069A KR1019990066448A KR19990066448A KR20010059069A KR 20010059069 A KR20010059069 A KR 20010059069A KR 1019990066448 A KR1019990066448 A KR 1019990066448A KR 19990066448 A KR19990066448 A KR 19990066448A KR 20010059069 A KR20010059069 A KR 20010059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tensioner
belt
bas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일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9069A/ko
Publication of KR2001005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06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45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issipating material type, e.g. elastomer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암과 베이스의 연결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텐셔너 풀리와 아암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벨트와 면접촉하여 외주면이 회전하는 텐셔너 풀리와; 상기 텐셔너 풀리의 중심축에 설치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아암과; 실린더 블록의 측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그 중앙으로는 중심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마찰판을 갖추며, 그 중앙으로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플레이트와; 상기 아암의 관통홀에 압입되어, 상기 베이스의 중심홀을 관통하고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의 중심홀에 압입 설치되어 상기 아암과 베이스와 디스크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벨트 텐셔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벨트 텐셔너{A BELT TENSIONER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벨트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와 접촉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텐셔너 풀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장력 조정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벨트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차량에는 크랭크축의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각종 보조장치류를 구동하기 위하여 크랭크축을 캠축이나 에어컨의 컴프레셔 등과 연결시키는 타이밍 벨트와 발전기 등과 연결시키는 팬벨트 등의 각종 벨트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보조장치류에 대한 구동력 전달의 매체로 사용되는 각종 벨트류는 동력축인 크랭크축으로부터 일정한 시차를 두고 구동력을 피동축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력 전달을 위하여 구동축인 크랭크 축에는 구동 풀리가 설치되고, 피동축에는 피동 풀리가 설치되며, 이들 두 풀리는 벨트류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벨트류는 통상 마찰계수가 큰 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조되어, 효과적이면서 정확하게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데 반해, 탄성 재질의 재료로 성형되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이나 차체의 진동 등으로 인하여 늘어져서 제기능을 수행치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벨트류에는 일정한 장력을 가지고 정확하고도 효과적으로 구동 풀리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벨트에 장력을 걸어 팽팽하게 유지시켜 주는 텐셔너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텐셔너 중 팬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벨트 텐셔너의 일례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벨트 텐셔너는 벨트와 면접촉하여 외주면이 회전하는 텐셔너 풀리(102)와, 이 텐셔너 풀리(102)의 중심축에 설치되며, 그 내부로는 스프링(104)이 설치되어 있는 아암(106)과, 하부에 돌출 형성된 마운팅홀(108)에 의해 실린더 블록의 측면부에 장착되며, 상기 아암(106)과 마찰 접촉되어 스프링(104)의 진동에 대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마찰판(110)을 갖춘 베이스(112)와, 상기 아암(106)의 중앙 관통홀(114)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112)의 중심홀(116)에 압입되어 아암(106)과 베이스(112)를 결합시키는 고정볼트(118)를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텐셔너 풀리(102)는 베어링이 내설되어 외주면만이 회전하게 되며, 벨트가 느슨해지면 소정의 힘(F)을 도 2의 하부방향으로 받게 된다. 이 때, 아암(106)도 함께 하부로 처지는 힘을 받게 되는 데 이 처짐량은 고정볼트(118)와 아암의 관통홀(114) 사이의 간격만큼의 변위량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힘이 발생하면 스프링(104)이 비틀려지게 되며, 스프링(104)은 이 비틀림에 대한 탄성 반력으로서 상기 힘(F)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복원력(F')이 생기게 되고 이로써 적당한 장력이 벨트류에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아암(106)과 베이스(112) 사이의 마찰판은 상기 스프링(104)의 과도한 진동을 감쇠함으로써 스프링 공진 등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아암과 베이스 사이에 마찰판이 형성되는 경우, 아암의 접촉 부위는 마찰로 인하여 마모되게 되며 이에 따라 아암이 베이스 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아암이 기울어지게 되면 텐셔너 풀리도 함께 기울어지게 되고, 텐셔너 풀리와 벨트는 면접촉만을 하고 있으므로 벨트는 텐셔너 풀리의 기울어짐에 따라 텐셔너 풀리로부터 쉽게 이탈하게 되어 텐셔너에 의한 벨트의 장력 조절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암과 베이스의 연결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텐셔너 풀리와 아암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텐셔너의 장력 조절기능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벨트 텐셔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 텐셔너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벨트 텐셔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텐셔너 풀리 14 : 아암(arm)
16 : 베이스 18 : 디스크 플레이트
20 : 고정볼트 24 : 스프링
30 : 마찰판 32 : 마운팅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벨트와 면접촉하여 외주면이 회전하는 텐셔너 풀리와; 상기 텐셔너 풀리의 중심축에 설치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아암과; 실린더 블록의 측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그 중앙으로는 중심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마찰판을 갖추며, 그 중앙으로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플레이트와; 상기 아암의 관통홀에 압입되어, 상기 베이스의 중심홀을 관통하고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의 중심홀에 압입 설치되어 상기 아암과 베이스와 디스크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벨트 텐셔너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텐셔너의 단면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텐셔너는 벨트(미도시함)와 면접촉되는 텐셔너 풀리(12)와, 이 텐셔너 풀리(12)의 중심축에 설치된 아암(14)과, 실린더 블록(15)의 측면부에 장착된 베이스(16)와, 이 베이스(16)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디스크 플레이트(18)와, 아암(14)과 베이스(16)와 디스크 플레이트(18)를 연결시키는 고정볼트(2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텐셔너 풀리(12)에 접촉되는 벨트로는 크랭크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팬벨트등이 있으며, 상기 텐셔너 풀리(12)는 베어링이 내부에 삽입되어 그 외주면만이 팬벨트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아암(14)에는 그 중앙으로 고정볼트(20)의 압입을 위한 중심홀(22)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6)에는 아암(14)과의 사이에 스프링(24)을 그 내부에 개재시켜서 아암(14)이 눌러지는 힘을 받는 경우 이에 대한 반력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중앙으로는 고정볼트(20)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8)는 그 중앙으로 중심홀(28)이 형성되어 고정볼트(20)를 통하여 아암(14)과 연결되고, 베이스(16)와의 결합부에는 마찰판(30)을 형성하여 실린더 블록(15)에 고정된 베이스(16)에 마찰 접촉함으로써 스프링(24)의 진동을 감쇠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볼트(20)는 상기 아암(14)의 중심홀(22)에 압입하여 삽입되고, 베이스(16)의 관통홀(26)을 관통한 뒤, 다시 디스크 플레이트(18)의 중심홀(28)에 압입되어 상기 아암(14)과 베이스(16)와 디스크 플레이트(18)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 때, 고정볼트(20)는 아암(14)과 디스크 브레이크(18)만이 직접 접촉되고, 베이스(16)에는 관통만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벨트힘에 의하여 눌려지는 아암(14)과 함께 고정볼트(20)와 디스크 플레이트(18)도 눌려지며 이 때 마찰판(30)을 통하여 스프링(24)의 진동은 감쇠되어진다.
한편, 상기에서 베이스(16)를 실린더 블록(15)에 마운팅하기 위한마운팅홀(32)을 베이스(16)의 외주면 중앙 부위에 돌출 형성되도록 하면 텐셔너 풀리(12) 및 아암(14)의 기울어짐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고 베이스(16)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벨트 텐셔너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벨트가 느슨해지거나 하여 벨트로부터 텐셔너 풀리(12)에 일정한 힘(F)이 작용하게 되면, 아암(14)도 하향으로 고정볼트(20) 및 디스크 플레이트(18)와 함께 눌러지고 이 때, 스프링(24)도 하향으로 눌러짐과 동시에 비틀어진다.
여기서 스프링(24)은 그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힘(F)에 대항하여 일정한 반력(F')을 아암에 다시 작용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아암(14) 및 텐셔너 풀리(12)는 상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항상 벨트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 때, 스프링(24)으로 인한 아암(14) 및 텐셔너 풀리(12)의 진동은 베이스(16)와 디스크 플레이트(18)사이의 마찰판(30)에 의하여 감쇠되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벨트 텐셔너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마찰판이 베이스의 후면과 디스크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므로 벨트에 직접 접촉하는 텐셔너 풀리 및 아암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텐셔너 풀리 및 아암은 마찰판의 마모에 관계없이 기울어지지 않고 올바른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벨트는 텐셔너로부터 쉽게 이탈함이 없이 원활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

  1. 벨트와 면접촉하여 외주면이 회전하는 텐셔너 풀리와;
    상기 텐셔너 풀리의 중심축상에 설치되며, 그 중앙에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는 아암과;
    실린더 블록의 측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그 중앙으로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마찰판을 갖추며, 그 중앙으로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플레이트와;
    상기 아암의 중심홀에 압입되어, 상기 베이스의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의 중심홀에 압입 설치되어 상기 아암과 베이스와 디스크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벨트 텐셔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이를 실린더 블록에 마운팅하기 위한 마운팅홀이 외주면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벨트 텐셔너 장치.
KR1019990066448A 1999-12-30 1999-12-30 차량용 벨트 텐셔너 KR20010059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448A KR20010059069A (ko) 1999-12-30 1999-12-30 차량용 벨트 텐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448A KR20010059069A (ko) 1999-12-30 1999-12-30 차량용 벨트 텐셔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069A true KR20010059069A (ko) 2001-07-06

Family

ID=1963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448A KR20010059069A (ko) 1999-12-30 1999-12-30 차량용 벨트 텐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906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4296A (ja) * 1997-03-21 1998-10-13 Gates Corp:The ベルトテンショナ
KR19990030523U (ko) * 1997-12-30 1999-07-26 양재신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KR19990030524U (ko) * 1997-12-30 1999-07-26 양재신 댐핑성이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JPH11223253A (ja) * 1998-02-04 1999-08-17 Unitta Co Ltd オートテンショ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4296A (ja) * 1997-03-21 1998-10-13 Gates Corp:The ベルトテンショナ
KR19990030523U (ko) * 1997-12-30 1999-07-26 양재신 댐핑 밸런스가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KR19990030524U (ko) * 1997-12-30 1999-07-26 양재신 댐핑성이 양호한 오토텐셔너의 댐핑밴드 설치구조
JPH11223253A (ja) * 1998-02-04 1999-08-17 Unitta Co Ltd オートテンショ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1030B2 (en) Tensioner
US6231465B1 (en) Belt tensioner assembly with unidirectional damping
US4826471A (en)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belt tensioner
EP0737280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KR100208042B1 (ko) 장력 조절 장치용 감쇠 기구
KR100481029B1 (ko) 벨트인장기
KR101095203B1 (ko) 텐셔너 및 장치 조립체
US5759125A (en) Eccentrically supported tensioner
US20090075768A1 (en) Tensioner
US20220260138A1 (en) Orbital Tensioner
EP0967412A3 (en) Tensioner
RU2304733C2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на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4526907A (ja) ベルトテンショナ
US20090054186A1 (en) Tensioner
EP1082553B1 (en) Tensioner with second pivot-arm for damping mechanism
EP3735543B1 (en) Tensioner
US6033330A (en) Belt noise/vibration control mechanism
KR100454779B1 (ko) 텐셔너용 댐핑 기구
KR20010059069A (ko) 차량용 벨트 텐셔너
JP2762527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2516335Y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KR100312520B1 (ko) 차량용에어콘의압축기장착장치
JPH02245553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KR200293045Y1 (ko) 오토텐셔너
EP0523869B1 (en) Belt noise/vibration control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