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008Y1 - 다목적 칠판 - Google Patents

다목적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008Y1
KR200213008Y1 KR2019980028492U KR19980028492U KR200213008Y1 KR 200213008 Y1 KR200213008 Y1 KR 200213008Y1 KR 2019980028492 U KR2019980028492 U KR 2019980028492U KR 19980028492 U KR19980028492 U KR 19980028492U KR 200213008 Y1 KR200213008 Y1 KR 200213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support
main
fram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105U (ko
Inventor
박기원
Original Assignee
박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원 filed Critical 박기원
Priority to KR2019980028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00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1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008Y1/ko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칠판에 관한 것으로, 메인칠판(110)과, 상기 메인칠판(110)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0)과,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좌우측에 회전수단(123)으로 각각 결합시킨 보조칠판(120)과, 상기 메인칠판(110)의 하측에 형성시킨 선반(140)과, 상기 지지프레임(130)과 메인칠판(110) 사이에 설치하여 메인칠판(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작동구(150)와, 상기 상하작동구(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고정구(160)와, 상기 메인칠판(110)과 보조칠판(120)에 부착시키는 사용하는 자석표시구(170)로 구성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으로, 칠판에 학습기능을 부가하여 어린이들의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칠판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여 공간효율을 향상시키고 칠판을 자성체로 형성하여 교육용 시계 등의 자석표시구를 부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칠판 사용에 필요한 도구를 편리하고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칠판
본 고안은 다목적 칠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의 칠판을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칠판은 주로 벽면에 부착하여 고착화시켜 사용하는 칠판과 수시로 이동시켜 칠판으로 크게 구분된다. 이러한 종래에는 칠판은 분필이나 마크펜 등으로 문자, 숫자, 그림 등을 표시하거나 이를 지울 수 있도록 하여 학교, 학원, 회의실 유치원 등에서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칠판은 단순히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에 문자 또는 숫자 등을 표시하여 이를 지우고 다시 표시하는 반복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음악이나 국어를 동시에 가르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오선을 표시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학습기능이 없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칠판을 상하로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된 칠판은 칠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고, 칠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된 칠판은 상하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낮이나 각도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칠판을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칠판에 학습기능을 부가하여 어린이들의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칠판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여 공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칠판을 자성체로 형성하여 교육용 시계 등의 자석표시구를 부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칠판 사용에 필요한 도구를 편리하고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칠판을 상하조절 및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에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칠판의 분해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고 공간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을 나타낸 배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을 접어서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 상하조절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 회전수단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다목적칠판 110; 메인칠판
111; 프레임 112; 메인플레이트
113; 회전축 114; 걸림홈
115; 셈판 116; 연결구
117; 커플링 120; 보조칠판
121; 프레임 122; 보조플레이트
123; 회전수단 124; 고정수단
125; 연결구 130; 지지프레임
131; 지지대 132; 횡간
133; 고정수단 134; 베이스
135; 이동수단 136; 구멍
137; 연결구 138; 브래킷
140; 선반 141; 프레임
142; 플레이트 143; 보관함
144; 연결구 150; 상하작동구
151; 가이드레일 152; 가이드장홈
153; 걸림턱 154; 가이드베어링
155; 슬라이드구 156; 슬라이드장홈
157; 축공 158; 걸림턱
159; 고정공 160; 고정구
161; 손잡이 162; 고정핀
163; 스프링 164; 걸림턱
170; 자석표시구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메인칠판과, 상기 메인칠판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측에 회전수단으로 각각 결합시킨 보조칠판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을 접어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 상하조절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다목적 칠판 회전수단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칠판(100)은 메인칠판(110)과, 상기 메인칠판(110)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0)과,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좌우측에 회전수단(123)으로 각각 결합시킨 보조칠판(120)과, 상기 메인칠판(110)의 하측에 형성시킨 선반(140)과, 상기 지지프레임(130)과 메인칠판(110) 사이에 설치하여 메인칠판(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작동구(150)와, 상기 상하작동구(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고정구(160)와, 상기 메인칠판(110)과 보조칠판(120)에 부착시키는 사용하는 자석표시구(170)로 구성한다.
상기 메인칠판(110)은 메인플레이트(112)의 테두리에 프레임(111)을 결합하고 좌우측 프레임(111)에 외향으로 걸림홈(114)이 형성된 회전축(113)을 부착하며 상측 프레임(111)에 셈판(115)을 결합하고 회전축(113)의 걸림홈(114)에 결합하는 커플링(117)을 구비한다. 여기서 메인플레이트(112)는 자성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하좌우 프레임(111)은 모서리부분을 연결구(116)로 결합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칠판(120)은 2개의 보조플레이트(122)의 테두리에 각각 프레임(121)을 결합하되 회전수단(123)으로 지지프레임(130)에 결합하여 접을 경우 메인칠판(110)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되, 상하좌우 프레임(121)의 모서리를 연결구(125)로 결합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보조플레이트(122)는 자성체로 형성하고 프레임(121)의 소정위치에 자성체인 고정수단(124)을 부착시킨다. 또한 회전수단(123)은 일반적인 힌지 또는 경첩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해 가능한 경첩(속칭 돌쪽)을 사용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이 이상적이고 펼친 경우 지지프레임(130)과 프레임(121)이 서로 맞닿게 결합하여 180도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칠판(120)은 2 개의 보조플레이트(122)로 구성하되, 전후면에 오선과 건반, 국어의 자음과 모음 등을 표시하여 유아학습에 적당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보조칠판(12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조칠판(120)의 보조플레이트(122)일면에는 상측에 다수개의 오선을 형성하고 하측에 피아노의 건반을 형성하여 음계를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일면에는 바둑판 모양으로 형성하여 문자의 위치나 간격을 정확하게 설명하거나 문자나 숫자의 배열을 정확하게 하며, 다른 일면에는 바둑판 모양으로 형성하여 상측과 일측에 모음과 자음을 가로와 세로 표기하여 상호 교차 지점에 모음과 자음이 결합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일면에는 상측과 일측에 모음과 자음을 가로와 세로 표기하여 상호 교차 지점에 모음과 자음이 결합된 문자를 표시하여 형성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좌우에 수직으로 지지대(131)를 입설하고 지지대(131)의 상단과 하측 소정위치에 수평으로 횡간(132)을 연결하되 상하 횡간(132) 사이에 메인칠판(110)이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지지대(131)의 하단 각각에는 전후로 베이스(134)를 결합하고 베이스(134)의 저면에 이동수단(135)을 부착하며, 아래측 횡간(132)의 중앙에는 자석으로된 고정수단(133)을 설치하여 보조칠판(120)의 고정수단(124)과 대응되게 하되 상기의 고정수단(124)은 다른 잠금장치를 사용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지지대(131)와 상단 횡간(132)은 연결구(137)로 결합하고 지지대(131)의 소정위치에 구멍(136)을 관통시켜 형성하되 지지대(131)와 횡간(132), 지지대(131)와 베이스(134)를 결합시키는 브래킷(138)을 구비한다. 또한 이동수단(135)은 일반적인 회전이 가능한 로울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반(140)은 플레이트(142)의 테두리에 프레임(141)을 부착하여 형성하고 지지대(131)의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시켜 고정시키되 하측 횡간(132) 아래측에 선반(140)이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선반(140)의 중앙 저면에는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보관함(143)을 형성한다. 여기서 선반(140)의 플레이트(142)에 부착된 프레임(141)은 모서리부분을 연결구(144)로 연결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프레임(141)과 플레이트(142)는 턱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상하작동구(150)는 내측 좌우에 가이드장공(152)을 형성한 가이드레일(151)을 지지대(131)에 수직으로 부착하고 가이드레일(151)의 내부에 가이드장공(152)에 볼이 위치하여 상하로 작동되는 가이드베어링(154)을 삽입하며 가이드레일(151)의 중앙에는 지지대(131)의 구멍(136)과 일치하는 구멍(153)을 형성한다. 여기서 가이드장공(152)의 상하단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가이드베어링(154)의 좌우에 형성된 볼이 완전히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고 가이드베어링(154)의 중앙에 돌출부를 형성하되, 가이드베어링(154)은 구멍(153)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베어링(154)의 볼 내측에는 슬라이드구(155)의 외측에 형성된 슬라이드장홈(156)을 끼워 슬라이드구(155)를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여기서 슬라이드구(155)는 상하에 가이드베어링(154)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걸림턱(158)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회전축(113)을 삽입하여 커플링(117)으로 결합하는 축공(157)을 형성하고 중앙 상하로 다수개의 고정공(159)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구(160)는 지지대(131)의 구멍(136)에 고정핀(162)을 삽입하되 고정핀(162)의 외주연에 스프링(163)을 설치하여 고정핀(162)에 형성된 걸림턱(164)에 걸리도록 하되, 고정핀(162)의 외측단에는 손잡이(161)를 결합하고 손잡이(161)측의 스프링(163)단은 지지대(131)에 걸리도록 하여 고정핀(162)을 탄력설치한다. 여기서 고정구(160)가 지지대(131) 결합 상태에서 고정핀(162)은 스프링(163)의 탄성에 의하여 지지대(131)의 구멍(136)과 가이드레일(151)의 구멍(153)을 관통하여 슬라이드구(155)의 고정공(159)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핀(162)의 삽입단은 원뿔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목적칠판(100)에서 메인칠판(110)만을 사용하여 교육하는 경우에는 보조칠판(120)을 접은 상태에서 이동수단(135)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80)을 180도 회전시켜 다목적칠판(100)의 뒤쪽을 전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메인칠판(110)의 메인플레이트(112)를 이용한다. 또한 다목적칠판(100)을 이용하여 음악교육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조칠판(120)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고정수단(124,133)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보조칠판(120)을 펼쳐 인쇄된 오선과 건반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메인칠판(110)과 함께 이용한다. 한편 다목적칠판(100)을 이용하여 국어교육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조칠판(120)을 접어서 사용하거나 다목적칠판(100)을 180도 회전시키고 보조칠판(120)을 펼쳐 메인칠판(110)과 함께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목적칠판(100)의 메인칠판(110)과 보조칠판(12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칠판(120)을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어 공간사용이 효율적이고 이동이 자유로워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보관함(143)이 설치된 선반(140)을 메인칠판(110) 하측에 설치하여 다목적칠판(100) 사용에 따른 지우개, 마크펜 등의 부자재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사용시 보관함(143)에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메인칠판(110)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인칠판(110)을 잡고 고정구(160)의 손잡이(161)를 외향으로 당긴다. 이때 손잡이(161)에 결합된 고정핀(162)이 스프링(163)을 압축하면서 슬라이드구(155)의 고정공(159)을 빠져나와 슬라이드구(155)가 자유상태가 되므로 슬라이드구(155)에 결합된 메인칠판(11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슬라이드구(155)는 가이드베어링(154)에 가이드되어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된다. 따라서 메인칠판(110)도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되며 원하는 위치에 위치되면 손잡이(161)의 당김상태를 해제한다. 손잡이(161)의 당김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163)의 탄성에 의하여 고정핀(162)은 가이드레일(151)의 구멍(153)을 관통하여 슬라이드구(155)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159) 중에 세팅위치의 고정공(159)에 삽입되어 슬라이드구(155)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메인칠판(110)의 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세팅고정된다. 한편 메인칠판(11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인칠판(110)과 슬라이드구(155)가 회전축(113)과 축공(157)으로 커플링(117)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이 자유롭고 조절된 각도를 유지시킨다. 또한 메인칠판(110)의 상측에는 셈판(115)이 설치되어 있어 필요시 적절한 셈교육 할 수 있고 고정수단(124,133)이 보조칠판(120)과 지지프레임(130)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보관 또는 이동시 보조칠판(120)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고안은 메인칠판(110)과 보조칠판(120)의 메인플레이트(112)와 보조플레이트(122)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교육용시계, 숫자, 기호 및 원형표시구 등의 자석표시구(150)를 구비하여 시각적이고 유희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다목적칠판(100)으로 어린아이의 지능교육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메인칠판(110), 보조칠판(120), 지지프레임(130), 선반(140) 및 상하작동구(150)가 모두 분해결합이 용이하므로 제품을 분해상태로 판매하고 사용자가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물류비용의 절감은 물론 공간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칠판(100)은 메인칠판(110)과, 상기 메인칠판(110)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0)과,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좌우측에 회전수단(123)으로 각각 결합시킨 보조칠판(120)과, 상기 메인칠판(110)의 하측에 형성시킨 선반(140)과, 상기 지지프레임(130)과 메인칠판(110) 사이에 설치하여 메인칠판(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작동구(150)와, 상기 상하작동구(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고정구(160)와, 상기 메인칠판(110)과 보조칠판(120)에 부착시키는 사용하는 자석표시구(170)로 구성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필요로 하는 칠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으로, 칠판에 학습기능을 부가하여 어린이들의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칠판을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고 이로 인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여 물류비용을 저감시킴은 물론 공간효율을 향상시키고 칠판을 자성체로 형성하여 교육용시계 부호 숫자 등의 자석표시구를 부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칠판 사용에 필요한 도구를 편리하고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메인칠판과,
    상기 메인칠판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측에 회전수단으로 각각 결합시킨 보조칠판과,
    상기 메인칠판의 하측에 형성시킨 선반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메인칠판 사이에 설치하여 메인칠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작동구와,
    상기 상하작동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고정구와,
    상기 메인칠판과 보조칠판에 부착시키는 사용하는 자석표시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칠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칠판은 메인플레이트의 테두리에 프레임을 결합하고 좌우측 프레임에 외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축을 부착하며 상측 프레임에 셈판을 결합하고 회전축의 걸림홈에 결합하는 커플링을 구비하되, 메인플레이트를 자성체로 형성하고 프레임의 모서리부분을 연결구로 결합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칠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칠판은 2개의 보조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각각 프레임을 결합하고 프레임의 모서리를 연결구로 결합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며 보조플레이트를 자성체로 형성하고 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자성체인 고정수단(124)을 부착시키되, 지지프레임에 분해 가능한 회전수단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칠판.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좌우에 수직으로 지지대를 입설하고 지지대의 상단과 하측 소정위치에 수평으로 횡간을 연결하며 상하 횡간 사이에 메인칠판이 위치하도록 하고 지지대의 하단 각각에는 전후로 베이스를 결합하며 베이스의 저면에 이동수단을 부착하며 아래측 횡간의 중앙에는 자석으로된 고정수단을 설치하여 보조칠판의 고정수단과 대응되게 하되 지지대의 상단과 상단 횡간을 연결구로 결합하고 지지대의 소정위치에 구멍을 관통시켜 형성하되 지지대와 횡간, 지지대와 베이스를 결합시키는 브래킷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칠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프레임을 부착하여 형성하고 지지프레임의 지지대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시켜 고정시키고 선반의 중앙 저면에 보관함을 설치하되 프레임의 모서리부분을 연결구로 연결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형성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칠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구는 내측 좌우에 가이드장공을 형성한 가이드레일을 지지대에 수직으로 부착하고 가이드레일의 내부 가이드장공에 볼이 위치하여 상하로 작동되는 가이드베어링을 삽입하며 가이드레일의 중앙에 지지프레임의 지지대 구멍과 일치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가이드장공의 상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하며 가이드베어링의 중앙에 돌출부를 형성하되, 가이드베어링의 볼 내측에 슬라이드구의 외측에 형성된 슬라이드장홈을 끼워 슬라이드구를 결합하고 슬라이드구의 상하에 가이드베어링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걸림턱을 형성하며 중앙에 메인칠판의 회전축을 삽입하여 커플링으로 결합하는 축공을 형성하고 중앙 상하로 다수개의 고정공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칠판.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지지프레임의 지지대 구멍에 고정핀을 삽입하되 고정핀의 외주연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고정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하여 고정핀을 탄력설치하되, 고정구가 지지대의 결합 상태에서 고정핀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지지대의 구멍과 가이드레일의 구멍을 관통하여 슬라이드구의 고정공에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칠판.
KR2019980028492U 1998-12-31 1998-12-31 다목적 칠판 KR200213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492U KR200213008Y1 (ko) 1998-12-31 1998-12-31 다목적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492U KR200213008Y1 (ko) 1998-12-31 1998-12-31 다목적 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105U KR20000015105U (ko) 2000-07-25
KR200213008Y1 true KR200213008Y1 (ko) 2001-04-02

Family

ID=6950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492U KR200213008Y1 (ko) 1998-12-31 1998-12-31 다목적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0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105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432A (en) Collapsible playroom
US4626218A (en) Modular furniture design aid
US5501603A (en) Modularized visual training aid for classroom instruction
US5725380A (en) Combination writing board and abacus
US6540192B2 (en) Integrated easel, horizontal artwork surface and art supply case
WO2006046083A1 (en) Multipurpose mobile demonstration device
CN207425136U (zh) 一种心理学教学辅助装置
KR200213008Y1 (ko) 다목적 칠판
CN210383283U (zh) 一种便携式教学用展示装置
KR20100064131A (ko) 독서대를 갖춘 책상
KR200353767Y1 (ko) 상판 각도조절식 책상
CN109645724A (zh) 一种英语教学装置
KR20190054597A (ko) 다용도 수납부 칠판
JP2655829B2 (ja) 教育用ボード
CN109087614B (zh) 钢琴
US5515125A (en) Storage cart for instructional devices
JP2566540B2 (ja) 教育用ボード
KR20060034810A (ko) 책상용 다용도패널
KR20090065488A (ko) 자석식 화이트보드를 구비한 어린이용 교구대
KR100632313B1 (ko) 접철식 칸막이를 갖는 학습용 책상
KR200413785Y1 (ko) 상판 각도 조절식 교탁
KR200454551Y1 (ko) 학습용 교구
KR200440788Y1 (ko) 수납공간이 구비된 전자칠판장치
KR200320446Y1 (ko) 화판 겸용 책상
RU2053701C1 (ru) Учебный сто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