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573Y1 - 고소 작업차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573Y1
KR200212573Y1 KR2019980003685U KR19980003685U KR200212573Y1 KR 200212573 Y1 KR200212573 Y1 KR 200212573Y1 KR 2019980003685 U KR2019980003685 U KR 2019980003685U KR 19980003685 U KR19980003685 U KR 19980003685U KR 200212573 Y1 KR200212573 Y1 KR 200212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stand
aerial work
work vehicle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827U (ko
Inventor
유광영
Original Assignee
유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영 filed Critical 유광영
Priority to KR2019980003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57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8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573Y1/ko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량의 운행중에 고소 작업용 크레인의 버킷과 화물 적재함간의 접촉으로 인한 버킷 및 화물 적재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버킷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좁은 골목길에서도 크레인의 사용이 가능한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는, 화물 적재함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대에 입설되는 기준대와, 상호간에 소정 각도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관절이 구비되어 상기 기준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움과, 상기 부움중 마지막 부움의 내부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장 부움과, 일단부가 연장 부움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버킷대와, 상기 버킷대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버킷과, 상기 설치대의 좌우측부에 설치되는 격납식 지지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버킷대는 상기 버킷이 상기 부움의 상측에 누운 상태로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연장 부음의 끝단에 설치되고, 버킷에는 유선형 덮개가 설치되며, 화물 적재함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에 의하면, 크레인의 미사용시에는 버킷을 부움의 상측에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버킷 및 화믈 적재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1톤 차량에서도 고정식 버킷대를 적용할 수 있으며, 버킷에는 공구 박스 겸용 덮개가 실치되어 있으므로, 버킷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별도의 공구 박스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적재함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지지대의 인출 및 격납이 가능하도록 적재함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좁은 골목길에서도 고소 작업차의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차
본 고안은 화물차량의 운행중에 고소 작업용 크레인의 버킷과 화물 적재함간의 접촉으로 인한 버킷 및 화물 적재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버킷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좁은 골목길에서도 크레인의 사용이 가능한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고소 작업차는 중·소형 화물차량의 화물 적재함에 고소 작업용 크레인을 설치하여 가로수 절단과 가로등 보수 및 간판 설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을 말하는 것으로, 크레인은 절첩 가능한 다수개의 부움(boom)과, 마지막 부움의 내부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장 부움과, 연장 부움에 설치되는 버킷대와, 버킷대에 고정 설치되는 작업자 탑승용 버킷(bucket)이 구비되고, 이 버킷대는 그 설치 방법에 따라 일반적으로 고정식 버킷대와 분리식 버킷대의 두가지로 구분된다.
분리식 킷대는 주로 소형 화물차량(1톤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 차량의 운행중 및 크레인의 비사용시에는 버킷대를 마지막 부움에서 분리한 후 화물 적재함에 적재하도록 한 것이며, 고정식 버킷대는 주로 중형 화물차량(1톤 초과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 크레인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버킷대를 마지막 부움에 영구적으로 고정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버킷대를 분리식과 고정식으로 구분하는 것은 고정식 버킷대를 1톤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1톤 차량의 화물 적재함 크기가 작음으로 인해 버킷이 적재함 외부로 돌출되게 되어 사고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고 외관성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고소 작업차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식 버킷대를 적용한 고소 작업차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소 작업차의 작동 상태도이다.
고소 작업용 크레인은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101)와,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대(101)에 세워서 설치되는 기준대(102)와, 상호간에 소정 각도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기준대(102)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움(boom : 103∼105)과, 마지막 부움(105)의 내부에 출몰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장 부움(106, 107)과, 일단부가 연장 부움(107)의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버킷대(108)와, 버킷대(108)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작업자 탑승용 버킷(bucket : 109)과, 설치대(101)의 좌우측부에 설치되는 격납식 지지대(outrigger : 110)로 구성된다.
버킷(109)을 작업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부움(103∼105)은 제1 관절(103')에 의해 기준대(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부움(103)과, 제2 관절(104')에 의해 제1 부움(103)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2 부움(104)과, 제3 관절(105')에 의해 제2 부움(104)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3 부움(105)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3 부움(105)의 내부에는 2단식으로 출몰 가능한 연장 부움(106, 107)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장 부움(107)의 끝단부에는 버킷(109)이 고정된 버킷대(108)가 연장 부움(107)과 일체로 작동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고, 제 1 내지 제3 부움(103∼105)을 작동시키기 위한 부움 실린더는 기준대(102)와 제1 부움(103)에 연결 설치되는 제1 부움 실린더(103")와, 제1 부움(103)과 제2 부움(104)에 연결 설치되는 제2 부움 실린더(104")와, 제2 부움(104)과 제3 부움(105)에 연결 설치되는 제3 부움 실린더(10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킷대(108)에 고정 설치된 버킷(109)에는 작업자용 손잡이(111)와, 버킷(109)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버킷 실린더(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부움(103∼105)을 절첩하여 버킷(109)을 화물 적재함에 후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게 되며, 고소 작업시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화물 적재함을 개방한 후 지지대(110)를 인출하여 지지대(110)의 단부가 지지면을 향하도록 90° 만큼 회전시기고, 이후,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장치를 이용하여 지지대(110)의 단부를 돌출시켜 지면과 접촉시키므로써 차량을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하며, 제1 부움 실린더(103")를 작동시켜 제1 부움(103)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버킷(109)을 지면에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버킷(109)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제1 내지 제3 부움 실린더(103∼105)를 작동시켜 제1 내지 제3 부움(103∼105)을 회전시키므로써, 버킷(109)을 작업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작업자가 고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의 탑승시에 버킷의 일측면에는 고소 작업에 필요한 공구들을 수납할 수 있는 착탈식 공구 박스가 필요에 따라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소 작업차에 의하면, 차량의 운행 및 크레인의 미사용시에는 적재함에 안착되어 있는 버킷과 적재함간의 저촉으로 인한 버킷 및 화물 적재함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버킷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크레인의 지지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재함을 개방하여야 하므로 적재함의 개방이 불가능한 정도의 좁은 골목길에서는 고소 작업차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1톤 차량에서는 설치 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고정식 버킷대를 적용할 수 없고, 이로 인해 분리식 버킷대를 적용하여야 하므로, 크레인의 사용 여부에 따라 버킷대를 착탈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차량의 운행중에 고소 작업용 크레인의 버킷과 화물 적재함간의 접촉으로 인한 버킷 및 화물 적재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킷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화물 적재함의 개방이 불가능한 좁은 골목길에서도 크레인의 사용이 가능한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식 버킷대를 적용한 고소 작업차의 측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소 작업차의 작동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식 버킷대를 적용한 고소 작업차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의 제1 작동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의 제2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설치대 2 : 기준대
3 : 제1 부움 4 : 제2 부움
5 : 제3 부움 6, 7 : 연장 부움
8 : 버킷대 9 : 버킷
10 : 지지대 11 : 손잡이
12 : 버킷 실린더 13 : 회전 수단
13a : 브래킷 13b : 링크
13c : 힌지 고정핀 14 : 유선형 덮개
15 : 버킷 안착대 16 : 절개부
17 : 힌지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는, 화물 적재함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대에 입설되는 기준대와, 상호간에 소정 각도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관절이 구비되어 상기 기준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음과, 상기 부움중 마지막 부움의 내부에 출몰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장 부움과, 일단부가 연장 부움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버킷대와, 상기 버킷대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버킷과, 상기 설치대의 좌우측부에 설치되는 격납식 지지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버킷대는 상기 버킷이 상기 부움의 상측에 누운 상태로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연장 부음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버킷에는 공구 박스 겸용 덮개가 설치되며, 덮개는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화물 적재함의 소정 부위에는 지지대의 인출 및 격납이 가능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식 버킷대를 적용한 고소 작업차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의 제l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의 제2 작동 상태도이다.
고소 작업용 크레인은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1)와, 도시하지 않은 회전 수단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대(l)에 세워서 설치되는 기준대(2)와, 상호간에 소정 각도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기준대(2)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움(boom : 3∼5)과, 마지막 부움(5)의 내부에 출몰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장 부움(6, 7)과, 일단부가 연장 부움(7)의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버킷대(8)와, 버킷대(8)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작업자 탑승용 버킷(bucket : 9)과, 설치대(9)의 좌우측부에 설치되는 격납식 지지대(out rigger : 10)로 구성된다.
버킷(9)을 작업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부움(3∼5)은 제1 관절(3')에 의해 기준대(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부움(3)과, 제2 관절(4')에 의해 제1 부움(3)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2 부움(4)과, 제3 관절(5')에 의해 제2 부움(4)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3 부움(5)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3 부움(5)의 내부에는 2단식으로 출몰 가능한 연장 부움(6, 7)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장 부움(7)의 끝단부에는 버킷(9)이 고정된 버킷대(8)가 보 고안의 회전 수단(1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3 부움(3∼5)을 작동시키기 위한 부움 실린더는 기준대(2)와 제1 부움(3)에 연결 설치되는 제1 부움 실린더(3")와, 제1 부움(3)과 제2 부움(4)에 연결 설치되는 제2 부움 실린더(4")와, 제2 부움(4)과 제3 부움(5)에 연결 설치되는 제3 부움 실린더(5")로 구성되어 있다.
버킷대(8)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수단(13)은 버킷대(8)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브래킷(13a)과 일단부가 브래킷(13a)의 하부 소정 부위에 습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링크(13b), 및 링크(13b)의 다른 단부를 필요에 따라 제2 관절(4')에 고정하기 위한 힌지 고정핀(13c)으로 구성되며, 브래킷(13a)은 상부 좌측 모서리 부분이 연장 부움(7)의 끝단부에 힌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버킷대(8)에 고정 설치된 버킷(9)에는 작업자용 손잡이(11)와, 버킷(9)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버킷 실린더(12), 및 유선형 덮개(14)가 설치되어 있고, 덮개(14)는 버킷(9)의 양측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분할되어 있다.
한편, 제3 부움(5)에는 버킷(9)이 안착되는 버킷 안착대(15)가 설치되어 있고, 화물 적재함에는 적재함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지지대를 인출 및 격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좁은 골목길에서도 크레인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브래킷(13a)에 습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링크(13b)의 다른 단부가 제1 부움(3)과 제2 부움(4)을 연결하는 제2 관절(4')에 힌지 고정핀(13c)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로 인해 버킷(9)은 유선형 덮개(14)가 차체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 수단(13)에 의해 제3 부움(5)의 버킷 안착대(15)에 누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지지대(10)를 인출하여 지지대(10)의 단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90° 만큼 회전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장치를 이용하여 지지대(10)의 단부를 돌출시켜 지면과 접촉시키므로써 차량을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하며, 제1 내지 제3 부움(3∼5)이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1 부움 실린더(3")를 작동시킨 후,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 장치를 사용하여 제3 부움(5)의 내부에 몰입되어 있던 연장 부움(7)을 인출한다.
이와 같이 연장 부움(7)을 인출하면, 버킷대(8)에 고정 실치된 브래킷(13a)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링크(13b)가 제2 관절(4')의 힌지 고정핀(13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기 시작하고, 링크(13b)의 다른 단부가 고정된 브래킷(13a), 및 브래킷(13a)이 고정된 버킷대98)가 링크(13b)의 회전에 따라 힌지점(17)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시작하며, 계속해서 연장 부움(7)을 더욱 인출하면 버킷대(8)가 도 4에서와 같이 연장 부움(7)과 일직선으로 위치되면서 버킷(9)이 지면에 안착된다.
연장 부움(7)을 인출하는 것에 의해 버킷대(8)가 연장 부움(7)과 일직선으로 위치됨과 아울러, 버킷(9)이 지면에 안착되면, 제2 및 제3 부움(4, 5)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링크(13b)를 제2 관절(4')에 고정하기 위한 힌지 고정핀(13c)을 제거한다.
작업자가 버킷(9)에 탑승할 때에는 버킷(9)의 입구부를 폐쇄하고 있던 덮개(14)를 버킷(9)의 양측으로 개방하고, 고소 작업에 필요한 작업 공구들을 덮개(14)의 내측에 수납한 후 탑승하게 된다.
작업자의 탑승이 완료되면, 이후로는 제1 내지 제3 부움 실린더(3∼5)를 작동시켜 버킷(9)을 도 5에서와 같이 작업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후, 고소 작업이 완료되면 제1 내지 제3 부움 실린더(3∼5)를 작동시켜 제1 내지 제3 부움(3∼5)을 도 4의 상태로 복귀시키고, 덮개(14)를 폐쇄한 후, 연장 부움(6, 7)을 소정량만큼 제3 부움(5) 내부로 몰입시키고, 힌지 고정핀(13c)을 이용하여 링크(13b)를 제2 관절(4')에 고정한다.
힌지 고정핀(13c)에 의해 링크(13b)가 제2 관절(4')에 고정되면, 연장 부움(7)을 제3 부움(5) 내부로 더욱 몰입시킨다.
이와 같이 연장 부움(7)을 제3 부움(5) 내부로 더욱 몰입시키면, 연장 부움(7)의 끝단부에 힌지 고정된 브래킷(13a), 및 브래킷(13a)이 고정된 버킷대(8)이 힌지점(17)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버킷(9)이 도 3에서와 같이 제3 부움(5)의 버킷 안착대(15)에 안착되는바, 이후에는 제1 부움 실린더(3")를 작동시켜 제1 내지 제3 부움(3∼5)을 화물 적재함에 안착시키면 된다.
이로써, 크레인의 미사용시에는 버킷을 부움의 상측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제한되는 것이 아니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정신과 범주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에 의하며, 크레인의 미사용시에는 버킷을 부움의 상측에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버킷 및 화물 적재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1톤 차량에서도 고정식 버킷대를 적용할 수 있으며, 버킷에는 공구 박스 겸용 덮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버킷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별도의 공구 박스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적재함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지지대의 인출 및 격납이 가능하도록 적재함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좁은 골목길에서도 고소 작업차의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5)

  1. 화물 적재함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대에 입설되는 기준대와, 상호간에 소정 각도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관절이 구비되어 상기 기준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움과, 상기 부움중 마지막 부움의 내부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장 부움과, 일단부가 연장 부움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버킷대와, 상기 버킷대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버킷과, 상기 설치대의 좌우측부에 설치되는 격납식 지지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버킷대는 상기 버킷이 상기 부움의 상측에 누운 상태로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연장 부움의 끝단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상기 버킷대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일단부가 상기 브래킷의 하부 소정 부위에 습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의 다른 단부를 상기 관절중 하나에 고정하기 의한 힌지 고정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브래킷은 상부 좌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연장 부움의 단부에 힌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에는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유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버킷의 양측부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적재함에는 상기 적재함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의 격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
KR2019980003685U 1998-03-13 1998-03-13 고소 작업차 KR200212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85U KR200212573Y1 (ko) 1998-03-13 1998-03-13 고소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85U KR200212573Y1 (ko) 1998-03-13 1998-03-13 고소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827U KR19990037827U (ko) 1999-10-15
KR200212573Y1 true KR200212573Y1 (ko) 2001-02-15

Family

ID=6971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685U KR200212573Y1 (ko) 1998-03-13 1998-03-13 고소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5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429B1 (ko) * 2000-11-24 2003-09-02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다목적 복합 장비
KR101133938B1 (ko) * 2010-08-27 2012-04-13 장동인 사다리차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827U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3610A (en) Drag reducing apparatus for a vehicle
US4605132A (en) Lifting tool
EP1224112A1 (en) Foldable boats
KR200212573Y1 (ko) 고소 작업차
US5904395A (en) Hinge arrangement
KR101783765B1 (ko) 갑판 수납형 해양 로딩암
JP4220051B2 (ja) 作業車の折り畳みガード
JPH08142922A (ja) 貨物自動車のサイドガード
JP2005112146A (ja) 作業機の燃料タンクの開閉カバー
JPS6123517Y2 (ko)
CN109131586A (zh) 机动车辆
CN220662403U (zh) 一种兼备储物功能的取弹踏板
JP2944918B2 (ja) クレーンのアウトリガ装置
JPS632398Y2 (ko)
JPS6211236Y2 (ko)
JPS60174335A (ja) ダンプカ−のリアドア開閉装置
JPS5883788A (ja) 穴掘装置を備えた建柱車の安全装置
JPH08208186A (ja) クレーン車のアウトリガ装置
JPH0719961Y2 (ja) 産業用車両のリヤフエンダ取付け構造
JPS6121304Y2 (ko)
KR200300185Y1 (ko) 카크레인용 접철식받침대
JPH0335617Y2 (ko)
JP2556847Y2 (ja) トラック荷台の囲い板の開閉装置
JPH0629997U (ja) 冷凍船のグレーチングパネル開閉装置
KR100520778B1 (ko) 차량의 사이드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