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546Y1 -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546Y1
KR200213546Y1 KR2020000017066U KR20000017066U KR200213546Y1 KR 200213546 Y1 KR200213546 Y1 KR 200213546Y1 KR 2020000017066 U KR2020000017066 U KR 2020000017066U KR 20000017066 U KR20000017066 U KR 20000017066U KR 200213546 Y1 KR200213546 Y1 KR 200213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winding device
shutter winding
motor
electromagnetic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2020000017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546Y1/ko

Link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식 셔터 감김 장치에, 직렬형으로 모터와 감속기,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화물 자동차의 적재 박스 또는 일반 상가건물에 설치되어서 전동식의 자동개폐 또는 수동개폐의 전환이 자유롭게 되는 셔터 감김 장치인 도 2에 있어서, 상기 셔터 감김 장치 도 2에는 셔터 감김 장치의 중심지지대(21)에 모터(12) 및 감속기(13)가 설치되고 상기 중심지지대(21)에 동력을 연결 및 분리 시켜주는 도3의 전자 클러치가 설치되어서 상기 감속기(13)와의 축 연결은 스프라켓 기어(14),(23)와 체인(22)으로 구성하며 그 반대 축 연결은 셔터 드럼(19)과 결합시킨다. 또한 셔터 바(33)의 올림과 내림 시 그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승 리미트 스위치(25), 하강 리미트 스위치(28), 안전 리미트 스위치(29)가 설치되고 도3의 전자 클러치 작동정지 시, 셔터 바(33)의 자중에 의한 셔터드럼(19)의 풀림 방지를 위하여 스프링(20)을 부착한다.
본 고안에 따라 셔터 감김 장치를 제작함으로써 셔터 감김 장치의 설치가 쉬우며 전동식으로 개폐시키고 또한 별도의 수동 및 자동변환 장치가 없어도 수동개폐를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AN ELECTRO MAGNET CLUTCH FOR SHATTER ROLL}
본 고안은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셔터 감김 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회전수 조절을 위한 감속기를 모터 일체형으로 부착하고 상기 모터의 동력을 연결 및 분리시키기 위한 전자 클러치를 장착한 셔터 감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전동식 셔터 감김 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 구동 축에 체인 스프라켓(2)이 부착되고 여기에 동력 전달 겸 회전수 조절을 위하여 보다 큰 직경의 체인 스프라켓(4)의 샤프트(11)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진 적은 직경의 체인 스프라켓(5)과, 셔터 드럼(9)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진 감김 장치 샤프트(8) 측면에 체인 스프라켓(7)을 체인(3),(6)으로 연결시킨 후 상기 모터(1)의 정, 역회전에 의해 셔터 드럼(9)을 동작시켜 셔터 바(10)를 상하로 개폐시켰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상기 셔터드럼(9)과 그 중심 샤프트(8)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샤프트(8)측면의 체인 스프라켓(7)과 모터(1)축의 체인 스프라켓(2) 사이에는 상호 다수의 체인(3),(6)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의 고장시에나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수동작동이 어려웠으며 셔터 감김 장치 측면 브라켓 부분에 모터 고정장치가 돌출 되어 있어서 건물 등에 시공할 때 공간적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측면 브라켓(26) 부분에 돌출 부분이 없어 시공하기가 쉬우며 셔터드럼(19)의 회전수 조절을 위한 감속기(13)가 모터(12)와 일체형으로 구성 되어져 소형화가 가능하며 도 3의 전자 클러치 장착으로 전동식 작동 및 수동식 작동을 쉽게 하기 위한 셔터 감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셔터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전자 클러치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제어장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모터1 2. 체인 스프라켓1
3. 체인1 4. 체인 스프라켓2
5. 체인 스프라켓3 6. 체인2
7. 체인 스프라켓4 8. 샤프트
9. 셔터 드럼1 10. 셔터 바1
11. 스프라켓 샤프트 12. 모터2
13. 감속기 14. 체인 스프라켓5
15. 마그네트(전자석 ) 16. 로터
17. 아마츄어 18. 아마츄어 브라켓
19. 셔터드럼2 20. 스프링
21. 중심지지대 22. 체인3
23. 체인 스프라켓6 24. 마그네트 고정브라켓
25. 상승 리미트 스위치 26. 측면 브라켓
27. 고정 볼트 28. 하강 리미트 스위치
29. 안전 리미트 스위치 30. 제어장치
31. 조작반 32. 리모컨 송신기
33. 셔터 바2
본 고안에 따르면, 화물 자동차의 적재 박스 또는 일반 상가 건물에 설치되어서 전동식의 자동개폐 또는 수동개폐의 전환이 자유롭게 되는 셔터 감김 장치인 도 2에는 셔터 감김 장치의 중심지지대(21)에 모터(12) 및 감속기(13)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13) 출력 축에 체인 스프라켓(14)을 설치한 후 상기 중심지지대(21)에 유동형으로 장착된 도 3의 전자 클러치의 로터(16)와 연결된 입력 축에 체인 스프라켓(23)을 설치 후 체인(22)으로 상기 소프라켓(14),(23)을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도 3의 전자 클러치 아마츄어 브라겟(18)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출력 축을 셔터드럼(19)과 연결시키고 상기 도 3의 전자 클러치 작동정지 시 다수의 셔터 바(33)의 자중에 의한 셔터 드럼(19)의 풀림 방지를 위하여 스프링(20)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감김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셔터 감김 장치 양 끝단에는 측면 브라켓(26)이 설치되며 상기 측면 브라켓(26) 안쪽으로 중심지지대(21)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브라켓을 부착하여 상기 중심지지대(21)를 회전되지 않게 볼트(27) 및 너트로 고정시킨다. 고정된 상기 중심지지대(21)에 브라켓을 사용하여 모터(12) 및 감속기(13)를 고정시키고 상기 감속기(13) 출력 축과 도 2의 전자 클러치 로터(16)와 같이 연결된 상기 전자 클러치 입력 축을 체인 스프라켓(14),(23)과 체인(22)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로터(12)는 AC모터 또는 DC모터를 사용 할 수가 있으며 체인 스프라켓(14),(23)과 체인(22)은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 밸트를 사용 할 수도 있다.
도 3은 셔터 감김 장치 중심지지대(21)에 유동형으로 장착된 클러치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모터(12)가 회전시 동력전달은 감속기(13)의 출력 축에 체인 스프라켓(14)으로 전달되고 체인(22)에 의해 전자 클러치의 로터(16)와 같이 연결된 클러치 입력 축 스프라켓 기어(23)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로터(16)가 회전하게 되는데 전자 클러치의 마그네트(15)는 중심지지대(21)에 연결된 마그네트 고정 브라켓(24)에 고정되어지며 로터(16)가 회전해도 상기 마그네트(15)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마그네트(15)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동력 전달은 여기에서 끝나고 더 이상 동력은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전자 클러치 마그네트(15)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마그네트(15)가 전자석으로 바뀌면서 아마츄어(17)를 끌어 당겨서 로터(16)와 아마츄어(17)는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데 여기에 연결된 아마츄어 브라켓(18)이 셔터 드럼(19)을 회전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를 동작시킬 때의 제어장치(30)내의 회로도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의 상승 리미트 스위치(25),하강 리미트 스위치(28) 그리고 과도한 풀림을 체크 할 수 있는 안전 리미트 스위치(29)가 측면 브라켓(26) 상에 설치 되어있고 조작반(31)의 스위치(올림),(내림),(정지)버튼을 동작시킬 때 상호 제어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지며 필요에 의한 리모컨 장치(32)를 부착 할 수도 있다. 상기 도 4의 회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조작반(31)의 올림 푸쉬 버튼(PB1)을 누르면 3열의 릴레이 동작코일(K1)에 전류가 흘러 4열의 동작접점(k1)이 on되어 전류가 흐르면서 자기유지회로가 구성되고 상기 3열의 릴레이 동작코일(K1)에 계속 전원이 공급되면서 8열,11열의 릴레이 동작접점(k1)이 on됨과 동시에 10열의 릴레이 상시접점(k1)이 off되면서 9열의 모터(M)가 회전하고 12열의 전자 클러치가 동작되면서 셔터드럼(19)이 회전하여 셔터 바(33)가 감겨 올라가게 되는데, 상기 셔터 바(33)가 상 위치까지 올라갔을 때 상승 리미트 스위치(LS1)가 작동하게 설치하여 상기3열의 릴레이 동작코일(K1)의 전원을 차단시켜 자기유지회로를 끊음과 동시에 상기 모터(M)와 클러치(MC)의 전원을 차단시켜 셔터 감김을 정지시킨다. 또한 셔터 바를 내릴 때에는, 조작반(31)의 내림 푸쉬 버튼(PB3)을 누르면 6열의 릴레이 동작코일(K3)에 전류가 흘러 7열의 릴레이 동작접점(k3)이 on되어 전류가 흐르면서 자기유지회로가 구성되고 상기6열의 릴레이 동작코일(K3)에 계속 전원이 공급되면서 10열,13열의 릴레이 동작접점(k3)이 on됨과 동시에 9열의 모터(M)가 역회전하고 12열의 전자클러치가 동작되면서 셔터드럼(19)이 역회전하여 셔터 바(33)가 풀려 내려오게 되는데, 상기 셔터 바(33)가 하 위치까지 내려 왔을 때 하강 리미트 스위치(LS2)가 작동하게 설치하여 상기6열의 릴레이 동작코일(K3)의 전원을 차단시켜 자기유지회로를 끊음과 동시에 상기모터(M)와 전자클러치(MC)의 전원을 차단시켜 셔터 풀림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셔터 바(33)가 풀릴 때 상기 셔터 바(33) 하단에 장애물이 있거나 상기 셔터드럼(19)이 과도하게 역회전하면 6열의 안전 리미트 스위치(LS3)가 작동하여 6열의 릴레이 동작코일(k3)의 전원을 차단시켜 자기유지회로를 off시킨다. 따라서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는 화물 자동차의 적재박스 또는 일반 상가건물에만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셔터 감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곳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 3의 전자클러치, 그리로 모터(12), 감속기(13)를 셔터드럼(19)과 직렬형으로 장치함으로써 소형화가 가능하고 측면 브라켓(26)부분에 돌출 부분이 없어 시공하기가 쉬우며 전동식 작동 및 수동식 작동을 쉽게 할 수 있는 셔터 감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화물자동차의 적재박스 또는 일반 상가건물에 설치되어서 전동식의 자동개폐 와 수동개폐의 전환이 자유롭게 되는 셔터 감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 감김 장치의 중심지지대(21)에 모터(12) 및 감속기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13) 출력 축에 체인 스프라켓(14)을 설치한 후 상기 중심지지대(21)에 유동형으로 장착된 전자 클러치의 로터(16)와 연결된 입력 축에 체인 스프라켓(23)을 설치 후 체인(22)으로 상기 스프라켓(14),(23)을 상호 연결시키며 전자 클러치 아마츄어 브라켓(18)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출력 축을 셔터 드럼(10)과 연결시키고 전자클러치 작동정지 시 다수의 셔터 바(33)가 자중에 의한 셔터드럼(19)의 풀림 방지를 위하여 스프링(20)을 부착한 것으로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
KR2020000017066U 2000-06-15 2000-06-15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 KR200213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066U KR200213546Y1 (ko) 2000-06-15 2000-06-15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066U KR200213546Y1 (ko) 2000-06-15 2000-06-15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546Y1 true KR200213546Y1 (ko) 2001-02-15

Family

ID=7305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066U KR200213546Y1 (ko) 2000-06-15 2000-06-15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5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845A (ko) 2019-12-31 2021-07-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상전환용 보조모터 및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모노레일 분기기 감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로 전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845A (ko) 2019-12-31 2021-07-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상전환용 보조모터 및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모노레일 분기기 감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로 전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0573B1 (en) Distance-controlled electrically powered unit for actuating rail-mounted curtains
EP0319036B1 (en) A curtain drawing device
US20220018185A1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and blackout device comprising such an actuator
KR200213546Y1 (ko) 전자 클러치가 장착된 셔터 감김 장치
US4611430A (en) Door mounted operating mechanism for an overhead door
NZ204415A (en) Automatic door operating device with two electric motors
CN101861442A (zh) 用于上下车装置的驱动设备
CN106319882B (zh) 洗衣机门盖自动开合装置和洗衣机
KR100570669B1 (ko) 전동 및 수동 전환용 전자클러치를 채용한 권양기
CN111101800B (zh) 闸机拍打门断电自动开门系统和闸机
EP1442190B1 (en) Actuator and control for power decklid pulldown
US4604558A (en) Motor drive assembly having a floating switch actuator
AU2020409697B2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for blackout or sun-shading device and blackout or sun-shading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n actuator
KR100624553B1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0370091Y1 (ko) 전동 및 수동 전환용 전자클러치를 채용한 권양기
CN208203082U (zh) 节能省电的电动手动两用卷帘门
JP5745976B2 (ja) 電動ウィンチ
CN213359935U (zh) 一种使用太阳能自供电无线控制与手动控制的中空百叶窗
CN111204637A (zh) 免爬器的盖板组件和免爬器
KR100946468B1 (ko) 자동차 와이퍼용 직구동 모터
JP2000017638A (ja) 水門開閉機の駆動装置
CN110829721A (zh) 一种用于电机启动时的辅助设备
JP4221143B2 (ja) 車両用開閉体の自動開閉装置
JP352373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4257015A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