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814Y1 -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814Y1
KR200462814Y1 KR2020100010149U KR20100010149U KR200462814Y1 KR 200462814 Y1 KR200462814 Y1 KR 200462814Y1 KR 2020100010149 U KR2020100010149 U KR 2020100010149U KR 20100010149 U KR20100010149 U KR 20100010149U KR 200462814 Y1 KR200462814 Y1 KR 200462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crete
filler
body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505U (ko
Inventor
박한웅
Original Assignee
(주)화인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폼 filed Critical (주)화인폼
Priority to KR2020100010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81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8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5Strips for covering joints between form sections, e.g. to avoid burring or spilling of lai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 또는 거푸집과 측벽 사이에 배치되어 빈공간을 채우는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부면이 완곡한 곡면을 구비하는 아치(Arch)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을 아치 형태로 형성하여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 또는 거푸집과 측벽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채움과 동시에 하중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휨 또는 수축 등의 변형이 방지되며, 거푸집과의 결합력 우수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으며, 제품의 중량을 감소시켜 용이한 운반이 가능하며, 다양한 설치 공간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FILLER FOR CONCRETE POURING}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을 아치 형태로 형성하여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 또는 거푸집과 측벽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채움과 동시에 하중지지력이 증대되며,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설이 방지됨과 동시에 다양한 설치 공간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의 공사시 벽체, 기둥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축물은, 내부 공간이 상기 콘크리트 구축물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 즉 거푸집을 먼저 만든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구축물의 형성은 콘쿠리트 양생용 주형인 거푸집을 만드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거푸집은, 콘크리트 표면과 밀착되는 합판과 합판의 후면에 부착되어 합판을 보강하여 주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합판은 물론, 상기 프레임까지도 각목과 같은 목재로 이루어진 목재 거푸집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내구성, 재활용성이 뛰어난 유로폼 거푸집, 합성수지 코팅 거푸집, 금속 거푸집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거푸집은 규격화된 다수개의 단위 거푸집의 결합으로 설치되는데, 이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규격화된 단위 거푸집을 서로 밀착되도록 연접시켜서 타설된 콘크리트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여기서, 콘크리트 구축물의 면적에 따라 규격화된 단위 거푸집의 사용 수량이 결정되는데, 공사 면적에 따라 규격화된 단위 거푸집의 길이가 완벽하게 대응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즉, 규격화된 단위 거푸집만으로는 거푸집의 완성이 불가능하므로, 단위 거푸집과 단위 거푸집 사이 또는 단위 거푸집과 측벽 거푸집 사이의 공간을 채워줄 구조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을 아치 형태로 형성하여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 또는 거푸집과 측벽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채움과 동시에 하중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휨 또는 수축 등의 변형이 방지되며, 거푸집과의 결합력 우수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설이 방지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중량을 감소시켜 용이한 운반이 가능하며, 다양한 설치 공간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 또는 거푸집과 측벽 사이에 배치되어 빈공간을 채우는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로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부면이 완곡한 곡면을 구비하는 아치(Arch)형태로 마련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출부에는 거푸집 또는 측벽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촉(鏃)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촉부는 화살촉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촉부의 꼭지점 부분의 각도는 8°내지 12°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부는 단면을 기준으로 상부측 촉부와 하부측 촉부의 각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해,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을 아치 형태로 형성하여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 또는 거푸집과 측벽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채움과 동시에 하중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필러를 일정 이상의 강도와 탄성을 구비하는 합성수지재로 마련함으로써, 필러의 휨 또는 수축 등의 변형이 방지되며, 거푸집과의 결합력 우수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중량을 감소시켜 용이한 운반이 가능하며, 다양한 설치 공간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의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의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는, 거푸집(1)과 거푸집(1) 사이 또는 거푸집(1)과 측벽(2) 사이에 배치되어 빈공간을 채우는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로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중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출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0)는 상부면이 완곡한 곡면을 구비하는 아치(Arch)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2 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접촉면인 상부면이 완곡한 곡면으로 마련되며, 거푸집(1)과 접촉되는 하부면이 직선형태 마련되어 거푸집(1)의 일측 상부면에 지지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는 거푸집(1)과 거푸집(1) 사이의 공간 또는 거푸집(1)과 측벽(2) 사이의 공간을 채움과 동시에, 상부면이 완곡한 곡면을 구비하는 아치 형태로 마련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에 의한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의 하중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돌출부(20)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를 배치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도 1 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10)의 중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출부(20)에는, 도 1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거푸집(1)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촉(鏃)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촉부(22)는, 도 1 에서와 같이, 화살촉 형태로 마련되어 거푸집(1)의 측면에 걸려 필러(100)를 고정시키며, 상기 촉부(22)의 꼭지점 부분의 각도(α°)는 8°내지 12°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촉부(22)의 꼭지점 부분의 각도(α°)가 8°미만으로 형성되면, 필러(100)의 삽입시 촉부(22)가 쉽게 파손되어 필러(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어려우며, 촉부(22)의 꼭지점 부분의 각도(α°)가 12°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촉부(22)가 일정이상으로 넓게 형성되어 거푸집(1) 사이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되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상기 촉부(22)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의 고정력 향상을 위하여 도 1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촉부(22)는 단면을 기준으로 상부측 촉부의 각도(a°)와 하부측 촉부의 각도(b°)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 하부측 촉부(22)의 돌출각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 하부측 촉부(22)의 형성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상, 하부측 촉부(22)의 각도를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를 사용되는 단위 거푸집(1)에 다양한 형태에 적절하게 대응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는, 다양한 재질로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정 이상의 강도, 탄성력을 구비하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되어 압출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는 다양한 설치공간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단면을 기준으로 필러(100)의 중단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함으로써, 거푸집(1)과 측벽(2)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형태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는 몸체부(10)의 상부면에, 용이하고 정확한 절개를 위한 절개기준홈(미도시)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상기 절개기준홈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단위 길이 간격으로 길이기준홈(미도시)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절개기준홈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를 절반으로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으며, 상기 길이기준홈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100)가 사용될 다양한 위치에 대응 설치될 수 있도록 필러(100)를 절개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는,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을 아치 형태로 형성하여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 또는 거푸집과 측벽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채움과 동시에 하중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필러를 일정 이상의 강도와 탄성을 구비하는 합성수지재로 마련함으로써, 필러의 휨 또는 수축 등의 변형이 방지되며, 거푸집과의 결합력 우수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중량을 감소시켜 용이한 운반이 가능하며, 다양한 설치 공간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푸집 2 : 측벽
10 : 몸체부 20 : 삽입돌출부
22 : 촉부 100 :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

Claims (5)

  1.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 또는 거푸집과 측벽 사이에 배치되어 빈공간을 채우는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로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부면이 완곡한 곡면을 구비하는 아치(Arch)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삽입돌출부에는 거푸집 또는 측벽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촉(鏃)부가 형성되고,
    상기 촉부는 화살촉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촉부의 꼭지점 부분의 각도는 8°내지 12°로 마련되되,
    상기 촉부는 단면을 기준으로 상부측 촉부와 하부측 촉부의 각도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00010149U 2010-10-01 2010-10-01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 KR200462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49U KR200462814Y1 (ko) 2010-10-01 2010-10-01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49U KR200462814Y1 (ko) 2010-10-01 2010-10-01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05U KR20120002505U (ko) 2012-04-12
KR200462814Y1 true KR200462814Y1 (ko) 2012-10-02

Family

ID=4660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149U KR200462814Y1 (ko) 2010-10-01 2010-10-01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8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823Y1 (ko) * 2014-09-30 2015-07-27 서보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3579B (zh) * 2013-05-17 2015-08-05 十九冶成都建设有限公司 混凝土模板拼缝防堵方法
KR20180052268A (ko) * 2016-11-10 2018-05-18 일우건설산업 주식회사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형성 방법
CN113668856B (zh) * 2021-07-27 2022-12-27 广东信宏智慧建造工程有限公司 一种清水混凝土模板组合轨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976Y1 (ko) * 2003-08-08 2003-11-12 주식회사 대하가구산업 가구용 패널
KR100839602B1 (ko) * 2006-01-12 2008-06-19 임정순 거푸집 패널용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976Y1 (ko) * 2003-08-08 2003-11-12 주식회사 대하가구산업 가구용 패널
KR100839602B1 (ko) * 2006-01-12 2008-06-19 임정순 거푸집 패널용 스페이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823Y1 (ko) * 2014-09-30 2015-07-27 서보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05U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7230A (en) Element for use in mak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cavities, filler body for making such an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cavities
KR200462814Y1 (ko) 콘크리트 타설용 필러
WO2003048471A1 (en) Embedment-type mould for manufacturing building slab structures
JP5955010B2 (ja) 建築基礎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立ち上がりブロック
KR102171006B1 (ko) 강화 콘크리트 바닥을 구축하기 위한 소결 발포 폴리스티렌 모듈형 요소
KR101023179B1 (ko) 티형 리브드 슬래브,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N205742504U (zh) 一种超大型蓄水池密集施工缝
CN207228464U (zh) 一种装配式非承重墙用石膏空心块体
KR101375126B1 (ko) 기능성 데크플레이트
JP2013163954A (ja) 中空コンクリート基盤の施工方法
KR20120131034A (ko) 루프이음에 의한 프리캐스트 천정판과 보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컨테이너 구조물
CN205637241U (zh) 一种复合墙板及其安装结构
CN205444615U (zh) 一种现浇砼楼盖用轻质填充体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20150071957A (ko) 중공슬래브에 사용되는 부력방지형 모듈
KR20090001115A (ko) 전단연결재가 구비된 콘크리트 거더와 섬유강화플라스틱합성바닥판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JP2014525523A (ja) 断熱目的の構造要素
KR101532430B1 (ko) 증가된 리브 높이를 갖는 복합 리브 슬래브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101756604B1 (ko) 건축구조물의 수평구조체 시공방법
CN105421635A (zh) 抗浮铁网芯模
CN201011027Y (zh) 组合式一次性填充模板
CN208251429U (zh) 一种钢木一体箱式内模
KR102539006B1 (ko) 페로니켈 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바닥 배수판 및 바닥 배수판 시스템
CN108951938A (zh) 具有保温隔热功能的密肋墙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