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996Y1 -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996Y1
KR200213996Y1 KR2020000026808U KR20000026808U KR200213996Y1 KR 200213996 Y1 KR200213996 Y1 KR 200213996Y1 KR 2020000026808 U KR2020000026808 U KR 2020000026808U KR 20000026808 U KR20000026808 U KR 20000026808U KR 200213996 Y1 KR200213996 Y1 KR 200213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heating
waste heat
refrigerant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한의
왕화식
신현채
이장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절
Priority to KR2020000026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996Y1/ko

Links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냉난방후 실내기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활용율을 높이기 위하여 모세관으로 이루어지 폐열교환부를 구비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다른 목적으로는 폐열교환부에 바이패스회로를 구비하여 관로 막힘등으로 인한 관로의 파손 또는 콤프레셔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냉난방의 절환을 위한 각각의 밸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하나의 구동원으로 냉난방의 절환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룹어 배관의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Regeneration-compound cycle cooling and heating system}
본 고안은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난방후 실내기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활용율을 높이기 위하여 모세관으로 이루어지 폐열교환부를 구비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다른 목적으로는 폐열교환부에 바이패스회로를 구비하여 관로 막힘등으로 인한 관로의 파손 또는 콤프레셔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냉난방의 절환을 위한 각각의 밸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하나의 구동원으로 냉난방의 절환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룹어 배관의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절기와 같이 무더운 계절에는 실냉의 온도를 낮추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냉방장치를 사용하고, 동절기와 같은 추운 계절에는 실냉의 온도를 높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난방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각 가정과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서는 냉방장치와 난방장치는 각각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근래에 들어 냉방과 난방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과 소요비용이 적은 복합 냉난방장치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냉난방장치는 종래의 냉방장치에 냉매의 가열을 위한 히터를 구비하거나 별도의 버너를 구비한 것으로, 계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냉난방장치는 별도의 히터 또는 버너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난방과정에 있어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실내기에 배출되는 냉매의 폐열을 활용하여 냉·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냉난방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폐열의 활용율을 높인 냉난방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설치되는 실외기와, 냉매를 압송하는 콤프레셔와, 실내기에서 배출되는 폐열과 열교환을 이루어 냉,난방능력을 향상시키는 냉방폐열교환부와, 난방폐열교환부 및 냉난방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수의 밸브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냉난방시스템은 냉방작동시 콤프레셔에서 압송되어 실외기에서 냉각된 냉매를 냉방폐열교환부에서 실내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폐열을 이용하여 재차 냉각하여 실내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를 최대한으로 낮추어 냉방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고, 난방작동시는 실외기에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콤프레셔로 공급되는 냉매를 난방폐열교환부에서 실내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폐열을 이용하여 재차 가열하여 콤프레셔로 공급하여서 콤프레셔로 공급된 냉매의 온도를 높이므로 콤프레셔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최대한으로 높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폐열을 이용한 종래의 냉난방시스템은 실내기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이용하는 폐열교환부가 각기 하나로만 구성이되어 있어 폐열의 활용율이 떨어져 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실내기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냉난방라인상에 관로의 막힘등에 의한 바이패스관로가 구성되지 않아 관로가 막힐 경우 시스템의 파손 또는 콤프레셔의 고장등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폐열교환부에 있어서의 열교환관이 하나의 관로로만 이루어져 있어 냉매의 유속이 저하되고, 그로 인하여 콤프레셔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게 되며, 단위 시간당 냉매의 순환속도가 저하되어 냉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냉난방시스템은 냉난방의 절환을 위한 다수의 밸브가 각각 독립적으로 시그널을 전달받는 구동원에 의하여 동작되게 구성되어 있어 그 동작이 획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부 밸브 구동원의 고장 또는 시그널선의 훼손시는 냉난방의 절환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시스템의 고장 등과 같은 문제를 야기 시키며 밸브가 분산되어 있어 관로가 복잡하게 구성되며 그로 인해 생산원가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냉난방후 실내기에서 배출되는 폐열의 활용율을 높이기 위하여 바형모세관으로 이루어지 팽창부를 구비하며, 관로상에 바이패스회로를 구비하여 관로 막힘등으로 인한 관로의 파손 또는 콤프레셔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하며, 냉난방의 절환을 위한 각각의 밸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하나의 구동원으로 냉난방의 절환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에 있어서
냉방작동상태를 보인 주요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에 있어서
난방작동상태를 보인 주요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팽창부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콤프레셔 20 : 실내기 30 : 실외기
41,51: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
41a,51a: 하우징 41b,51b: 코일형열교환관 41c,51c: 바형모세관
42,52: 팽창부
42a,52a: 팽창관 42b,52b: 바형모세관
43 : 냉방열교환촉진부 53 : 난방열교환촉진부
61 : 냉난방선택밸브 62 : 방열라인선택밸브
63 : 흡열라인선택밸브 64 : 구동부
71 : 냉방바이패스부 72 : 난방바이패스부
71a,72a: 솔레노이드밸브 71b,72b: 냉각부
81 : 냉방폐열방열라인 82 : 냉방폐열흡열라인
83 : 난방폐열방열라인 84 : 난방폐열흡열라인
90 : 온도센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폐열의 활용율 높여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바이패스회로를 구성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냉난방의 절환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실내기와, 실외 설치되는 실외기와, 냉매를 압송하는 콤프레셔와, 실내기에서 배출되는 폐열과 열교환을 이루어 냉,난방능력을 향상시키는 냉방폐열교환부와, 난방폐열교환부 및 냉난방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수의 밸브로 구성된 냉난방시스템에 있어서; 냉매를 압송하는 콤프레셔(10)와, 냉방시는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를 냉각하고, 난방시는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를 가열하는 실외기(30)와, 냉방시는 유입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냉각하고, 난방시는 유입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실내기(20)와, 콤프레셔(10)에서 실내기(20)와 실외기(30)로의 냉매흐름을 제어하여 냉난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냉난방선택밸브(61)와, 냉방시 실외기(30)에서 냉각되어 실내기(20)로 공급되는 냉매를 실내기(2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폐열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41) 및 팽창부(42)로 이루어진 냉방폐열교환부와, 난방시 실외기(30)에서 콤프레셔(10)로 공급되는 냉매를 실내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폐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51) 및 팽창부(52)로 이루어진 난방폐열교환부와, 냉방시 실외기(30)에서 실내기(20)로 형성되는 냉방폐열방열라인(81)과, 냉방시 실내기(20)에서 실외기(30)로 형성되는 냉방폐열흡열라인(82)과, 난방시 실내기(20)에서 실외기(30)로 형성되는 난방폐열방열라인(83)과, 난방시 실외기(30)에서 콤프레셔(10)로 형성되는 난방폐열흡열라인(84)과, 냉난방에 따라 냉방폐열방열라인(81)과 난방폐열방열라인(83)의 냉매흐름을 선택제어하는 폐열방열라인선택밸브(62)와, 냉난방에 따라 냉방폐열흡열라인(82)과 난방폐열흡열라인(84)의 냉매흐름을 선택제어하는 폐열흡열라인선택밸브(63)과, 냉방폐열방열라인(81)에서 냉방폐열흡열라인(82)으로 연결되게 구비되어 콤프레셔(10)에 구비된 온도센서(90)의 온도에 연동하여 동작되는 냉방바이패스부(71)와, 난방폐열방열라인(83)에서 난방폐열흡열라인(84)으로 연결되게 구비되어 콤프레셔에 구비된 온도센서(90)의 온도에 연동하여 동작되는 난방바이패스부(72)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난방선택밸브(61)와 폐열방열라인선택밸브(62) 및 폐열흡열라인선택밸브(63)는 밸브축이 동축을 이루게 일체로 형성되어 통상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동작되는 하나의 구동부(64)에 의하여 동작되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방폐열교환부와 난방폐열교환부의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41,51)는 폐열흡열라인(83,81)의 냉매가 통과하는 하우징(41a,51a)과, 상기 하우징(41a,51a)에 폐열방열라인(84,82)의 냉매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형열교환관(41b,51b)을 구비하되, 상기 코일형열교환관(41b,51b)의 내측과 외측에 다수의 바형열교환관(41c,51c)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방폐열교환부와 난방폐열교환부의 팽창부(42,52)는 폐열흡열라인(83,81)의 냉매가 통과하는 팽창관(42a,52a)과, 상기 팽창관(42a,52a)에 폐열방열라인(84,82)의 냉매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바형모세관(42b,52b)을 구비하되, 폐열흡열라인(83,81)의 냉매와 접수면적이 최대화 되도록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냉방바이패스부(71)와 난방바이패스부(72)는 콤프레셔(10)의 온도센서(90)에 의하여 동작되는 솔레노이드밸브(71a)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1a)를 통과한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다수의 모세관으로 이루어진 냉각부(71b)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 있어서, 냉방폐열교환부의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41)의 배출구측 냉방폐열방열라인(81)의 냉매를 냉각하는 열교환부를 통하여 냉각하여 하우징(41a) 내부의 열교환관(41b,41c)에 분무하여 상기 열교환관(41b,41c)의 냉매를 냉각하는 냉방열교환촉진부(43)을 구비하고, 방폐열교환부의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51)의 배출구측 난방폐열방열라인(83)의 냉매를 냉각하는 열교환부를 통하여 냉각하여 하우징(51a) 내부의 열교환관(51b,51c)에 분무하여 상기 열교환관(51b,51c)의 냉매를 냉각하는 난방열교환촉진부(53)을 구비하여 냉난방시 냉매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방과정과 난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기(20)와, 실외기(30), 냉난방선택밸브(61), 냉·난방폐열교환부, 냉·난방폐열방열라인(81,83), 냉·난방폐열흡열라인(82,84), 방·흡열라인선택밸브(62,63) 및 냉·난방바이패스부(72)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냉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냉방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가 시스템이 냉방으로 동작되도록 구동부(64)를 제어하므로서 일체로 형성된 냉난방선택밸브(61)와, 폐열방열라인선택밸브(62)와, 폐열흡열라인선택밸브(63)가 냉방상태로 절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밸브(61,62,63)가 냉방상태로 절환된 상태에서 시스템을 작동시키게되면, 콤프레셔(10)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난방선택밸브(61)를 통하여 실외기(30)로 공급되어서 실외공기와의 열교환과정을 통하여 냉각되고, 상기 실외기(30)에서 냉각된 냉매는 냉방폐열방열라인(81)을 통하여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41)의 코일형열교환관(41b)과 냉방폐열방열라인(81)측이 개방된 폐열방열라인선택밸브(62) 및 팽창부(42)의 바형모세관(42b)을 통하여 실내기(20)에서 냉방폐열흡열라인(82)을 통하여 팽창부(42)의 팽창관(42a)과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41)의 하우징(41a)을 통하여 콤프레셔(10)로 공급되는 냉매와의 열교환과정을 통하여 냉각되며, 상기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41)와 팽창부(42)에서 냉각된 냉매는 실내기(20)에서 실내공기와의 열교환과정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냉각하여 실내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기(20)에서 실내공기와의 열교환과정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냉각한 냉매는 냉방폐열흡열라인(82)측이 개방된 흡열라인선택밸브(63)를 통하여 냉방폐열흡열라인(82)으로 공급되어서 냉방폐열흡열라인(82)상의 팽창부(42)의 팽창관(42a)에서 확산되며 바형모세관(42b)을 통과하여 실내기(20)로 공급되는 냉매에서 발산되는 열을 흡수하고, 냉방폐열흡열라인(82)을 통하여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41)의 하우징(41a)으로 유입되어서 재차 확산되어 코일형열교환관(41b)을 통과하는 냉매에서 발산되는 열을 흡수한 후 콤프레셔(10)로 공급되므로 냉방을 위한 하나의 싸이클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이용한 난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난방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가 시스템이 난방으로 동작되도록 구동부(64)를 제어하므로서 일체로 형성된 냉난방선택밸브(61)와, 폐열방열라인선택밸브(62)와, 폐열흡열라인선택밸브(63)가 난방상태로 절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밸브(61,62,63)가 난방상태로 절환된 상태에서 시스템을 작동시키게되면, 콤프레셔(10)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난방선택밸브(61)를 통하여 실내기(20)로 공급되어서 실내공기와의 열교환과정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가열하여 실내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된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기(20)에서 실내공기를 가열하여 실내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되게 한 냉매는 온도가 하강된 상태로 난방폐열방열라인(83)으로 배출되게 되고, 난방폐열방열라인(83)으로 공급된 냉매는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51)의 코일형열교환관(51b)과 난방폐열방열라인(83)측이 개방된 폐열방열라인선택밸브(62) 및 팽창부(52)의 바형모세관(52b)을 통하여 실외기(30)에서 난방폐열흡열라인(84)을 통하여 팽창부(52)의 팽창관(52a)과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51)의 하우징(51a)을 통하여 콤프레셔(10)로 공급되는 냉매와의 열교환과정을 통하여 상기 냉매가 가열된 상태로 콤프레셔(10)로 공급되게하고, 상기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51)와 팽창부(52)에서 콤프레셔(10)로 공급되는 냉매를 가열한 냉매는 실외기(30)에서 실외공기와의 열교환과정을 통하여 가열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외기(30)에서 실외공기와의 열교환과정을 통하여 가열된 냉매는 난방폐열흡열라인(84)측이 개방된 폐열방열라인선택밸브(62)를 통하여 난방폐열흡열라인(84)상의 팽창부(52)의 팽창관(52a)과,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51)의 하우징(51a)에서 확산되며 팽창부(52)의 바형모세관(52b)과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51)의 코일형열교환관(51b)을 통과하여 실외기(30)로 공급되는 냉매에서 발산되는 열을 흡수하여서 가열된 상태로 콤프레셔(10)로 공급되므로 난방을 위한 하나의 싸이클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시스템이 작동함에 있어 관로의 막힘 등으로 인한 관로상의 압력상승으로 콤프레셔(10)가 가열되게되면 콤프레셔(10)에 구비된 온도센서(90)가 이를 감지하여 냉방과 난방의 조건에 따라 냉·난방바이패스부(72)의 솔레노이드밸브(71a,72a)를 작동시켜 폐열방열라인(81,83)상의 냉매가 폐열흡열라인(82,84)으로 직접 바이패스되게 하여 콤프레셔(10)의 과부하로인한 손상이 방지되게 한다.
이때, 폐열흡열라인(82,84)으로 냉매가 바이패스되는 과정에 있어서 고온의 냉매는 다수의 모세관으로 이루어진 냉각부(71b,72b)에서 냉각되어 바이패스되어 고온으로 온도가 상승된 콤프레셔의 온도가 안정상태로 신속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냉난방시스템 상에 실외기에 열교환작용을 하는 냉매의 폐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팽창부를 구비하고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의 열교환관을 다수의 코일형열교환관과 바형열교환관으로 구성하므로서 폐열의 활용율을 높여 냉난방효율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그리고, 폐열방열라인에서 폐열흡열라인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부에 냉각부를 구비하므로서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있어 관로의 막힘등으로 인한 콤프레셔의 파손을 방지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한 것이다.
또한, 냉난방시스템 상에 냉난방의 절환을 위한 냉난방선택밸브와, 폐열흡열라인선택밸브 및 폐열방열라인선택밸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하나의 구동부에 의하여 획일적으로 동작되게 하므로서 통상의 컨트롤러에 의한 한번의 제어를 통하여 냉난방의 절환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며 각각의 라인마다 별도의 밸브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관로의 라인 간소화되어 생산성 및 생산원와 규모의 컴팩트화가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실내기와, 실외 설치되는 실외기와, 냉매를 압송하는 콤프레셔와, 실내기에서 배출되는 폐열과 열교환을 이루어 냉,난방능력을 향상시키는 냉방폐열교환부와, 난방폐열교환부 및 냉난방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수의 밸브로 구성된 종래의 냉난방시스템에 있어서;
    냉매를 압송하는 콤프레셔(10)와;
    냉방시는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를 냉각하고, 난방시는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를 가열하는 실외기(30)와;
    냉방시는 유입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냉각하고, 난방시는 유입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실내기(20)와;
    콤프레셔(10)에서 실내기(20)와 실외기(30)로의 냉매흐름을 제어하여 냉난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냉난방선택밸브(61)와;
    냉방시 실외기(30)에서 냉각되어 실내기(20)로 공급되는 냉매를 실내기(2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폐열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41) 및 팽창부(42)로 이루어진 냉방폐열교환부와;
    난방시 실외기(30)에서 콤프레셔(10)로 공급되는 냉매를 실내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폐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51) 및 팽창부(52)로 이루어진 난방폐열교환부와;
    냉방시 실외기(30)에서 실내기(20)로 형성되는 냉방폐열방열라인(81)과;
    냉방시 실내기(20)에서 실외기(30)로 형성되는 냉방폐열흡열라인(82)과;
    난방시 실내기(20)에서 실외기(30)로 형성되는 난방폐열방열라인(83)과;
    난방시 실외기(30)에서 콤프레셔(10)로 형성되는 난방폐열흡열라인(84)과,
    냉난방에 따라 냉방폐열방열라인(81)과 난방폐열방열라인(83)의 냉매흐름을 선택제어하는 폐열방열라인선택밸브(62)와;
    냉난방에 따라 냉방폐열흡열라인(82)과 난방폐열흡열라인(84)의 냉매흐름을 선택제어하는 폐열흡열라인선택밸브(63)과;
    냉방폐열방열라인(81)에서 냉방폐열흡열라인(82)으로 연결되게 구비되어 콤프레셔(10)에 구비된 온도센서(90)의 온도에 연동하여 동작되는 냉방바이패스부(71)와;
    난방폐열방열라인(83)에서 난방폐열흡열라인(84)으로 연결되게 구비되어 콤프레셔에 구비된 온도센서(90)의 온도에 연동하여 동작되는 난방바이패스부(72)로 구성하되,
    상기 냉난방선택밸브(61)와 폐열방열라인선택밸브(62) 및 폐열흡열라인선택밸브(63)는 밸브축이 동축을 이루게 일체로 형성되어 통상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동작되는 하나의 구동부(64)에 의하여 동작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냉방폐열교환부와 난방폐열교환부의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41,51)는 폐열흡열라인(83,81)의 냉매가 통과하는 하우징(41a,51a)과, 상기 하우징(41a,51a)에 폐열방열라인(84,82)의 냉매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형열교환관(41b,51b)을 구비하되, 상기 코일형열교환관(41b,51b)의 내측과 외측에 다수의 바형열교환관(41c,51c)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냉방폐열교환부와 난방폐열교환부의 팽창부(42,52)는 폐열흡열라인(83,81)의 냉매가 통과하는 팽창관(42a,52a)과, 상기 팽창관(42a,52a)에 폐열방열라인(84,82)의 냉매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바형모세관(42b,52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냉방바이패스부(71)와 난방바이패스부(72)는 콤프레셔(10)의 온도센서(90)에 의하여 동작되는 솔레노이드밸브(71a)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1a)를 통과한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다수의 모세관으로 이루어진 냉각부(71b)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냉방폐열교환부의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41)의 배출구측 냉방폐열방열라인(81)의 냉매를 냉각하는 열교환부를 통하여 냉각하여 하우징(41a) 내부의 열교환관(41b,41c)에 분무하여 상기 열교환관(41b,41c)의 냉매를 냉각하는 냉방열교환촉진부(43)을 구비하고,
    방폐열교환부의 코일형 복합 열교환부(51)의 배출구측 난방폐열방열라인(83)의 냉매를 냉각하는 열교환부를 통하여 냉각하여 하우징(51a) 내부의 열교환관(51b,51c)에 분무하여 상기 열교환관(51b,51c)의 냉매를 냉각하는 난방열교환촉진부(5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KR2020000026808U 2000-09-25 2000-09-25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KR200213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08U KR200213996Y1 (ko) 2000-09-25 2000-09-25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08U KR200213996Y1 (ko) 2000-09-25 2000-09-25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103A Division KR20010007802A (ko) 2000-09-25 2000-09-25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996Y1 true KR200213996Y1 (ko) 2001-02-15

Family

ID=7308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808U KR200213996Y1 (ko) 2000-09-25 2000-09-25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9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646B2 (en) 2015-04-30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device for the outdoor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646B2 (en) 2015-04-30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device for the outdoor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8606C (en) Heat pump system with hot water device
KR100357988B1 (ko) 히트 펌프식 냉·난방장치
JP4182494B2 (ja) 大温度差空調システム
EP1830136A1 (en) Cooling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KR100696718B1 (ko) 일체형 에어컨의 방열 제습 시스템
KR200213996Y1 (ko)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KR102393637B1 (ko) 물을 열매체로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냉난방기
KR200214014Y1 (ko) 단일 회로에 의한 재생 복합 냉난방 시스템
KR20010007802A (ko) 재생 복합 싸이클 냉난방 시스템
KR101170712B1 (ko) 지열을 이용한 가스엔진히트펌프 냉난방 시스템
KR20010007804A (ko) 단일 회로에 의한 재생 복합 냉난방 시스템
JP4201488B2 (ja) 冷凍装置
KR200235755Y1 (ko) 전기자동차의냉난방용공기조화기
JPH08327180A (ja) 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JPS5888548A (ja) ヒ−トポンプ式床暖房装置
KR200178070Y1 (ko)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
JP4073165B2 (ja) エンジン冷却装置及び冷凍装置
JPS60569Y2 (ja) 冷暖房装置
KR20030023077A (ko)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사이클
JP2003322386A (ja) 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JPH0220913B2 (ko)
KR0139853Y1 (ko) 공기 조화 장치용 열펌프의 공기 유동 시스템
JPH03144266A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冷暖房装置
JPS6017638Y2 (ja) 空気調和装置
JPS5826512B2 (ja) 冷暖房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