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728Y1 -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 Google Patents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728Y1
KR200213728Y1 KR2019980021865U KR19980021865U KR200213728Y1 KR 200213728 Y1 KR200213728 Y1 KR 200213728Y1 KR 2019980021865 U KR2019980021865 U KR 2019980021865U KR 19980021865 U KR19980021865 U KR 19980021865U KR 200213728 Y1 KR200213728 Y1 KR 200213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member
glass
window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782U (ko
Inventor
이붕걸
Original Assignee
이붕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붕걸 filed Critical 이붕걸
Priority to KR2019980021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72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7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7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728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양측은 배면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곡되어 배면측이 실내용 칸막이(P)의 사각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11c)(12c)를 구비하고, 양단은 상호 대응 결합되어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접합부(11a)(12a)를 구비하며, 전면에는 설치되는 창유리(20)를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창유리지지부(11b)(12b)를 구비한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로 구성된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에 있어서, 창틀(10)을 이루는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 중 선택된 일측의 틀에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를 일체로 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30)를 부착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창틀(10)을 이루는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를 견고히 연결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취급 및 설치에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창틀(10)은 창유리(20)가 위치되는 창유리지지부(11b)(12b) 일측에 창유리(20)의 단부가 삽설되도록 설치요홈(15)을 형성함으로써 창유리(20)의 설치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견고한 설치상태를 이루게 하는 효과도 있게 된다.

Description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본 고안은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틀을 이루는 세로창틀부재와 가로창틀부재를 견고히 연결 결합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재를 구비한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용 칸막이는 보통 사무실 내의 공간을 분할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내용 칸막이(P)는 도 1에 정면도로 예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유리창(G)을 구비한 것이 있는 바, 이러한 유리창(G)은 칸막이(P)의 상부에 형성한 사각의 통공에 창틀(10)을 설치하고 이에 창유리(20)를 설치하여 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칸막이(P)에 설치한 유리창(G)의 구조를 살펴보면 창틀(10)은 4개의 틀이 결합되어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바, 세로방향의 창틀{이하 세로창틀부재(11)라 함}과 가로방향의 창틀{이하 가로창틀부재(12)라 함}이 서로 직각 연결되어 칸막이(P)에 형성된 사각의 통공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창틀(10)을 구성하는 가로창틀부재(11)와 세로창틀부재(12)는 동일한 형상으로, 모두 배면측으로 칸막이(P)의 사각통공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도록 몸체의 양측이 소정길이 절곡되어 형성된 공간인 체결부(11c)(12c)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의 전면에는 각각 중심에서 약간 편향된 위치에 돌출 형성된 창유리지지부(11b)(12b)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이러한 창유리지지부(11b)(12b)의 일측에 창유리(20)를 지지 위치시키고 창유리(20)의 각 단부를 실링 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창유리(20) 위치를 고정시키는 실링부(S)는 실리콘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같은 칸막이(P) 유리창(G)의 구조에 있어서 창틀(10)을 이루는 종래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지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에 각각 대응되도록 경사 형성된 접합부(11a)(12a)를 맞닿도록 위치를 설정하여 각각의 배면측 체결부(11c)(12c)를 칸막이(P)에 형성한 사각통공에 체결시킴으로써 칸막이(P)에 설치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종래 구조는 경사진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의 양 접합부(11a)(12a)를 단순하게 서로 맞대어 창틀을 이루도록 하는 구조로서, 각각 분리된 상태를 이루고 있는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의 취급 및 설치에 불편함이 있으며,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설치시 상호 빈번한 이탈을 초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창유리 설치에 따른 설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칸막이 유리창을 설치하는 창틀의 취급 및 조립성을 향상시켜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호 조립상태 이탈을 방지하고 유리창 설치에 따른 설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부를 나타낸 실내용 칸막이의 정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창틀의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연결부재 분리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종래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칸막이 G ; 유리창
10 ; 창틀 11 ; 세로창틀부재
12 ; 가로창틀부재 11a, 12a ; 접합부
11b, 12b ; 창유리지지부 11c, 12c ; 체결부
15 ; 설치요홈 15a ; 돌기부
20 ; 창유리 S ; 실링부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은 배면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곡되어 배면측이 실내용 칸막이(P)의 사각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11c)(12c)를 구비하고, 양단은 상호 대응 결합되어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접합부(11a)(12a)를 구비하며, 전면에는 설치되는 창유리(20)를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창유리지지부(11b)(12b)를 구비한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로 구성된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P)의 유리창(G)을 구성하는 창틀(10)을 이루는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 중 선택된 일측의 틀에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를 일체로 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30)를 부착 설치함으로써 칸막이(P)에 창틀(10)을 설치할 때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의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하게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창유리지지부(13)의 일측에 창유리(20)의 단부가 삽설되도록 하는 설치요홈(15)을 설치하여 창유리(20)가 안정되게 지지된 설치상태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동일부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창틀의 구성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창틀(10)의 직각부, 즉 상기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 중 하나의 단부에 상기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의 단부를 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 구비하여 된 것으로 도 3에서는 가로창틀부재(12)에 연결부재(30)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연결부재(30)는 도 4에 분리사시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창틀의 코너와 같은 형상의 " "형상으로 된 것이며, 상기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의 접합부(11a)(12a) 내측으로 끼워져 내주면에 밀착 삽설되는 모양과 사이즈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부재(30)가 접착 설치된 가로창틀부재(12)에 세로창틀부재(11)를 맞추어 끼우면 칸막이(P)에 창틀(10)을 설치할 때 취급이 용이하고,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조립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가로창틀부재(12)의 창유리지지부(13) 일측, 즉 창유리(20)가 위치되는 부위에 창유리(20)의 보다 안정된 설치상태를 이루기 위하여 설치요홈(15)을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설치요홈(15)의 내주연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15a)를 형성하여 창유리(20)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설되도록 함으로써 창유리가 이탈되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을 이루는 세로창틀부재와 가로창틀부재의 연결 조립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수행되므로 칸막이 제조에 따른 창틀 설치가 용이하게 되며, 창틀 및 창유리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칸막이 취급에 따른 창틀조립상태 이탈을 방지하게 되어 사용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양측은 배면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곡되어 배면측이 실내용 칸막이(P)의 사각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11c)(12c)를 구비하고, 양단은 상호 대응 결합되어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접합부(11a)(12a)를 구비하며, 전면에는 설치되는 창유리(20)를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창유리지지부(11b)(12b)를 구비한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로 구성된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에 있어서,
    창틀(10)을 이루는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 중 선택된 일측의 틀에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를 일체로 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30)를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의 양 접합부(11a)(12a) 내측으로 삽설되며 상기 세로창틀부재(11)와 가로창틀부재(12)의 내주면에 밀착 삽설되는 모양과 사이즈를 갖는 " "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10)은 창유리(20)가 위치되는 창유리지지부(11b)(12b) 일측에 창유리(20)의 단부가 삽설되도록 형성된 설치요홈(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요홈(15)의 내주연에는 창유리(20)가 억지 끼움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15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KR2019980021865U 1998-11-11 1998-11-11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KR200213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865U KR200213728Y1 (ko) 1998-11-11 1998-11-11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865U KR200213728Y1 (ko) 1998-11-11 1998-11-11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82U KR20000009782U (ko) 2000-06-05
KR200213728Y1 true KR200213728Y1 (ko) 2001-03-02

Family

ID=6950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865U KR200213728Y1 (ko) 1998-11-11 1998-11-11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7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82U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5534B2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枠組み
GB2141462A (en) Screw slot runner system
JP2001054213A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フレーム架構
KR101678033B1 (ko) 유리 커튼월의 설치구조
JP6611879B2 (ja) ユニットハウスの壁面構造
KR200213728Y1 (ko)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KR100405502B1 (ko) 하우징에의전방프레임부착장치
KR200388559Y1 (ko) 조립식 벽체 연결장치
JP3916755B2 (ja) パーティションの連結部化粧カバー装置
KR20190007923A (ko) 커튼월
JP2822115B2 (ja) 方立連結部のシール構造
KR200250488Y1 (ko) 방충창프레임 모서리 연결구
KR940002643Y1 (ko) 건축용 판넬의 체결부재
JPH02964Y2 (ko)
KR0127437Y1 (ko) 창틀용 코너연결구
KR20180016808A (ko) 도어 프레임 장치
JP3514232B2 (ja) 間仕切パネルシステム
KR101877679B1 (ko)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JP2740905B2 (ja) 内動片引き窓の召合せ下部水密構造
KR200183394Y1 (ko) 끼움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브라켓트의 상호 체결구조
JP3071522U (ja) 窓板支持材
EP0860922B1 (en) Duct junction
JPH019907Y2 (ko)
KR800000687Y1 (ko) 창문틀 부재
JPH04255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