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222Y1 - 숏크리트용 강섬유의 분산장치 - Google Patents

숏크리트용 강섬유의 분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222Y1
KR200213222Y1 KR2019980014997U KR19980014997U KR200213222Y1 KR 200213222 Y1 KR200213222 Y1 KR 200213222Y1 KR 2019980014997 U KR2019980014997 U KR 2019980014997U KR 19980014997 U KR19980014997 U KR 19980014997U KR 200213222 Y1 KR200213222 Y1 KR 200213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iber
dispersing
steel
cover
shot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203U (ko
Inventor
김춘웅
Original Assignee
김춘웅
금강와이어메쉬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웅, 금강와이어메쉬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춘웅
Priority to KR2019980014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222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2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222Y1/ko

Links

Landscapes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숏크리트용 강섬유 분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섬유 공급장치(1)의 하방에 설치된 계근장치(2)와 시멘트 몰타르 믹서기구(4) 사이에 강섬유 이송용 밸트 컴베이어(3)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밸트 컴베이어(3)의 중간부에 커버(5)를 설치하여 커버내에 여러개의 분산봉(6c)이 방사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 분산장치(6)를 모터(7)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여 컴베이어 밸트위에 강섬유를 균일하게 분산 공급되게 하여서 시멘트 몰타르에 강섬유가 보다 균일하게 분포 혼합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숏크리트용 강섬유의 분산장치
본 고안은 숏크리트(shotcrete)용 강섬유의 분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토목공사에서, 굴착된 암반의 표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강섬유를 혼합한 시멘트 몰타르를 분사시키어 보강 콘크리트를 시공하고 있다.
시멘트 몰타르를 분사하여 시공하는 보강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강섬유는 보통 길이가 25∼63mm, 굵기는 0.5∼0.8mm정도로 그 형태는 원형단면, 직사각형 단면, 이형단면, 굴곡형, 단곡형, 용각편형, 단대형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강섬유의 첨가량은 콘크리트 단위용적당 1∼2 % 정도 혼입하여 사용한다.
종래 콘크리트 용적당 강섬유를 1∼2% 정도로 혼입할 때 다양한 형태의 강섬유는 자체의 무게와 형태의 특성 때문에 강섬유끼리 엉켜 붙어 시멘트 몰타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어렵고 시멘트 분사노즐 구멍이 강섬유의 뭉침으로 인하여 막히는 경우가 허다하며 일일이 인위적으로 강섬유를 분산하는데 품이 많이 들며 강섬유의 분포가 고르지 못한 경우 콘크리트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강섬유 공급장치와 시멘트 몰타르 믹서기구 사이에 설치된 강섬유를 이송하는 밸트 컴베이어의 중간부에 커버를 설치하고 커버내부에 여러개의 분산봉이 밸트의 단면형태에 상응한 길이로 가변조절할 수 있게 방사방으로 돌출형성된 분산장치를 모터로 고속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다.
강섬유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강섬유를 밸트 컴베이어에 의하여 시멘트 몰타르를 믹서기구로 이송하는 중 커버를 통과할 때 고속으로 회전되는 분산장치에 의하여 강섬유가 뭉치지 않게 쳐서 균일한 분포로 펴서 차례로 믹서기구의 홉퍼에 공급하여 시멘트 몰타르와 혼합되게 하므로서 시멘트 몰타르에 강섬유가 보다 균일한 분포로 분산 혼합되어서 시멘트 몰타르의 유동성과 분사성이 양호하여 시공할 때 노즐이 막히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시공하여 보강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강되게 하며, 종래 인위적으로 강섬유를 분산 하던 것에 비하여 보다 능률적으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강섬유 공급장치, 2 : 계근장치,
3 : 밸트 컴베이어, 4 : 시멘트 몰타르 믹서기구,
4a : 홉퍼, 5 : 커버,
6 : 분산장치, 6a : 지축,
6b : 삽입공, 6c : 분산봉,
7 : 모터이다.
강섬유 공급장치(1)의 하방측에 설치된 공지한 계근장치(2)와 시멘트 몰타르 믹서기구(4)의 홉퍼(4a)사이에 다수의 돌조(3a)가 밸트(3b)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강섬유 이송용 밸트 컴베이어(3)를 경사지게 설치한 것에 있어서;
도1 및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트 컴베이어(3)의 중간위치의 컴베이어 지지 프레임(3f)에 직사각형 커버(5)를 지지틀(5a)에 의하여 밸트의 상부가 덮히게 설치하고 커버(5)의 내부에 강섬유의 분산장치(6)의 지축(6a)을 모터(7)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틀(5a)에 형성된 축수(5b)에 설치한다.
강섬유 분산장치(6)는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축(6a)의 사방 주면에 천공된 여러개의 삽입공(6b)에 분산봉(6c)을 삽입하여 분산봉(6c)의 선단부가 만곡된 컴베이어 밸트(3b)의 표면에 근접되는 길이로 삽입공(6b)에서 신축 조절하여 분산봉(6c)과 직각방향으로 지축(6a)에 형성된 체결공(6d)을 통하여 체결나사(6e)로 체결하여 분산봉(6c)을 고정하여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모터(7)에 의하여 분산장치(6)를 컴베이어 밸트(3b)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강섬유 공급장치(1)에서 공급된 강섬유를 계근장치(2)에 의하여 설정된 량으로 계량하여 밸트 컴베이어(3)에 의하여 시멘트 몰타르 믹서기구(4)의 홉퍼(4a)에 이송한다.
밸트 컴베이어(3)가 커버(5)를 통과할 때 모터(7)에 의하여 회전하는 교반봉(6c)이 컴베이어(3)의 밸트(3b)사이에 놓인 강섬유(sb)를 상방향으로 쳐서 강섬유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산시킨다.
이때 컴베이어의 이송속도에 비하여 분산장치의 회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강섬유를 고속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컴베이어 밸트(3b)상에는 강섬유가 균일하게 펴저서 일정한 량으로 재배치되어 이송되며 믹서기구의 홉퍼(4a)에 차례로 공급하면서 시멘트 몰타르와 혼합하여 균일한 분포로 강섬유가 혼합된 시멘트 몰타르를 얻고 이를 고압분사기에 의하여 분사하여 숏크리트(보강 콘크리트)를 시공한다.
사용중 분산봉(6c)이 마모되면 체결나사(6e)를 풀고 분산봉을 적당한 길이로 삽입공(6b) 외부로 신장시킨 다음 체결나사(6e)로 체결한다.
본 고안에서 분산봉은 환봉, 사각봉, 삼각봉, 마름모꼴 봉, 이형봉 등 강섬유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설계적으로 적절한 형태의 분산봉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시멘트 몰타르의 믹서기구에 강섬유를 이송하는 밸트 컴베이어의 중간부에 커버를 형성하여 커버내에 다수의 분산봉이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분산장치를 설치하여 모터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컴베이어 밸트상에 놓인 강섬유를 분산하여 일정한 균일한 분포로 이송되게 하였기 때문에 믹서기구에서의 시멘트 몰타르와 강섬유가 균일한 분포로 혼합되어서 유동성과 분사성이 양호하여 종래와 같이 분사노즐이 뭉친 강섬유로 인하여 막히는 일이 없고 강섬유가 혼합된 시멘크 몰타르를 원활하게 분사하여 각종 보강콘크리트 구조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있다.
또 분산봉은 길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종 컴베이어 밸트의 단면 형태에 상응한 길이로 조절하여 강섬유의 분산효과를 높힐 수 있고 분산봉의 교체가 간편하여 보다 능률적으로 편리하게 강섬유를 분산 공급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강섬유 공급장치(1)의 하방에 설치된 계근장치(2)와 시멘트 몰타르 믹서기구(4)의 홉퍼(4a) 사이에 밸트 컴베이어(3)를 경사지게 설치한 것에 있어서;
    밸트 컴베이어(3)의 중간부에 컴베이어 밸트(3b)를 덮는 커버(5)를 형성하고 커버(5)의 내부에 다수의 분산봉(6c)이 방사상으로 길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게 돌출 형성된 분산장치(6)를 모터(7)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여 컴베이어 밸트(3b)위에 강섬유를 분산 공급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강섬유 분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분사장치(6)는 지축(7a)의 주면에 천공된 여러개의 삽입공(6b)에 분산봉(6c)을 삽입하여 삽입공(6b)과 직교방향으로 형성된 체결공(6d)에 체결나사(6e)를 체결하여 분산봉을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강섬유의 분산장치.
KR2019980014997U 1998-08-10 1998-08-10 숏크리트용 강섬유의 분산장치 KR200213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997U KR200213222Y1 (ko) 1998-08-10 1998-08-10 숏크리트용 강섬유의 분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997U KR200213222Y1 (ko) 1998-08-10 1998-08-10 숏크리트용 강섬유의 분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03U KR19980065203U (ko) 1998-11-25
KR200213222Y1 true KR200213222Y1 (ko) 2001-02-15

Family

ID=6951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997U KR200213222Y1 (ko) 1998-08-10 1998-08-10 숏크리트용 강섬유의 분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2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084B1 (ko) * 1999-09-17 2002-07-22 주식회사 청조 콘크리트보강용 강섬유 분산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107B1 (ko) * 2012-01-30 2013-08-19 호산엔지니어링(주) 콘크리트 배처플랜트용 강섬유 투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084B1 (ko) * 1999-09-17 2002-07-22 주식회사 청조 콘크리트보강용 강섬유 분산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03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18864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Bereitstellung von hydraulisch abbindender Masse
DE263755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kontinuierlichen materialstroms
EP0584573B1 (de) Vorrichtung zur baustellenseitigen Herstellung von pumpfähigen Mörtelmassen
DE2635866A1 (de)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fasern zur zumischung zu aufgespritztem beto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KR200213222Y1 (ko) 숏크리트용 강섬유의 분산장치
JP2019151020A (ja) 繊維分散機構および繊維補強コンクリートの製造装置
JP7123328B1 (ja) コンクリート補強用短繊維の分散投入装置及び分散投入方法
WO1986000044A1 (en) A method of breaking up bundles of adherent hard fibers and an oscillating screen
EP059279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Mörtels oder Betons durch Spritzen
KR100827366B1 (ko) 콘크리트 배쳐플랜트 믹서부의 에어공급 살수장치
JP2005213732A (ja) モルタル又はコンクリート用吹付け装置
RU2068827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талефибробетонной смеси
DE102006057147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osieren von faserigem Material
KR200379068Y1 (ko) 콘크리트용 골재 혼합장치
KR20040059628A (ko) 시멘트 콘크리트 제조시스템
KR200197259Y1 (ko) 콘크리트 보강용 강섬유의 분산장치
US4958935A (en) Method of breaking up bundles of adherent hard fibers and an oscillating screen
JP2004009547A (ja) 繊維補強モルタル・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7153453B2 (ja) 供給機構およびコンクリート混練装置
CN217016267U (zh) 一种房建施工用搅拌机
AU644714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lining of bore holes
JP2007308854A (ja) コンクリート補強用樹脂繊維分散装置
JPH02212104A (ja) コンクリート添加剤連続混合装置
JP2005052989A (ja) 現地複合材料混合装置
JPH11226935A (ja) 成形材の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