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652Y1 - 철근받침대 - Google Patents

철근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652Y1
KR200213652Y1 KR2020000025712U KR20000025712U KR200213652Y1 KR 200213652 Y1 KR200213652 Y1 KR 200213652Y1 KR 2020000025712 U KR2020000025712 U KR 2020000025712U KR 20000025712 U KR20000025712 U KR 20000025712U KR 200213652 Y1 KR200213652 Y1 KR 200213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leg
legs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송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섭 filed Critical 송유섭
Priority to KR2020000025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652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 수지로 된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다리의 내절도를 보강하여서 된 구조를 가진 철근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인의 실용신안등록 제178202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 개의 다리를 가지는 철근 받침대의 경우 그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다리의 강도를 강화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리하여 종래의 철근받침대에 있어서는 판상의 다리 중심에 보강돌조를 형성시켜 다리의 횡단면이 대략 T자를 이루도록 형성시켜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다리를 구성하는 판체부나 보강돌조는 그 단부에서 일그러짐이 발생함을 알게 되었고 따라서 특히 판체부의 두께와 폭을 비교적 크게 형성시키지 않으면 아니되는 결점이 있어 철근 받침대를 제조하기 위한 합성수지의 소요량이 과다하고 따라서 제조비용이 과다함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합성수지의 소요량을 감소시켜 생산비를 절감하면서도 다리의 구조를 크게 보강하여 내절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리로 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판체부(1)와 판체부(1)의 중심에 보강돌조(2)를 형성시켜서 된 다리를 가진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판체부(1)의 양단에 세로방향의 단부돌조(3)를 형성시켜, 다리의 단면이 대략 山자 모양이 되게 한 것임.

Description

철근받침대 {Supporter for reinforcing steel bar}
본 고안은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 수지로 된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다리의 내절도를 보강하여서 된 구조를 가진 철근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인의 실용신안등록 제178202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 개의 다리를 가지는 철근 받침대의 경우 그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다리의 강도를 강화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리하여 종래의 철근받침대에 있어서는 판상의 다리 중심에 보강돌조를 형성시켜 다리의 횡단면이 대략 T자를 이루도록 형성시켜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다리를 구성하는 판체부나 보강돌조는 그 단부에서 일그러짐이 발생함을 알게 되었고, 따라서 단부가 특히 얇은 판체부의 경우에 있어서는 판체부의 양단부가 쉽게 일그러져, 이러한 일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판체부의 두께와 폭을 비교적 크게 형성시키지 않으면 아니되었고, 따라서 철근 받침대를 제조하기 위한 합성수지의 소요량이 과다하게 되었고 따라서 제조비용이 과다함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다리의 구조를 크게 보강하여 내절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면서도, 합성수지의 소요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철근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철근받침대, 특히 본인의 선등록 제178202호 실용신안을 살펴 본 바, 이들 위에 철근을 설치하고 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작업자가 철근 위를 걸어 다니는 등 철근에 하중 내지 불규칙한 충격이 가해지며 그리하여 철근 밑에 고인 철근 받침대는 철근의 요동에 따라 움직이면서 그 다리를 구성하는 판체부 양단이 일그러지는 현상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다리의 판체부 양단부에 길이 방향의 보강돌조를 설치하여 다리의 단면이 대략 山자 모양이 되게 함으로서, 일렁이는 철근에 설치된 철근받침대의 다리가 약간 비스듬히 거푸집 상면에 닿게 되더라도 판체부의 하단 양측부가 일그러지지 아니하도록 하고, 따라서 다리의 지지력이 감소되지 아니하게 하여 결국 다리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하고, 그리하여 철근 받침대 제조를 위한 합성수지 원료의 절감을 도모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하였는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판체부
2..............보강돌조
3..............단부돌조
본 고안은, 네 개의 다리(11, 12, 13, 14)와 그 위에 형성된 철근재치부(20)로 구성되고, 네 개의 다리(11, 12, 13, 14)가 각각의 판체부(1)와 보강돌조(2)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판체부(1)의 양단에 수직의 세로 방향으로 단부돌조(3)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부돌조(3)는 그하단이 거푸집에 닿을 정도이며, 그리하여 판체부(1)와 동일 평면을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킨다. 그리하여 본고안의 철근 받침대의 다리(11, 12, 13, 14)를 횡방향으로 절단하거나, 저부에서 바라보면 각개의 다리는 山단자 모양을 보여준다. 각개의 다리(11, 12, 13, 14) 내부 중심에 또다른 보강돌조(21)를 설치하는 것이 보통인 바, 이와 같은 경우에는 山자의 중심 하단에 혹이 붙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단부돌조(3)는 그 단부가 둥글게 만곡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는 단부돌조(3)가 판체부(1)의 외방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이를 판체부(1)의 내측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의 목적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리의 판체부(1) 양단부에 길이 방향의 보강 단부돌조(3)를 설치하여 다리의 단면이 대략 山자 모양이 되게 함으로서, 일렁이는 철근에 설치된 철근받침대의 다리 하단이 약간 비스듬히 거푸집 상면에 닿게 되더라도 판체부(1)의 하단 양측부가 일그러질 염려가 없게 되고, 따라서 다리의 지지력이 감소되지 아니하게 하여 결국 다리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하고, 그리하여 철근 받침대 제조를 위한 합성수지 원료의 절감을 도모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네 개의 다리(11, 12, 13, 14)와 그 위에 형성된 철근재치부(20)로 구성되고, 네 개의 다리(11, 12, 13, 14)가 각각의 판체부(1)와 보강돌조(2)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판체부(1)의 양단에 수직의 세로 방향으로 단부돌조(3)를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KR2020000025712U 2000-09-08 2000-09-08 철근받침대 KR200213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712U KR200213652Y1 (ko) 2000-09-08 2000-09-08 철근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712U KR200213652Y1 (ko) 2000-09-08 2000-09-08 철근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652Y1 true KR200213652Y1 (ko) 2001-02-15

Family

ID=7308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712U KR200213652Y1 (ko) 2000-09-08 2000-09-08 철근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6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941B1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267807B1 (ko) Uhpc 부재를 거푸집과 구조재로서 이용하는 대형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101041064B1 (ko) 철근보강형 골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783034B1 (ko)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200213652Y1 (ko) 철근받침대
KR101023179B1 (ko) 티형 리브드 슬래브,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200397209Y1 (ko) 슬라브 전단 보강용 강판
KR200462814Y1 (ko)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
KR200395542Y1 (ko) 중공슬래브 전단키
KR200204074Y1 (ko) 철근 받침대
KR100903985B1 (ko) 중공슬래브 전단키
KR200199003Y1 (ko) 건축의 외벽장식 공사용 요철캡
KR200187249Y1 (ko) 도로 배수구용 덮개
KR200373349Y1 (ko) Rc 침목 철근조립체
CN218504806U (zh) 一种用于后张法双t板的模具
KR200277906Y1 (ko)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용 거푸집
KR100583773B1 (ko)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대
CN214784148U (zh) 一种挡土墙砖及其构筑的挡土墙
KR200301944Y1 (ko) 보조 철근받침대
JP200314790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スペーサブロック
KR20110006225U (ko) 단면 손실 방지형 강도 보강용 결합구조체
JP2003013410A (ja) 合成床版
KR0140094Y1 (ko) 철근 트러스판
KR100930516B1 (ko) 중공 티형 슬래브
KR200373350Y1 (ko) 부두형 rc 침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