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485Y1 -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구조 - Google Patents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485Y1
KR200212485Y1 KR2019980025160U KR19980025160U KR200212485Y1 KR 200212485 Y1 KR200212485 Y1 KR 200212485Y1 KR 2019980025160 U KR2019980025160 U KR 2019980025160U KR 19980025160 U KR19980025160 U KR 19980025160U KR 200212485 Y1 KR200212485 Y1 KR 200212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ray
mode
switch
dr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239U (ko
Inventor
김학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5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48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2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2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485Y1/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룰렛의 회전과 드라이브 유닛의 승강 및 트레이의 출입모드에서 각각 회동하는 기구물이 각각의 모드에서 하나의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각각의 모드를 식별토록 함으로써, 스위치의 수를 줄여 생산가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릴레이기어군(50)의 일부 및 로딩기어(56)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동시키는 동력절환체(45)에 대향되는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 사이에 접점(48-5)이 위치하도록 상기 트레이(30)에 스위치(48-4)를 설치한 것으로서, 트레이(30)가 인출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트레이(30)가 로딩되는 모드의 종료시, 드라이브 유닛(100)이 상승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드라이브 유닛(100)이 하강되는 모드의 종료시에서 암(48)이 회동하여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가 스위치(48-4)를 스위칭함으로써, 하나의 스위치(48-4)를 사용하여 제어부에서 각각의 모드 종료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48-4)의 수를 줄여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 구조
본 고안은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룰렛의 회전과 드라이브 유닛의 승강 및 트레이의 출입모드에서 각각 회동하는 기구물이 각각의 모드에서 하나의 스위치를 온/오프시켜 각각의 모드를 식별토록 함으로써 스위치의 수를 줄이기 위한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씨디체인저는 다수 개의 광학기록 매체인 광씨디(Compact Disk: 이하 '씨디'라 한다)를 내부에 삽입하고, 이중 하나의 씨디를 선택하여 광픽업 장치로 재생하는 씨디플레이어의 한 종류인 장치이다.
이러한 씨디체인저로서 알려진 종래의 한 제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씨디(150)를 안치하는 룰렛(130)과, 이 룰렛(130)이 선택적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하도록 설치한 동시에 본체(110)의 내부로 슬라이드 되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한 트레이(120)와, 광픽업 장치를 구비하고 본체(110) 내에 장착되어 룰렛(130)에 안치된 씨디(150)를 척킹하여 재생하는 드라이브 유닛(1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룰렛(1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0) 상에 설치된 구동모터(132) 및 이 구동모터(132)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134)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120)는 일측에 랙기어(122)가 형성되고, 이 랙기어(122)에 섀시(110)에 설치된 구동모터(124) 및 감속기어부(126)가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124)의 회전방향에 따라 트레이(120)가 섀시(110)로부터 삽입 또는 인출된다.
또한 드라이브 유닛(140)은 재생모드시에 구동모터(142) 및 감속기어부(144)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여 씨디(150)를 척킹하고, 자체에 구비된 별도의 모터로 씨디(150)를 회전시키며 광픽업 장치로 기록을 재생한다.
이러한 씨디체인저에 있어서 트레이(120)의 인출완료 및 로딩완료를 감지하기 위하여, 트레이(120)가 인출완료된 시점이나 로딩완료된 시점에서 감속기어부(126)에 기구적으로 접촉되는 스위치(128)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감속기어부(126)에서 회전속도가 일정하게 감속되어 트레이(120)의 랙기어(122)를 저속으로 이송시켜 트레이(120) 및 이 트레이(120) 상측에 설치된 룰렛(130)이 수평으로 이송되어 섀시(110)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면, 감속기어부(126)가 스위치(128)를 스위칭함에 따라 제어회로부에서 구동모터(124)의 구동을 정지시켜 트레이(120)의 인출모드가 완료된다.
반대로 인출된 트레이(120)를 밀면 트레이(120)가 삽입되면서 감속기어부(126)를 회전시키고, 이 감속기어부(126)는 스위치(128)를 스위칭하여 구동모터(124)를 역방향으로 재구동시킴에 따라 트레이(120)의 로딩동작이 개시된다.
그리고 트레이(120)가 로딩완료되면, 감속기어부(126)가 스위치(126)를 스위칭하여 구동모터(124)를 정지시킴으로써 로딩모드가 완료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와 함께 드라이브 유닛(140)의 상승완료와 하강완료를 감지하기 위하여, 감속기어부(144)에 기구적으로 접촉되는 스위치(146)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구동모터(142)가 구동하여 감속기어부(144)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드라이브 유닛(140)을 상승시켜 씨디(150)를 척킹하면, 감속기어부(144)가 스위치(146)을 스위칭함으로써 드라이브 유닛(140)의 상승완료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4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반대로 드라이브 유닛(140)을 하강시키는 동작에서도 드라이브 유닛(140)이 하강완료된 시점에서 감속기어부(144)가 스위치(146)을 스위칭함으로써 드라이브 유닛(140)의 하강완료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4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씨디체인저에 있어서는 트레이(120)의 인출완료 및 로딩완료와 드라이브 유닛(140)의 상승완료 및 하강완료를 감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두 개 이상의 스위치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씨디체인저는 두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각각의 모드 완료를 감지하였으므로, 부품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위칭 구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룰렛의 회전과 드라이브 유닛의 승강 및 트레이의 출입모드에서 각각 회동하는 기구물이 각각의 모드에서 하나의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각각의 모드를 식별토록 함으로써, 스위치의 수를 줄여 생산가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씨디체인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측면 개략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주요 동력전달요소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로딩기어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 구조의 단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룰렛 회전구조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드라이브 유닛의 승강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승강섀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a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캠기어의 제 1제동 기어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1b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캠기어의 제 1동력전달 기어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1c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캠기어의 완주기어치의 평단면도,
도 12a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분할각 회전기어의 제 2제동 기어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2b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분할각 회전기어의 제 2동력전달 기어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3a, 13b, 13c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동력절환체의 디스크 재생시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
도 14a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룰렛의 회전시 캠기어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14b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룰렛 회전시 승강섀시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15a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드라이브 유닛의 하강작용을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15b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수평축의 하강작용을 도시한 정면도,
도 16a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드라이브 유닛의 상승작용을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16b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수평축의 상승작용을 평면 개략도,
도 17a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룰렛 제동시의 제 1제동 기어치 및 제 2제동 기어치의 작용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17b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룰렛 제동시의 제 1동력전달 기어치 및 제 2동력전달 기어치의 작용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18a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룰렛 회전시의 제 1제동 기어치 및 제 2제동 기어치의 작용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18b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룰렛 회전시의 제 1동력전달 기어치 및 제 2동력전달 기어치의 작용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19a, 19b, 19c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트레이 인출시의 동력절환체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
도 20a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트레이 인출완료시의 평면 개략도,
도 20b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트레이 인출완료시의 동력절환체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
도 21a, 21b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트레이 인출 재생모드시의 동력절환체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랙기어
30: 트레이 32: 구동모터
34: 제 1풀리 36: 벨트
40: 동력전달체 42: 제 2풀리
44: 중심축 45: 동력절환체
46: 수진판 46-1: 장홈
46-2: 걸림돌기 47: 축홀더
48: 암 48-1: 보스
48-2: 제 1접촉부 48-3: 제 2접촉부
48-4: 스위치 48-5: 접점
49: 인장스프링 50: 릴레이기어군
51: 플레이트 기어 51-1: 제 1축공
52: 링 52-1: 걸림홈
53: 제 1외주 기어치 54: 제 1지지대
54-1: 제 2지지대 55: 유성기어
55-1: 중심홀 55-2: 피동기어치
55-3: 능동기어치 56: 로딩기어
57: 제 2축공 57-1: 제 1무한궤도
57-2: 제 2무한궤도 58: 그루브
58-1: 제 1종점 58-2: 제 2종점
59: 내주기어치 59-1: 제 2외주 기어치
60: 캠기어 62: 순환홈
70: 제 1제동 기어치 72: 걸림부
74: 제 1동력전달 기어치 76: 제 1무치구간
78: 완주기어치 80 : 승강섀시
82: 경사홈 84: 수직축
90: 분할각 회전기어 92: 제 2제동 기어치
94: 제 2무치구간 96: 제 2동력전달 기어치
100: 드라이브 유닛 102: 수평축
104: 힌지축 106: 룰렛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레이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체와, 상기 동력전달체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릴레이기어군과, 상기 릴레이기어군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로딩기어; 상기 트레이가 인출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트레이가 로딩되는 모드의 종료시 및 드라이브 유닛이 상승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드라이브 유닛이 하강되는 모드의 종료시에 각각 회동하여 상기 릴레이기어군의 일부 및 로딩기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동시키고 대향되는 제 1접촉부와 제 2접촉부를 형성한 동력절환체; 상기 릴레이기어군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캠기어; 상기 캠기어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상기 드라이브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섀시; 상기 룰렛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캠기어에 연동되는 분할각 회전기어;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로딩기어가 치합되면 상기 트레이가 로딩되도록 안내하는 랙기어; 상기 제 1접촉부 및 제 2접촉부 사이에 접점이 위치하도록 상기 트레이에 설치한 스위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위칭 구조는 트레이가 인출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트레이가 로딩되는 모드의 종료시, 드라이브 유닛이 상승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드라이브 유닛이 하강되는 모드의 종료시에서 동력절환체가 회동하여 제 1접촉부 및 제 2접촉부가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제어부에서 각각의 모드 종료를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스위치로 각각의 모드가 종료됨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의 수를 줄여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그 실시를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12b까지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는 씨디체인저의 본체에 출입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씨디를 일정한 간격으로 안치하는 룰렛과, 상기 트레이에 승강되게 장착되어 상기 룰렛에 안치되는 씨디를 재생하는 드라이브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구조에 적용된다.
이러한 구동구조는 도 3과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측면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룰렛 회전구조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는, 트레이(30)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트레이(30)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2)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체(40)와; 상기 동력전달체(40)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릴레이기어군(50)과; 상기 릴레이기어군(50)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로딩기어(56)와; 상기 릴레이기어군(50)의 일부 및 로딩기어(56)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동시키는 동력절환체(45)와; 상기 릴레이기어군(50)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캠기어(60)와; 상기 캠기어(60)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상기 드라이브 유닛(100)을 승강시키는 승강섀시(80)와; 상기 룰렛(106)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캠기어(60)에 연동되는 분할각 회전기어(90)와; 상기 본체(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로딩기어(56)가 치합되면 상기 트레이(30)가 로딩되도록 안내하는 랙기어(12)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주요 동력전달요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씨디체인저의 로딩기어의 저면 사시도로서, 구동모터(32)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체(40)에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모터(32)의 회전축에 제 1풀리(34)를 결합하고, 동력전달체(40)에는 제 2풀리(42)를 형성하며, 제 1풀리(34) 및 제 2풀리(42)에 벨트(36)를 연결한다.
이러한 동력전달체(40)의 회전력을 릴레이기어군(50)에 전달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체(40)의 회전중심에 중심축(44)을 형성하고, 이 중심축(44)의 일정부분의 외주에 중심기어치(44-1)를 형성한다. 이와 함께 릴레이기어군(50)은 중심축(44)에 결합되는 제 1축공(51-1)을 중심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캠기어(6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외주기어치(53)를 형성한 플레이트기어(51)와, 동력전달체(40)의 중심기어치(44-1)에 치합되는 피동기어치(55-2)를 가지며 회전중심에 중심홀(55-1)을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기어(50)에 고정되는 제 1지지대(5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성기어(55)로 구성한다.
또한 유성기어(55)의 회전력을 로딩기어(56)에 전달하기 위하여, 유성기어(55)에 피동기어치(55-2)보다 반경이 작은 능동기어치(55-3)를 복층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로딩기어(56)에는 중심축(44)에 결합되는 제 2축공(57)을 중심에 형성하고, 능동기어치(55-3)가 내측에서 치합되는 원형의 내주기어치(59)를 형성하며, 외주면에 랙기어(12)에 치합되는 제 2외주기어치(59-1)를 형성한다.
따라서 유성기어(55)의 피동기어치(55-2)가 중심기어치(44-1)에 치합되어 회전하면, 능동기어치(55-3)가 자체로 회전하면서 내주기어치(59)를 따라 주행하여 플레이트기어(51)를 회전시킨다. 반대로 플레이트기어(51)가 제동되어 고정되어 있다면, 유성기어(55)는 정지된 상태에서 능동기어치(55-3)가 내주기어치(59)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제 1지지대(54)는 플레이트기어(51) 상에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한 개씩 고정하고, 제 1지지대(54)와 직교되는 방향에서 대칭되도록 플레이트기어(51) 상에 제 2지지대(54-1)를 각각 한 개씩 고정한다. 이와 함께 로딩기어(56)에는 제 1지지대(54) 및 제 2지지대(54-1)가 각각 가이드되는 원형의 홈으로 된 제 1무한궤도(57-1) 및 제 2무한궤도(57-2)를 형성한다. 따라서 플레이트기어(51)는 중심축(44)에 결합된 상태로 제 1지지대(54) 및 제 2지지대(54-1)가 제 1무한궤도(57-1) 및 제 2무한궤도(57-2)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한편, 플레이트기어(51) 및 로딩기어(56)를 선택적으로 제동하기 위하여, 플레이트기어(51)에는 중심에 돌출된 링(52)을 형성하고, 상기 링(52)의 외주 일부분에는 걸림홈(52-1)을 형성한다. 이와 함께 동력절환체(45)는 링(52)이 삽입되어 양측방향으로 유동가능한 장홈(46-1) 및 장홈(46-1) 내에 형성되어 걸림홈(52-1)에 걸리는 걸림돌기(46-2)를 형성한 수진판(46)과, 수진판(46)을 트레이(12)상에 형성된 포스트(47-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축홀더(47)와, 축홀더(47)에 형성되고 외측단에 보스(48-1)가 돌출 형성된 암(48)과, 일측은 상기 암(48)에 고정되고 타측은 트레이(12)에 고정되어 암(48)이 일정지점에 위치하도록 탄지하는 인장스프링(49)으로 구성한다.
또 제 1무한궤도(57-1)의 반대측 로딩기어(56)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46-2)가 걸림홈(52-1)에 걸릴때 보스(48-1)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원형의 그루브(58)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58)의 일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 1종점(58-1)을 형성하며, 그루브(58)의 타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제 2종점(58-2)을 형성한다.
따라서 걸림돌기(46-2)가 걸림홈(52-1)에 걸려 플레이트기어(51)가 제동될 때 보스(48-1)가 그루브(58)에 위치하여 로딩기어(56)가 회전되도록 하며, 반대로 보스(48-1)가 제 1종점(58-1) 또는 제 2종점(58-2)에 위치하여 로딩기어(56)가 제동될 때에는 걸림돌기(46-2)가 걸림홈(52-1)에서 벗어나서 플레이트기어(51)가 회전된다.
그리고 인장스프링(49)은 탄성력으로 보스(48-1)가 그루브(58)에 위치하도록 암(48)을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각각의 모드종료를 인식하기 위한 스위칭 구조의 단면도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절환체(45)의 암(48)의 저면에 대향되는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를 각각 형성하고,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 사이에 접점(48-5)이 위치하도록 트레이(30)에 스위치(48-4)를 설치한다.
이러한 스위치(48-4)는 접점(48-5)이 양측의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 사이에 위치할 때는 오프되고, 어느 하나의 접촉부(48-2 또는 48-3)이 접촉되면 온되도록 한다.
그리고 드라이브 유닛(100)의 승강구조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9와 같이, 캠기어(60)의 상면 또는 저면에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멀어지는 제 1구간(64)과, 제 1구간(64)의 외측에 이어져 호형으로 된 제 2구간(66)과, 제 2구간(66)의 일단에 이어져 제 1구간(64)의 내측으로 이어지는 제 3구간(68)으로 이루어진 순환홈(62)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승강섀시(80)에는 순환홈(6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는 수직축(84)이 형성된다.
따라서 캠기어(60)가 회전하면 캠기어(60)에 형성된 순환홈(62)도 회전하므로, 승강섀시(80)가 수평의 전후로만 이동할 수 있고 수직방향이나 도면의 상하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트레이(30)에 적절하게 고정되면, 순환홈(62)에 삽입된 수직축(84)에 수평 이송력이 발생됨에 따라 승강섀시(80)가 수평의 전후로 슬라이드 된다.
그리고 승강섀시(80)의 정면을 도시한 도 10과 같이, 승강섀시(80)에는 경사홈(82)이 형성되고 드라이브 유닛(100)에는 경사홈(8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수평축(102)이 고정된다. 따라서 승강섀시(80)가 수평으로 이동하면 수평축(102)이 경사홈(82)에 밀려 승강됨으로써, 도 9의 드라이브 유닛(100)이 힌지축(104)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이 승강되어 드라이브 유닛(100)에 장착된 턴테이블(103)이 디스크를 척킹하고 광픽업 액츄에이터(105)에서 디스크의 기록을 재생하게 된다.
그리고 캠기어(60)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구간(66)을 이루는 각도 범위 내의 룰렛(106)의 단위 회전각(a) 만큼을 제외한 부분에 이끝원 높이의 걸림부(72)를 갖는 제 1제동 기어치(70)와,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72)에 해당하는 만큼의 제 1무치구간(76)을 갖는 제 1동력전달 기어치(74)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기어(51)의 제 1외주기어치(53)에 치합되는 완주기어치(78)가 복층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룰렛(106)에 안치되는 디스크의 수가 3개인 씨디체인저라면 룰렛(106)의 단위 회전각(a)은 120°가 된다. 따라서 제 1제동 기어치(70)의 걸림부(72)는 단위 회전각(a) 120°를 제외한 240°에 해당하고, 제 1동력전달 기어치(74)의 제 1무치구간(76)도 단위 회전각(a) 120°를 제외한 240°에 해당한다.
이와 함께 분할각 회전기어(90)는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제동 기어치(70)에 치합되며 각각의 단위 회전각 마다에 걸림부(72)가 걸리는 제 2무치구간(94)이 형성된 제 2제동 기어치(92)와,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동력전달 기어치(74)에 치합되는 완주의 제 2동력전달 기어치(96)가 복층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72)가 제 2무치구간(94)에 걸릴 때에는 제 1무치구간(76)이 제 2동력전달 기어치(96)에 위치하여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걸림부(72)가 제 2무치구간(94)에서 벗어나면 제 1동력전달 기어치(74)가 제 2동력전달 기어치(96)에 치합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도 13a 내지 도 21까지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의 재생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트레이(30)가 본체(10) 내에 로딩 완료된 상태는 도 13a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러한 도 13a 및 이하의 도면에서는 유성기어(55)를 간단히 표현하기 위하여 그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반원형의 화살표로만 도시한다.
상기의 도면 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섀시(80)에 형성된 수직축(84)이 캠기어(60)에 형성된 순환홈(62)의 제 2구간(66)에 위치하고, 드라이브 유닛(100)에 고정된 수평축(102)이 승강섀시(80)의 경사홈(82)의 하방에 위치하여 드라이브 유닛(100)의 전방이 내려와 있는 상태가 된다. 또 보스(48-1)가 제 1종점(58-1)에서 벗어난 그루브(58)에 위치하고, 걸림돌기(46-2)가 걸림홈(52-1)에 결합되어 플레이트기어(51)의 회전에 제동된 상태이다.
또한 트레이(30) 상에 힌지축(22)에 결합된 비틀림 스프링(20)은 고정단(59-2)에 형성된 제 1고정면(59-3)에 접촉하여 로딩기어(56)가 유동하는 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 사이에 스위치(48-4)의 접점(48-5)가 위치하여 오프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디스크의 재생모드가 시작되면, 구동모터(32)의 회전력이 벨트(36)를 통하여 동력전달체(40)의 제 2풀리(42)에 전달되고, 동시에 중심축(44) 및 중심기어치(44-1)가 회전한다.
여기서 중심기어치(44-1)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이면, 도 13b를 기준으로 중심기어치(44-1)에 피동기어치(55-2)가 치합된 유성기어(5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유성기어(55)의 능동기어치(55-3)가 치합되는 내주기어치(59)를 갖는 로딩기어(56)는 회전력을 받게 되지만, 그루브(58)에 삽입된 보스(48-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함에 따라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능동기어치(55-3)가 내주기어치(59)를 따라 주행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유성기어(55)는 제 1지지대(54)와 함께 주행하여 플레이트기어(5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한쌍의 제 1지지대(54) 및 제 2지지대(54-1)는 로딩기어(56)에 형성된 제 1무한궤도(57-1) 및 제 2무한궤도(57-2)를 따라 가이드 되어 주행하게 됨으로써, 플레이트기어(51)를 안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기어(51)가 회전하면서 링(52)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동력절환체(45)의 걸림돌기(46-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진판(46)과 암(48)을 포스트(47)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플레이트기어(51)의 제동을 해제한다. 여기서 보스(48)는 그루브(58)의 제 1종점(58-1)으로 이동하여 수진판(46) 및 암(48)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암(48)의 회동에 의해 접촉부(48-3)가 접점(48-5)을 스위칭하여 스위치(48-4)를 온시킴으로써 제어부에서 디스크의 재생모드를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기어(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외주기어치(53)가 캠기어(60)의 완주기어치(78)를 회전시키므로, 캠기어(60)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캠기어(60)에 형성된 순환홈(62)에 삽입된 승강섀시(80)의 수직축(84)은 순환홈(62)의 형상에 따라 슬라이드 된다.
여기서 도 14a에 룰렛(106)의 회전시 캠기어(60)의 작용과 도 14b에 룰렛(106)의 회전시 승강섀시(80)의 작용을 개략적인 평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구간(66)이 수직축(84)을 지날 때에는 수직축(84)이 유동하지 하지 않으므로, 승강섀시(80) 및 수평축(102)도 유동하지 않게 되어 드라이브 유닛(100)도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15a에 드라이브 유닛(100)의 하강작용을 개략적인 평면으로 도시하고 도 15b에 수평축(102)의 하강작용을 정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구간(64)이 수직축(84)을 지날 때에는 수직축(84)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승강섀시(80)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승강섀시(80)의 경사홈(82)에 삽입된 수평축(102)가 경사면에 밀려 올라감으로써, 드라이브 유닛(100)이 상승하여 턴테이블(103)에서 디스크를 척킹하고, 광픽업 액츄에이터(105)에서 디스크의 기록을 재생한다.
또 도 16a에 드라이브 유닛(100)의 상승작용을 개략적인 평면으로 도시하고 도 16b에 수평축(102)의 상승작용을 정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구간(64)이 수직축(84)을 지날 때에는 수직축(84)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승강섀시(80)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승강섀시(80)의 경사홈(82)에 삽입된 수평축(102)가 경사면에 밀려 내려감으로써, 드라이브 유닛(100)이 하강하여 턴테이블(103)에서 디스크를 룰렛(106)에 다시 올려놓게 된다.
이러한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순환홈(62)은 제 1구간(64)과 제 2구간(66) 및 제 3구간(68)이 연속되므로, 구동모터(3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유성기어군(40)이 일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하더라도, 드라이브 유닛(100)은 계속하여 승강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도 17a에 룰렛(106)의 제동시의 제 1제동 기어치(70) 및 제 2제동 기어치(92)의 작용을 평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캠기어(60)의 제 1제동 기어치(70)는 드라이브 유닛(100)이 승강되는 동안 즉, 수직축(84)이 제 1구간(64) 및 제 3구간(68)을 지날 때에는 걸림부(72)가 룰렛(106)의 하방에 형성된 분할각 회전기어(90)의 제 2제동 기어치(92)의 제 2무치구간(94)에 걸려 룰렛(106)의 회전을 방지하고, 도 17b에 룰렛(106)의 제동시의 제 1동력전달 기어치(74) 및 제 2동력전달 기어치(96)의 작용을 평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동력전달 기어치(74)는 제 2동력전달 기어치(96)에 치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8a에 룰렛(106)의 회전시의 제 1제동 기어치(70) 및 제 2제동 기어치(92)의 작용을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유닛(100)이 하강되어 있는 동안 즉, 수직축(84)이 제 2구간(66)을 지날 때에는 걸림부(72)가 룰렛(106)의 하방에 형성된 분할각 회전기어(90)의 제 2제동 기어치(92)의 제 2무치구간(94)에서 벗어나서 각각의 치형끼리 치합되며, 도 18b에 룰렛(106)의 회전시의 제 1동력전달 기어치(74) 및 제 2동력전달 기어치(96)의 작용을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동력전달 기어치(74)가 제 2동력전달 기어치(96)에 치합되어 룰렛(106)을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재생모드가 끝난 시점에서는 도 14a 및 도 14b와 같이 제 2구간(66)이 수직축(84)에 위치하여 수직축(84)이 유동하지 하지 않고, 승강섀시(80) 및 수평축(102)과 드라이브 유닛(100)도 하강되어 유동하지 않은 상태가 되며, 도 17a 및 도 17b와 같이 걸림부(72)가 룰렛(106)의 하방에 형성된 분할각 회전기어(90)의 제 2제동 기어치(92)의 제 2무치구간(94)에 걸리고, 제 1동력전달 기어치(74)가 제 2동력전달 기어치(96)에 치합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룰렛(106)의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동력절환체(45)의 암(48)을 복원시키는 인장스프링(49)의 탄성에 의해 보스(48-1)는 그루브(58)의 제 1종점(58-1)으로부터 벗어나 원형으로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고, 걸림돌기(46-2)는 릴레이기어군(50)의 걸림홈(52-1)에 결합되어 플레이트기어(51)를 제동하게 된다. 또한 도 13c와 같이 암(48)의 회동에 의해 접촉부(48-3)가 접점(48-5)에서 이탈하여 스위치(48-4)를 오프시킴으로써 제어부에서 디스크의 재생모드가 종료됨을 인식하게 된다.
다음에는 트레이의 인출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씨디체인저의 인출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구동모터(32)는 재생모드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풀리(34)와 벨트(36) 및 제 2풀리(4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결과적으로 중심기어치(44-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중심기어치(44-1)의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이면, 동력절환체(45)의 작용은 도 19a를 기준으로 중심기어치(44-1)에 피동기어치(55-2)가 치합된 유성기어(5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유성기어(55)의 능동기어치(55-3)가 치합되는 내주기어치(59)를 갖는 로딩기어(56)는 회전력을 받게 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루브(58)에 삽입된 보스(48-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딩기어(56)의 제동을 해제한다.
이와 함께 걸림돌기(46-2)는 걸림홈(52-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플레이트기어(51)는 제동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기어(51)에 고정된 제 1지지대(54)에 축지된 유성기어(55)는 정지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로딩기어(5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9b, 19c와 같이 플레이트 기어(51)는 정지되어 있으며, 로딩기어(56)만 제 2외주기어치(59-1)가 랙기어(12)에 치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구동모터(32)와 동력절환체(45) 및 릴레이기어군(50)과 로딩기어(56), 그리고 캠기어(60)와 드라이브 유닛(100) 및 룰렛(106)을 고정하는 트레이(30)가 본체(10)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트레이(30)가 인출되는 동안에는 플레이트기어(51)와 캠기어(60) 및 승강섀시(80)는 유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브 유닛(100)은 하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도 20a와 같이 트레이(30)의 인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유성기어(55)가 계속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도 20b와 같이 보스(48-1)가 그루브(58)의 제 2종점(58-2)를 따라 외측으로 이탈하면서 암(48)이 회동하여 접촉부(48-2)가 접점(48-5)를 스위칭하여 스위치(48-4)를 온시킴에 따라 제어부에서 트레이(30)의 인출 완료를 인식하고 구동모터(3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디스크를 재생시키는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트레이(30)의 인출시 재생모드를 설명한다.
이때에는 구동모터(32)가 인출모드와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하고, 구동모터(32)의 회전력이 벨트(36)를 통하여 동력전달체(40)의 제 2풀리(42)에 전달되어 중심축(44) 및 중심기어치(44-1)가 회전한다.
여기서 중심기어치(44-1)의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이면, 동력절환체(45)의 작용은 도 21a을 기준으로 중심기어치(44-1)에 피동기어치(55-2)가 치합된 유성기어(5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유성기어(55)의 능동기어치(55-3)가 치합되는 내주기어치(59)를 갖는 로딩기어(56)는 회전력을 받게 되지만, 그루브(58)에 삽입된 보스(48-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함에 따라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능동기어치(55-3)가 내주기어치(59)를 따라 주행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유성기어(55)는 제 1지지대(54)와 함께 주행하여 플레이트기어(5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한쌍의 제 1지지대(54) 및 제 2지지대(54-1)는 로딩기어(56)에 형성된 제 1무한궤도(57-1) 및 제 2무한궤도(57-2)를 따라 가이드 되어 주행하게 됨으로써, 플레이트기어(51)를 안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기어(51)가 회전하면서 링(52)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동력절환체(45)의 걸림돌기(46-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진판(46)과 암(48)을 포스트(4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플레이트기어(51)의 제동을 해제한다. 여기서 보스(48)는 그루브(58)의 제 2종점(58-2)으로 이동하여 수진판(46) 및 암(48)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기어(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외주기어치(53)가 캠기어(60)의 완주기어치(78)를 회전시키므로, 캠기어(60)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캠기어(60)에 형성된 순환홈(62)에 삽입된 승강섀시(80)의 수직축(84)은 순환홈(62)의 형상에 따라 슬라이드 되어 승강섀시(80)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드라이브 유닛(100)에 고정된 수평축(102)이 승강섀시(80)의 경사홈(8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수평축(102) 및 드라이브 유닛(100)을 승강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캠기어(60) 및 승강섀시(80)의 작용은 로딩완료시 디스크 재생모드와 회전방향 및 이동방향이 반대가 된다.
그리고 캠기어(60)의 제 1제동 기어치(70) 및 제 1동력전달 기어치(74)와 분할각 회전기어(90)의 제 2제동 기어치(92) 및 제 2동력전달 기어치(96)의 회전 또한,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되어 트레이(30)의 로딩완료시 디스크 재생모드와 역방향으로 드라이브 유닛(100)의 승강작용 및 룰렛(106)의 회전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트레이(30)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드라이브 유닛(100)이 디스크를 척킹하여 재생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재생모드가 끝난 시점에서는 도 14a 및 도 14b와 같이 제 2구간(66)이 수직축(84)에 위치하여 수직축(84)이 유동하지 하지 않고, 승강섀시(80) 및 수평축(102)과 드라이브 유닛(100)도 하강되어 유동하지 않은 상태가 되며, 도 17a와 도 17(b)와 같이 걸림부(72)가 룰렛(106)의 하방에 형성된 분할각 회전기어(90)의 제 2제동 기어치(92)의 제 2무치구간(94)에 걸리고, 제 1동력전달 기어치(74)가 제 2동력전달 기어치(96)에 치합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룰렛(106)의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동력절환체(45)의 암(48)을 복원시키는 인장스프링(49)의 탄성에 의해 보스(48-1)는 그루브(58)의 제 2종점(58-2)으로부터 벗어나 원형으로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고, 걸림돌기(46-2)는 릴레이기어군(50)의 걸림홈(52-1)에 결합되어 플레이트기어(51)를 제동하게 된다. 이때 도 21b와 같이 암(48)의 회동에 의해 접촉부(48-3)이 접점(48-5)를 스위칭하여 스위치(48-4)를 오프시킴으로써 제어부에서 재생모드의 종료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인출된 트레이(30) 상에 설치되어 룰렛(106)에 다수의 씨디를 교환하여 장착할 수 있고, 씨디의 장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트레이(30)를 본체(10) 내로 밀어 초기 로딩모드를 실행시킨다.
이하에서는 트레이(30)의 로딩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모터(32)는 인출모드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풀리(34)와 벨트(36) 및 제 2풀리(4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결과적으로 중심기어치(44-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중심기어치(44-1)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이면, 이 중심기어치(44-1)에 피동기어치(55-2)가 치합된 유성기어(5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유성기어(55)의 능동기어치(55-3)가 치합되는 내주기어치(59)를 갖는 로딩기어(56)는 회전력을 받게 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루브(58)에 삽입된 보스(48-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딩기어(56)의 제동을 해제한다. 또한 로딩기어(56)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고정면(59-4)에 접촉되어 있는 비틀림 스프링(20)의 탄성을 극복하고 회전하게 된다.
이와 함께 걸림돌기(46-2)는 걸림홈(52-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플레이트기어(51)는 제동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기어(51)에 고정된 제 1지지대(54)에 축지된 유성기어(55)는 정지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딩기어(5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외주기어치(59-1)가 랙기어(12)에 치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구동모터(32)와 동력절환체(45) 및 릴레이기어군(50)과 로딩기어(56), 그리고 캠기어(60)와 드라이브 유닛(100) 및 룰렛(106)을 고정하는 트레이(30)가 본체(10)로 로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트레이(30)가 로딩되는 동안에는 플레이트기어(51)와 캠기어(60) 및 승강섀시(80)는 유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브 유닛(100)은 하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트레이(30)의 로딩이 완료되면, 토글스위치 등의 위치감지수단이 트레이(30)의 이송완료를 감지하여 구동모터(32)의 구동을 종료시킨다.
이와 같이 로딩모드가 끝난 시점에서 보스(48-1)가 그루브(58)을 따라 제 1종점(58-1)에 위치함으로써, 암(48)이 회동하여 접촉부(48-3)이 접점(48-5)를 스위칭하여 스위치(48-4)를 온시킴으로써 제어부에서 트레이(30)의 로딩완료를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30)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최초의 디스크 재생모드시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는, 트레이(30)가 인출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트레이(30)가 로딩되는 모드의 종료시, 드라이브 유닛(100)이 상승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드라이브 유닛(100)이 하강되는 모드의 종료시에서 암(48)이 회동하여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가 스위치(48-4)를 스위칭함으로써, 제어부에서 각각의 모드 종료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은 릴레이기어군(50)의 일부 및 로딩기어(56)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동시키는 동력절환체(45)에 대향되는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 사이에 접점(48-5)이 위치하도록 상기 트레이(30)에 스위치(48-4)를 설치한 것으로서, 트레이(30)가 인출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트레이(30)가 로딩되는 모드의 종료시, 드라이브 유닛(100)이 상승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드라이브 유닛(100)이 하강되는 모드의 종료시에서 암(48)이 회동하여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가 스위치(48-4)를 스위칭함으로써, 하나의 스위치(48-4)를 사용하여도 제어부에서 각각의 모드 종료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48-4)의 수를 줄여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트레이(30)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2)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체(40)와, 상기 동력전달체(40)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릴레이기어군(50)과, 상기 릴레이기어군(50)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로딩기어(56);
    상기 트레이(30)가 인출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트레이(30)가 로딩되는 모드의 종료시 및 드라이브 유닛(100)이 상승되는 모드의 종료시와 드라이브 유닛(100)이 하강되는 모드의 종료시에 각각 회동하여 상기 릴레이기어군(50)의 일부 및 로딩기어(56)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동시키고 대향되는 제 1접촉부(48-2)와 제 2접촉부(48-3)를 형성한 동력절환체(45);
    상기 릴레이기어군(50)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캠기어(60);
    상기 캠기어(60)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상기 드라이브 유닛(100)을 승강시키는 승강섀시(80);
    상기 룰렛(106)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캠기어(60)에 연동되는 분할각 회전기어(90);
    상기 본체(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로딩기어(56)가 치합되면 상기 트레이(30)가 로딩되도록 안내하는 랙기어(12);
    상기 제 1접촉부(48-2) 및 제 2접촉부(48-3) 사이에 접점(48-5)이 위치하도록 상기 트레이(30)에 설치된 스위치(4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 구조.
KR2019980025160U 1998-12-16 1998-12-16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구조 KR200212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60U KR200212485Y1 (ko) 1998-12-16 1998-12-16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60U KR200212485Y1 (ko) 1998-12-16 1998-12-16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239U KR20000012239U (ko) 2000-07-05
KR200212485Y1 true KR200212485Y1 (ko) 2001-03-02

Family

ID=6950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160U KR200212485Y1 (ko) 1998-12-16 1998-12-16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4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239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5986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212485Y1 (ko) 단일스위치를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스위칭구조
KR100287300B1 (ko) 씨디체인저의 단일모터방식 구동구조
US7475409B2 (en) Disc changer device
JPH06259864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259869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765592B2 (ja) デイスクローデイング装置
KR100672143B1 (ko) 디스크 플레이어
CN101320578B (zh) 光盘装置
KR100287299B1 (ko) 씨디체인저의 단일모터방식 구동구조
KR100622962B1 (ko) 디스크 플레이어
KR20010080897A (ko)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EP0950243A1 (en) Cd changer with a driving mechanism operated by a single driving source
KR100267912B1 (ko) 광기록 매체 취출장치
JP3736148B2 (ja) 記録再生装置
KR200151060Y1 (ko) 디스크 플레이어
KR100333597B1 (ko) 디스크구동장치
JPH06259870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186995B1 (ko) 멀티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체인지 장치
JP3620355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00007146U (ko) 씨디플레이어의 캠기어 록킹구조
JPH0294160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7201122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821135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KR19990025984A (ko) 씨디체인저의 씨디척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