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583Y1 - 파렛트용 케스터 고정판 - Google Patents

파렛트용 케스터 고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583Y1
KR200212583Y1 KR2019980016552U KR19980016552U KR200212583Y1 KR 200212583 Y1 KR200212583 Y1 KR 200212583Y1 KR 2019980016552 U KR2019980016552 U KR 2019980016552U KR 19980016552 U KR19980016552 U KR 19980016552U KR 200212583 Y1 KR200212583 Y1 KR 200212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er
pallet
plat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615U (ko
Inventor
황철
Original Assignee
김정식
주식회사코리아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식, 주식회사코리아코프 filed Critical 김정식
Priority to KR2019980016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58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6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58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렛트의 저면 각 모서리에 케스터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케스터 고정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단순히 케스터의 지지판에 형성된 4개의 연결공과 관통되게 4개의 볼트공을 형성하여 각기 4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고정토록 함에 따라 제조경비의 상승은 물론 작업능률의 저하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었던바, 본 고안은 받침부(2)(4) 일측 좌우에 각기 모서리 부분이 직각되고 또 경사면은 절단되어 타측으로 개방된 대체로 삼각형상의 결합홈(6)(8)(10)(12)을 형성하여 케스터(40)의 지지판(42) 일측을 상기 결합홈(6)(8)(10)(12)에 결합하고, 그 타측의 볼트공(7)(9)(11)(13)을 이용하여 각기 두개의 볼트(44)로 고정해 줌에 따라 견고하게 연결고정되게 하므로서 생산성을 향상시켜 줄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파렛트용 케스터 고정판
본 고안은 주로 파렛트의 이동수단인 케스터를 파렛트 저면에 연결고정하는데 이용되는 케스터 고정판에 관한 것이다.
케스터에 의해 이동수단을 갖는 파렛트는 여러 종류가 고안된 바 있으나 주로 도5에서와 같이 보관시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하판과 측판을 절첩가능케 구성할 경우에는 볼트에 의해 연결수단을 갖는 케스터의 고정수단이 여의치 않아 별도의 평판형 고정판이 이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케스터는 교체 및 견고한 연결수단을 갖게 하기 위하여 대체로 사각의 지지판 각 모서리부분에 총4개의 연결공을 형성하여 4개의 볼트로 연결고정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케스터 고정판은 단순히 케스터의 지지판에 형성된 연결공과 각기 일치하는 4개의 볼트공을 형성하여 4개의 볼트로 체결고정토록 하므로서 1대의 파렛트당 총16개의 고정볼트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제조경비의 상승요인이 됨은 물론 볼트를 일일이 죄여 주는데 따른 작업능률의 저하로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에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케스터당 2개의 볼트로도 견고히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경비 절감 및 신속한 조립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파렛트용 케스터고정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받침부의 일측 좌우에 각기 모서리 부분이 직각되고 또 경사면은 절단되어 타측 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홈을 형성하고 받침부 타측 모서리 부분에는 볼트공을 형성하여 케스터의 지지판 일측을 결합홈에 결합한 뒤 볼트공을 이용하여 각기 두개의 볼트를 체결고정해 줌에 따라 케스터가 연결고정되게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파렛트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받침부의 양측 고정부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로 고정해 주거나 또는 용접고정해 주면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파렛트의 밑판과 측판에 절첩기능을 부여해 줌에 따라 펼친 밑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편과 측판의 축봉이 끼워져 회전할 수 있는 축공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본 고안은 제조시 양측 고정부에 걸림편과 축공을 형성해 줄수도 있다.
이때 밑판의 고정수단인 걸림편은 전방에 형성되고, 측판의 지지수단인 축공은 후방에 형성되므로 이러한 경우 본 고안 또한 앞뒤 구분하여 제조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파렛트의 밑판과 측판이 절첩되게 함에 따른 걸림편과 축공은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며 받침부 일측 좌우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케스터의 지지판 일측을 결합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도 1 :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 본 고안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 :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 본 고안이 설치된 파렛트의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4)--받침부 (6)(8)(10)(12)--결합홈
(7)(9)(11)(13)--볼트공 (14)(16)(18)(20)--고정부
(22)-파렛트 (24)--밑판
(26)--측판 (28)--걸림편
(30)--잠금봉 (32)--축공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밑판의 고정수단인 걸림편을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파렛트 전방에 고정되는 전방 고정판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측판의 지지수단인 축공을 형성함에 따라 파렛트 후방에 고정되는 후방 고정판의 사시도로서, 각기 적정두께의 철판을 프레싱가공하여 제조된다.
프레싱가공을 통한 제조시 받침부(2)(4)는 대체로 사각으로 형성하되 그 일측좌우에는 각기 모서리부분은 직각되고 그 경사면은 절단되어 타측방향으로 개방된 평면 삼각형상의 결합홈(6)(8)(10)(12)을 형성하고 그 타측 좌우 모서리부분에는 볼트공(7)(9)(11)(13)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부(2)(4) 양측에는 고정부(14)(16) (18)(20)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에는 파렛트(22)의 밑판(24)과 측판(26)이 절첩되게 함에 따른 구성상의 변화를 가져올수 있다.
즉 본 고안이 파렛트(22) 전방에 부착고정될 경우 도3에서와 같이 내측 고정부(14)에 걸림편(28)을 직립되게 절곡형성하여 밑판(24)의 잠금봉(30)과 잠금수단을 갖게 할수도 있고, 또 본 고안이 파렛트(22) 후방에 부착고정될 경우에는 도4에서와 같이 외측 고정부(20)에 축공(32)을 형성하여 측판(26)의 지지 및 회전수단을 갖게 할수도 있다.
그러나 파렛트(22)의 밑판(24)과 측판(26)이 절첩되게 함에 따른 구성상 변화는 본 고안에서 반드시 필요로하는 것이 아니며 가령 밑판과 측판이 고정식으로 된 경우에는 전혀 필요치 않게 된다.
미설명부호 (35)는 축봉, (36)은 연결편, (38)은 걸림공, (40)은 케스터, (42)는 지지판, (44)는 고정볼트, (46)(48)은 고정판, (50)(52)는 보강돌부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받침부(2)(4)의 양측 고정부(14)(16)(18)(20)를 이용하여 파렛트(22)의 저부 각 모서리부분에 볼트를 체결고정하거나 또는 용접고정한 뒤 케스터(40)의 지지판(42) 일측을 받침부(2)(4)의 결합홈(6)(8)(10)(12)에 깊숙히 결합하고 그 타측의 볼트공(7)(9)(11)(13)을 이용하여 각기 두개의 볼트(44)를 체결고정해 줌에 따라 조립완료된다.
또한 본 고안은 파렛트(22)의 밑판(24)과 측판(26)이 절첩되게 구성함에 따라 이에 따른 기능이 추가된 경우 즉 도3에서와 같이 파렛트(22) 전방에 연결고정되는 고정판(46)에 걸림편(28)이 형성된 경우에는 파렛트(22)의 사용시 밑판(24)을 펼쳐서 그 저면 외측의 잠금봉(30)을 이용하여 걸림편(28)과 잠금이 이루어지게 함에 따라 밑판(24)이 고정된다.
또한 도4에서와 같이 본 고안 고정판(48)이 파렛트(22)후방에 연결고정될 경우 외측 고정부(30)의 축공(32)에 측판(26)의 축봉(35)을 약간 헐겁게 삽입해 주게 되면 측판(26)이 축봉(35)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파렛트(22)의 저부 각 모서리에 케스터(40)를 연결설치함에 있어 케스터(40)의 지지판(42) 일측을 결합홈(6)(8)(10)(12)에 결합한 뒤 각기 두개의 볼트(44)를 체결고정해 줌에 따라 견고하게 연결고정되므로 케스터(40)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볼트 수를 반으로 줄일수 있어 제조경비가 절감되고 또 신속한 조립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켜 줄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파렛트의 저면 각 모서리에 연결고정되고 케스터(40)의 지지판(42)과는 볼트로 연결되는 파렛트용 케스터 고정판에 있어서, 받침부(2)(4)의 일측 좌우에 각기 모서리 부분이 직각되고 그 경사면은 절단되어 타측 방향으로 개방된 평면 삼각형상의 결합홈(6)(8)(10)(12)을 형성하고, 받침부(2)(4) 타측에는 볼트공(7)(9) (11)(13)을 형성하여 케스터(40)의 지지판(42) 일측을 결합홈(6)(8)(10)(12)에 결합한 뒤 각기 두개의 볼트(44)를 이용하여 연결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케스터 고정판.
KR2019980016552U 1998-08-27 1998-08-27 파렛트용 케스터 고정판 Expired - Fee Related KR200212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552U KR200212583Y1 (ko) 1998-08-27 1998-08-27 파렛트용 케스터 고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552U KR200212583Y1 (ko) 1998-08-27 1998-08-27 파렛트용 케스터 고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15U KR20000005615U (ko) 2000-03-25
KR200212583Y1 true KR200212583Y1 (ko) 2001-02-15

Family

ID=6951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552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2583Y1 (ko) 1998-08-27 1998-08-27 파렛트용 케스터 고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5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2857B2 (en) 2020-07-01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laxor-ferroelectric material and method of synthesizing the same and device including relaxor-ferroelectric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2857B2 (en) 2020-07-01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laxor-ferroelectric material and method of synthesizing the same and device including relaxor-ferroelectric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15U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4512C (en) Concrete form member
EP0472793B1 (en) Framework for cabinet structure
KR200212583Y1 (ko) 파렛트용 케스터 고정판
KR100793239B1 (ko)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KR102026611B1 (ko) 테이블
KR10209138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테이블
JPH10317547A (ja) 壁パネルの上端結合構造
JP2006325637A (ja) テーブル類における天板と脚部の連結構造
JPH06984Y2 (ja) 物品収納ケース
JPH0535709Y2 (ko)
CN221520346U (zh) 一种具有高强度侧板的折叠收纳箱
KR200341867Y1 (ko) 파렛트용 프레임 연결구
JP3606633B2 (ja) 嵌込組立式梱包容器
KR960010557Y1 (ko) 착탈이 가능한 절첩식 파렛트의 지지틀
CN218908363U (zh) 一种防潮木箱
CN220575888U (zh) 拆装式户外工具箱
JPH0138027Y2 (ko)
KR102750644B1 (ko) 어시스트 핸들 어셈블리
CN215156566U (zh) 一种可折叠中空板周转箱
CN210033135U (zh) 一种快速拼装木门
JP3695800B2 (ja) 段ボールの窓孔構造及び段ボール箱
JP3507139B2 (ja) 嵌込組立式梱包容器
KR100353676B1 (ko) 조립식 캐비닛의 체결구조
KR950010241Y1 (ko) 절첩식 책상
KR200306742Y1 (ko)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UN230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U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711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112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